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학문의 현상학적 연구에서의 미학적 사유

        공병혜 성인간호학회 2003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s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and especially to consider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hich may reflect works of art. Method: Based on Heidegger. Merleau-ponty and Gadamer' philosophical aesthetics, this study shows how aesthetical thought can be is applied to artistic creation and aesthetical criticism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nursing. Result: The result of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ere as follows : 1) Poetical thought of the client's experience as the living is revealed as poetic expressions in forms of listening gazing, reflection and metaphor. 2) Literature works, painting, poetry and fiction used as sources of lived-experience help to awake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lived-experience. 3) Aesthetical evaluation of phenomenological product as art is related to the harmony as a whole, especially to the ability to do vicarious lived-experience of the ability to do vicarious lived-experience of the client. Conclusion: In order to produce creative phenomenological works in nursing research, two suggestions are made : aesthetical thought and poetic language in phenomenological reflective writing which enables researchers to transmit the essence of the lived-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칸트의 탄생철학과 부모의 의무

        공병혜 ( Kong Byung Hye )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3 No.-

        탄생철학은 이 세상에 비자의적으로 태어남이라는 탄생의 강제성과 또한 인격으로서 삶을 시작하는 자유와의 긴장 관계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주제들을 다룬다. 이러한 탄생 철학의 문제의 지평 위에서 칸트는 인격으로 태어난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이성 비판을 전개시켰다. 칸트의 탄생철학은 탄생의 기원으로서 부모의 생식과 자유로운 인격으로 태어난 자식과의 관계를 다루며, 탄생의 강제성과 인격으로서의 자유의 요청으로부터 추론된 부모의 의무와 자식의 권리를 핵심주제로 삼는다. 칸트는 탄생한 아이의 첫울음을 인격인 자신의 동의도 없이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것에 대한 항의와 분노의 표현이며, 동시에 결핍된 인간 자유에 대한 요청이라고 이해한다. 그래서 인격으로서의 자녀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의 의무란 바로 자유의 사용에 미성숙한 자녀가 가능한 성숙한 이성사용을 통해 도덕적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양육과 교육을 해야 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우선 인간학적 관점에서 전개된 칸트의 인간 탄생의 사유방식을 검토해 보고, 실천적, 법적 관점에서 기술된 부모의 의무에 대한 도덕적 논의를 전개시켜 보도록 하겠다. 거기서 탄생의 강제성에서 비롯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의무란 결국 미성숙한 인격으로 탄생한 자녀가 성숙한 세계시민이 되는 도덕적 상태에 이르게 하는 부모의 양육과 교육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Die Philosophie der Geburt geht davon aus, dass der Geborene in der Welt schon geworfen und mit dem Leben angefangen ist. Bei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ndelt es sich um die Seinsfrage der Geburt und die Spannung zwischen der Determination der Geburt und der Freiheit des Geborenen als Person, die initiative mit dem Leben beginnt. Innerhalb der Horzont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t Kant die generative Kritik der Vernunft uber die Freiheit der Person entwickelt, die als der Geborene von den Eltern unfreiwillig in die Welt gekommen ist. Dabei hat Kant die Beziehung zwischen der Elternpflicht und Kinderrecht und die Spannung zwischen Diktakt der Geburt des Kindes und der initiativen Freiheit der Person behandelt. Kant hat den ersten Schrei des Kindes als der Ausdruck von dem Mangel der Freiheit und den Wut uber die Ohnmacht seines körperlichen Zustandes verstanden, wobei das Kind gegen die unfreiwillige Geburt ohne seine Einwilligung einspricht. Aus diesen Grunden uber den Zwangcharakter der Geburt haben die Eltern eine Pflicht der Besorgung und der Erziehung gegenuber den Kindern, damit sie von den unmundigen Kindern bis zu den vernunftigen Weltburgern erwachen. Dabei mussen die Eltern die Kinder besorgen und erziehen, damit sie das Vermögen ihrer Vernunft gebrauchen und daher als ein moralicher Subjeckt bis zum moralischen Zustand erreichen können. Im meinen Aufsatz möchte ich zuerste aus der anthropologischen Perspektiv die kantische philosophie der Geburt entdecken und interpretieren und dann aus den praktisch-moralischen und rechtlichen Perspektiven die Diskussion uber die Elternpflicht und Kindrecht entwicklen.

      • KCI등재

        기획 특집 : 몸, 권력, 이미지 ; 현대 의료실천에서의 몸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공병혜 ( Byung Hye K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현대의료실천이 기초하고 있는 인간 몸에 대한 기계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하고, 후설 현상학의 전통으로 부터 이어지는 메를로-퐁티와 리쾨르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질병체험의 주체로서의 몸에 대한 현상적 기술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인간 몸의 생의학적 모델과 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된 기계론적이며 환원론적인 인간 신체관은 서양의학사에서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지만, 환자의 몸의 실존적 능력이나 체험을 간과해 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래서 후설로부터 이어지는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주체로서의 몸과 그리고 리쾨르의 육화된 의지의 주체로서의 몸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신체관에 대해 비판적이며 교정적 의미를 지닌다. 몸의 현상학적 기술은 질병체험의 주체로서 인간 몸에 대한 실존적 이해와 더불어 환자의 몸을 객체화시키는 과학적 의료의 기술적 통제와 탈인격화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일깨워준다. 따라서 현상학적 몸에 대한 이해는 의료인에게 과학적 의료의 대상으로서 몸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줄 뿐만이 아니라, 생활세계로 복귀할 수 있는 총체적인 몸의 실존적 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의료행위의 전제가 되어야 함을 제시해 준다. In dieser Arbeit stelle ich die Aufgabe, den menschlichen Leib als Gegenstand der medizinischen Behandlung und seine theoretische Basis kritisch interpretieren und dann aufgrund der Leib-phanomenologie eine neue Beschreibung des menschlischen Leibs gewinnen zu konnen. Zuerst mochte ich darvon aus, die naturwissenschafltliche Grundlage des Leibs kritisch argumentieren, der sich nach bio-medizinischen Modell als eine Maschine versteht. Denn die hoch entwicklten Medizin mag also den ganzen Leib des Patienten als Objekt, Organismus behandelt, technisch kontrolliert und ihm das Selbst des Ichs, namlich das existenzielle Vermogen des Subjetes entzieht. Aufgrund Merleu-ponty`s and Ricoeur`s Phanomenologie kann man das neue Verstandniss des Leibs in der medizinischen Behandlung gewinnen. Sie kritizieren das naturwissenschaftliche, bio-medizinische Model des Leibs und begreifen den Leib als inkaniertes Subjekt begreifen. So kann diese phanomenologische Beschreibung den kritischen Punkt gegen die Gegenstandlichung und Entpersonlichung des menschlichen Leibs erwecken und das leibliche Selbst als das existenzielle Subjektes in der klinischen Bereich aufgenommen werden. Folglich mag das Verstehen des Leibe als inkanierten Sujektes den Mediziner und Pflegenen einen Aspekt ins Licht bringen, die den Leib des Patienten als das existentielle Subjekt in der Lebenswelt beachten und behandeln mussen.

      • KCI등재

        돌봄의 학문과 해석학

        공병혜 ( Kong Byung-hy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4

        인간 돌봄의 학문으로서 간호학은 총체적인 삶의 체험이란 맥락 속에서 건강과 질병, 그리고 치유의 체험을 이해하기 위해서 해석학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돌봄의 학문의 해석학적 적용은 철학의 해석학적 전통에 근거하여 다음의 과제를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인간 삶의 체험에 뿌리를 둔 돌봄을 필요로 하는 인간존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그러한 인간을 돌보기 위한 간호 지식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과 관련한 삶의 체험으로부터 어떻게 획득되어지는가, 그리고 특히 인간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돌봄의 실천은 각각의 상황에 대해 어떠한 해석학적 실천적 적용을 필요로 하는가 등이다. 따라서 이글은 인간학으로서 간호학을 위한 인간이해 방식을 메를로-퐁티의 몸의 해석학과 리쾨르의 인간에 대한 서사적 이해에 근거하여 탐구하였다. 그리고 인간 삶의 체험에 뿌리를 둔 간호 연구의 질적 탐구방식을 특히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전통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또한 실천적 지혜가 각 각의 상황마다 적용되는 대화를 통한 이해의 경험을 간호 실천현장에서 돌봄의 상호성에 적용해 볼 수 있었다. Nursing science requires the hermeneutics of caring in the context of personal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ving experiences related to health, illness and healing. This article aims to apply the hermeneutics to nursing science, which is one of human sciences, and suggests the following tasks. First, hermeneutics as human understanding can be regarded as a way to understand people who suffer from disease and need care. Second, hermeneutics as dialectic understanding can provide an art of a dialogue to the nursing research, regard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interview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hird, the actual experience of hermeneutics accomplishes the `Phronesis`, as a practical wisdom for the realization of the goodness, in a dialogue situation of caring. After reviewing these tasks, this article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Merleau-Ponty`s bodily hermeneutics and the Ricoeur`s narrative hermeneutic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uffering people, and the meaning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science according to these hermeneutics. Furthermore, Gadamer`s dialectic hermeneutics is also examined regarding on its applicability to the practices of caring which experiences the understanding in context of the dialo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약속: 인격의 정체성과 도덕적 의무

        공병혜 ( Byung Hye Kong ) 한국칸트학회 2013 칸트연구 Vol.32 No.-

        Das Versprechen ist sowohl die Bedingung des meschlichen Zusammenlebens fur die Bestandigung der Selbst-identitat in der politischen Lebensform, als auch die moralische Pflicht den Anderen gegenuber in der menschlichen Beziehung. In der philosophischen Debatte des Versprechens stellen sich die Fragen einerseits nach der Dimension der personalen Identitat und andererseits der moralichen Pflicht. In Vita activa hat H. Arendt den Zusammenhalt politischer Lebensformen als weitgehend auf die bindende Kraft gegenseitiger Versprechen gegrundet beschrieben. Erst durch das Versprechen wurden Nicht -Souveranitat des menschlichen Willens und grundsatzliche Unverlassigkeit des menschlichen Wesens uberwinden, da die Menschen nicht fahig sind, den Zukunftigen abzusehen und sich auf sich selbst zu verlassen. Das Versprechen weist den Willen des Zusammelebens mit den Anderen und Vertrauen des Anderen auf. Es lasst die Identitat des Selbst in der geschichtlichen politischen Lebensform bewahren. Bei Riecoer handelt es sich um das Phanomen des Versprechens hinsichtlich der personaler Identitat, die durch die Erzahlung weitgehend auf die Zukunft konstituiert wird. Das Versprechenkonnen setzt voraus, dass man sagen und handelnd auf die Welt einwirken, erzahlen und die Idee der narrativen Einheit eines Lebens herausbilden und schliesslich den Ursprung seiner Handlungen sich selbst zurechnen kann. Das Versprechen konzentriert sich auf die moraliche Pflicht durch die Selbst-bezeugung. Besonders argumentiert Ricoeur die moralische Verpflichtung des Versprechens anhand der Kategorischen Imperativ Formel II, die als eine Norm der wechselseitiger Fursorge, eine Art der Goldenen Regel interpretiert wird. Dies zeigt, dass moralische Pflicht des Versprechens bei Kant die Achtung vor den Anderen und das Prinzip der Treue beinhaltet, das auf das Verboten des Bosen in der gegenseitiger menschlichen Beziehung hinweist.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현상학

        공병혜 ( Byung Hye Kong ) 한국명상상담학회 2014 명상심리상담 Vol.11 No.-

        Introduc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orelation of the idea of phenomenology and nursing as caring experience in life world, and then explores a meaning of phenomenolog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ot only in nursing science but also in caring practice for the clients. Body: First,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science reveals the lived experiences in the life world of clients, which are hidden by medical science and objectivism based on the positivism. This means that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reflects really the idea of phenomenology, namely "Sache selbst` as the lived experiences of illness, suffering, caring for be deeply rooted in the life world. Secon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research describes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 of illness and gives a way of caring practice as practical wisdom from the aspect of the existential involvement in the embodied life world. Conclusion: This perspective of embodiment enables nurses to understand bodily experiences of patients and recovery of their bodily capacity in 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 caring practice. Therefore,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can provide descriptions and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 of illness and a way of coping with the crisis of human existence in caring practice.

      • KCI등재후보

        인간 출산에 대한 의미와 의료기술

        공병혜 ( Byung Hye K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인간의 탄생은 이 세상에 새로이 시작하는 자유의 시초로서 그 이전에 없었던 마치 기적처럼 일어난 사건인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탄생은 이 세계 속에서 여성의 몸의 경험과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인간관계와 연결된 출산이란 공동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글은 우선 인간의 삶의 가장 근원적인 실존적 조건으로 출생에 대한 의미를 성찰해 보고 인간의 출산행위에 대한 의료적 관리과 동시에 생명정치로서의 재생산기술에 대한 여성주의의 관점을 검토해 본다. 특히 인간의 출산과정을 조절하는 출산기술과 인간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협동적 출산행위를 지배하는 오늘날의 재생산기술을 한나 아렌트의 세계소외의 관점에서 의료기술의 전체화 현상으로서 재해석해 본다. 여기서 출산기술이 지닌 위험은 마치 자연의 생명과정을 모방하여 실험실에 그 결과를 만들어내는 제작과정처럼 인간의 출산행위를 기술적 과정으로 환원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출산 행위에 대한 과학과 의료기술의 지배는 인간 행위에 내재하고 있는 출산성이 지닌 새로이 시작함, 시초라는 본래의 의미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인간 실존의 조건으로 인간 탄생의 의미를 반성해 보면서, 이러한 인간 탄생을 기억하고 이야기를 형성하여 인류의 역사를 이어가게 하는 출산 행위가 지닌 진정한 의미를 철학적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The birth of new men means the new beginning into the world, starting of freedom, which can not be expected from whatever may have happened before, like miracle. This birth appears from not only bodily women``s experiences and but also the common cooperative actions of the delivery, which is connected with human relationship in social and culture context. In this paper, I reflect the meaning of natality as a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giving birth as a common cooperative action in human relationship. And then, I try to reexamine the feminist approach to the recent medical management of delivery and reproduction assisting technologies which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patriarchal medical domination and bio-policy. Specially, I criticize the recent power of the reproduction technologies, which control the delivery process and dominate human cooperative actions in human relationships. From H. Arendt``s viewpoint of the world alienation in Human condition, I reinterpret the technical domination of the delivery process as totalitarianism of medical technologies. The danger of reproduction technologies lies in the reduction of a delivery process as a human action to a process of technical production of a new born through a bio experiment in a laboratory. Therefore, I think, this technical domination runs the risk of ruining the essential meaning of natality-that is, an ontological new beginning. Ultimately, in this paper, I provide a fundamental reflection about the existential meaning of natality like miracle of newcomer into the world, and illuminate giving birth as a human activity, which remain the memories of this birth and form the web of human affairs in the human relationship, create narratives in human hist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