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이명희(Myung-hee Lee),송승하(Seung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언어적인 능력을 갖고 있으나, 청자나 상황에 맞게 자신의 말을 적절히 조절하는 화용론적 결함을 보인다. 한국어는 자신의 말을 맥락에 맞게 조율하는 표현의 하나로 존대법이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의 사용능력이 어떤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과제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 존대 및 하대 상황의 대화로 제작하여, 존대법 사용에 필요한 어휘 및 형태소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부적절한 표현을 수정하는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집단 간 수행 능력의 차이와 오류 유형 분석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대화 상대자에 따라 존대법 조율능력은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어휘 및 형태소 조율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오류 유형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정오류에 비해 인식오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기능 자폐아동에게서 그 빈도가 높았고, 오류 유형은 형태오류, 화용오류, 의미오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을 사용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수정하는 능력에서 또래에 비해 유의한 어려움을 보였다. 일반아동과 달리, 고기능 자폐아동은 하대에서 보다 취약하였으며, 이는 또래와의 교류가 적은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능 자폐아동에게 존대법의 지도가 필요하며, 중재 시 존대법을 적용하는 상황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F-ASD) have relatively intact form of language, however they have deficits in using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has a rich honorific system; which involves not only the grammatical domain, but also the pragmatic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regulation ability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non-honorifics vs. honorifics, vocabulary vs. grammatical morphemes) between children with 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Twelve 5- to 9-year-old children with HF-ASD and twelve 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if presented conversations which had honorifics were correct or not, and then to modify them if they are incorrect. The task consisted of 23 items which had conversations with honorifics and non-honorifics. Results: The HF-ASD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honorifics compared to the TD group. TD children had higher scores in non-honorifics than in honorifics, but HF-ASD children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e HF-ASD group had lower scores in vocabulary and grammatical morpheme regulation. Conclusion: Children with HF-ASD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regulation skills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They seem to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honorifics and modifying the honorific errors in convers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 situations in which honorifics are needed before teaching honorific systems.

      • SCOPUS

        한낱말 단계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임현숙(Hyunsook Lim),배소영(Soyeong Pae),송승하(Seungha S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2

        본 연구는 Fey (1986)의 촉진놀이 사용시 한낱말 단계 정상아동과 언어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두 그룹간 의사소통행동 빈도의 차이가 있는지, 아동 및 놀이조건에 따른 두 그룹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정신지체,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언어발달장애아동 15명과 MCDI- K상 표현낱말수를 일치시킨 정상아동 15명이었다. 연구결과, 한낱말 단계 정상아동은 의사소통빈도가 분당 평균 2.0으로 제스추어만의 행동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발성동반 제스추어, 언어로의 행동, 발성만의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으로는 요구하기, 기술하기, 공동주의집중 및 기타를 많이 사용하였다. 언어발달장애아동은 의사소통빈도가 분당 평균 1.26으로 제스추어만의 행동이 가장 많았고, 발성동반 제스추어와 언어로의 행동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기능으로는 요구하기가 가장 많고, 주장하기, 기술하기, 공동주의집중 및 기타가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아동이 언어발달장애아동 보다 의사소통행동 빈도를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냈다. 놀이조건에 따른 결과에서는 적극적인 촉진놀이를 진행할 때 소극적인 촉진놀이 때보다 더 많은 의사소통빈도를 나타냈으며, 놀이조건 변화에 따른 두 그룹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delayed children with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matched on the expressive language level. The facilitative play techniques were used to elicit communicative intents from the children.There wer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for facilitative plays: the active facilitative play and passive facilitative play. Thirty children, 15 language- delayed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was interacted with the examiner for 60 minutes and the procedure was video- taped. The following result 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 (1) The normal children in one-word stage showed two communicative acts per minute. (2) The language- delayed children revealed 1.26 communicative acts per minute.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 of the normal group and that of the language- delayed group.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 of the active facilitative play condition and that of passive facilitative play condition regardless of communicative normality. The one-word stage children used more communicative act s in a facilitative play condition than in the passive facilitative play condition.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Audio-VisualDiscourse Tasks (KOPLAC)

        Hyunhee Kim(김현희),Young Tae Kim(김영태),Jung A Kim(김정아),Seungha Song(송승하)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and its sub-domains of pragmatic language. Methods: Thirty-six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2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group), 12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A-TD), and 12 vocabulary age-matched children (LA-TD). The Korean Meta-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KOPLAC) was used for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It consists of three sub-domains: communication regulation, discourse and story information inferences,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Results: CA-T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s than ID and LA-TD in communication regulations (conversation partner and communication context regulation) and the irony/metaphor task.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D and LA-T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indirect expression tasks and reference language among the three groups. I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CA-TD and LA-TD in the storytelling task.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TD and LA-TD in the storytelling task. Conclusion: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and the sub-domains of pragmatic language. These results imply that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weaker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need more support to improve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ay need to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d intervening with school-aged ID childre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대화 및 이야기 화면으로 제시되는 시청각적 담화과제를 포함한 한국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를 실시하여 총 정반응률과 하위영역에 따른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언어연령일치 일반, 생활연령일치 일반 총 3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를 통해 의사소통 조율 과제, 담화 및 이야기정보 추론 과제, 상위언어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세 연령 집단이 화용언어평가의 하위과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세부영역 및 집단을 살펴보았다. 결과: 세 집단 간 화용언어 평가 총 정반응률 및 세부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는데, 이는 생활연령이 같은 일반아동 집단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이 같은 일반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화용언어 발달에 지연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화용언어의 발달은 또래상호작용, 성인기 이후의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고 중재를 계획할 때 화용언어능력과 발달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eeyoung Park(박희영),Hyeyeon Park(박혜연),Dongran Won(원동란),Haewon Kim(김혜원),Seungha Song(송승하),Hyun Sub Sim(심현섭)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peech disfluency in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F-ASD),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ontrol children on reading,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Methods: Seven HF-ASD, 6 CWS, and 8 contr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ranged in age from 6 to 8 years and were matched for age and vocabulary ability.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speaking tasks, and disfluency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or other disfluencies (OD). Results: Three groups did not differ in OD frequencies across the three speaking tas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F-ASD and CWS groups in total disfluencies (TD) o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with SLD on the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In the HF-ASD group, TD frequency in story retelling and OD frequency in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ir reading performance; SLD frequenc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cross tasks. In SLD sub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gle-syllable repetition, part-word repetition and prolongation frequencies between the HF-ASD and CWS groups, but the CWS group produced more blocks than the HF-AS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milar to children who stutter, school-age children with HF-ASD are disfluent in their verbal production except for read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isfluent speech characteristics of HF-AS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읽기, 이야기 다시말하기, 그림 설명하기의 세 가지 발화과제에서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HF-ASD)의 비유창성을 평가하고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 특성이 말더듬 아동 및 일반아동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만 6-8세) HF-ASD 아동 7명과 언어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말더듬 아동 6명, 일반아동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세 가지 발화과제에서 집단 간 또는 과제 간 총비유창성(TD)과 정상적 비유창성(OD), 비정상적 비유창성(SLD)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집단 간 비교에서 HF-ASD 아동들의 OD 빈도는 세 가지 과제 모두에서 말더듬 아동 및 일반아동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F-ASD 아동들의 TD 빈도는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SLD 빈도는 그림 설명하기와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에서 말더듬 아동만큼 높게 나타났다. 집단 내 비교에서 HF-ASD 아동들의 TD 빈도는 읽기보다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에서, OD 빈도는 읽기보다 이야기 다시말하기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SLD 빈도는 과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HF-ASD 아동들은 SLD의 하위유형 중 일음절낱말반복과 낱말부분반복, 연장 빈도에서 말더듬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막힘 빈도에서 말더듬 아동들이 HF-ASD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HF-ASD 아동들이 읽기를 제외한 발화상황에서 말더듬 아동들만큼 비유창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HF-ASD 아동들의 언어적 문제뿐 아니라 구어 산출에서의 비유창성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와 중재가 고려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