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ole for Volatile Branched - Chain and Other Fatty Acids in Species - Related Red Meat Flavors

        김정옥(Jeong-Ok Kim),하영래(Yeong L. Ha),Robert. C. Lindsay(Robert C. Lindsay)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3

        2-Methylbutanoic, 3-methylbutanoic, 4-methylpentanoic, 2-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4-methyloctanoic, 6-methyloctanoic, 4-ethyloctanoic, 4-methylnonanoic 및 2-ethyldecanoic acids를 포함하는 다수의 volatile branched-chain fatty acids(VBCFAs)가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미국산 흰염소고기, 한국산 흑염소고기), 양고기로부터 분리, 동정되었다. 쇠고기 향은 amino acid, carbohydrate, 그리고 lipid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향기성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본 meaty flavor로 결정되어 지는 반면, 염소고기나 양고기의 경우는 쇠고기의 기본향에 4-ethyloctanoic acid와 4-methyloctanoic acid의 독특한 노린내가 더해지므로서 염소고기나 양고기 특유의 향을 내었다. 돼지고기는 3-methylbutanoic acid함량이 다른 세종류에 비해 높고 3-methylbutanoic acid 특유의 꼬린냄새는 돼지고기의 기름층으로부터 나는 unclean flavor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고기는 C5-C7 chain length의 volatile branched 및 n-chain fatty acids를 적게 함유하고 있는반면 4-ethyloctanoic acid는 염소고기의 노린내를 내는 결정적인 화합물이었다. 4-Methyloctanoic acid는 양고기의 sweaty-muttony flavor를 내는 중요한 화합물이었으며 염소고기와는 달리 C5, C6, 그리고 C7 branched-chain fatty acids도 상당량 함유되어있었다. 한국산 흑염소고기와 미국산 흰염소고기 중에 들어있는 VBCFAs의 종류는 같으나, 한국산 흑염소고기가 미국산 흰염소고기 보다 노린내가 강하며 4-ethyloctanoic acid의 함량도 높았다. Species-related meat flavors were investigated for red meats (bovine, porcine, caprine, and ovine). Volatile branched-chain fatty acids (VBCFAs) including 2-methylbutanoic, 3-methylbutanoic, 4-methylpentanoic, 2-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4-methyloctanoic, 6-methyloctanoic, 4-ethyloctanoic, 4-methylnonanoic, and 2-ethyldecanoic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meats from cow(bovine), pig(porcine), goats(caprine ; American white goat and Korean black goat), and lamb (ovine). Beef flavor of bovine meat was characterized by the basic meaty flavor, lacking in goaty and muttony flavor impacts due to low or absent in 4-methy-loctanoic and 4-ethyloctanoic acids. Porcine meat contained the least number of VBCFAs among sample species tested, and 3-methylbutanoic acid contributed to the unclean sweaty odor of pork. Caprine meat from Korean black and American white goats lacked in short VBCFAs(C5, C6, and C7) and contained 4-methyloctanoic and 4-ethyloctanoic acids contributing to the characteristic goaty flavor of caprine meat. Caprine meat flavor was distinctively characterized by 4-ethyloctanoic acid, while 4-methyloctanoic acid provides sweaty-muttony flavor to ovine meat. Although kinds of VBCFAs are same in two different varieties of caprine meats, meat sample from Korean black goat had stronger goaty odor and contained higher concentration of 4-ethyloctanoic acid than the meat sample from American white goat 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