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세현(Sehyeon Gwon),조성일(Sung-il Cho),박동희(Donghee Park),최원학(Weon-Hack Choi),Ryusuke Nakao,Takenobu Tanaka,Daiei Inoue 대한지질학회 2020 지질학회지 Vol.56 No.2
마지막 운동 시기를 비롯한 제4기 단층의 활동특성은 지진재해도 평가 및 사회기반시설의 내진설계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 중부인 경주시 월산리 지점에서 보고된 제4기 단층의 발달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굴착 단면에서 채취한 단층암 시료에 대하여 X-선 전산화 단층촬영(X-ray computed tomography, CT)을 실시하고 박편 관찰을 통하여 단층암의 미세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구조 분석결과, CT 영상에서 단층의 주미끌림면은 전형적인 저밀도대로 나타났고, CT는 단층비지와 퇴적물의 혼입 양상, 단열간의 절단관계 등 단층암 내 발달하는 다양한 미세구조의 해석에 유용하였다. 이러한 미세구조 분석 기법은 고지진학적 단층활동성 평가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단층암에 대한 광물학적 분석 및 역학적 거동특성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aracterization of Quaternary fault, such as age constraints on the timing of recent faulting and the intervals of fault reactivation, can be fundamental in assessing earthquake hazards and enhancing the seismic design of infrastructures. To characterize internal structures of fault rocks associated with Quaternary fault from the Wolsan trench in the middle part of the Yangsan fault, the microscopic analysis of the fault rock was performed by X-ray computed tomography (CT) and optical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ncipal slip zone associated with Quaternary fault was characterized by linear low-density zone in the CT images, and faultingassociated structural features, including sediment-fault gouge mixing and cross-cut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fault gouge and fracture, can be identified. This analysi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valuation of fault activity, and further studies such as mineralogical analysis and mechanical behaviors of fault rocks are requir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Quaternary 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