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어증 환자들을 위한 CILT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홍새미(SaeMi Hong),강진경(JinKyung Kang),엄보라(Bora Eom),김영태(YoungTae Kim),성지은(JeeEun Sung),심현섭(HyunSub Sim),정필연(PilYeo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CILT) 중재는 집중적인 일정 동안 구어를 극대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조화한 실어증 중재방법이다. 여러 연구들이 CILT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지만 상이한 연구결과가 혼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 분석을 통해 실어증 환자 대상으로 CILT 중재의 효과성을 보고한 개별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증거기반 실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5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CILT 중재를 실시한 연구들 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총 9편의 문헌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중재에 따른 언어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언어의 하위 영역 및 실어증 발병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각각 살펴보았다. 결과: CILT 중재는 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비롯하여 청각적 이해력, 따라 말하기, 이름대기 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LT 중재는 급성실어증과 만성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및 모든 언어 하위 영역 향상에서도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CILT 중재의 종합적인 효과 검증을 통해 CILT 중재가 발병기간과 무관하게 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언어의 각 하위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CILT 중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상반된 결과들을 통일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제고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s: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CILT) is an aphasia treatment program which comprises forced use of verbal language and massed practic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efficacy of CILT on aphasia,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s of CILT for aphasia and to establish the evidence-based practice of CILT.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5 databases (DBPIA, EBSCOhost, ProQuest, PubMed, RISS) which were about CILT for aphasia. Nine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meta-analysis. Effect sizes for each study outcome (standardized language test outcome)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two main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First,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ILT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both overall language ability and each sub-language area. Second, CILT was effective for both chronic aphasia and acute aphasia—overall and in each sub-language area.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comprehensive effectiveness of CILT for aphasia in each sub-language area including auditory comprehension, repetition, and naming, and its treatment effectiveness for both chronic aphasia and acute aphasia regardless of post onset time. This research unifies the complicat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Aging-Related Differences in the Resolution of Ambiguity from Case Marker Deletions in a Verb-Final Language

        Jee Eun Sung(성지은),Seunghun J. Lee(이승훈),Bora Eom(엄보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태론적 중의문을 형성하는 명사구의 개수(1 vs. 2) 및 동사의 형태(능동형 vs. 피동형)를 조절하였을 때 그림선택 과제(picture-selection task)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청년층 49명, 노년층 56명으로 총 10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형태론적 중의문은 명사구에서 조사를 생략하여 구성하였으며, 명사구의 개수는 1개인 조건과 2개인 조건으로 구분된다. 각 명사구 조건별로 동사의 형태를 능동형과 피동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실험자극은 청각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조사가 생략된 중의문을 듣고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선호도(nominative-initial preference)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선택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청년층과 노년층 간 중의문의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년층은 전반적으로 모든 조건에서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전략을 뚜렷하게 사용한 반면, 노년층은 이러한 선호도가 청년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층이 중의문을 해결하는 데 있어 청년층에 비해 주격선호전략을 사용하는 능력이 감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호한 정보를 처리할 때, 집단 간 전략사용선호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은 노화에 따른 문장이해 능력의 저하가 일어나는 기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노화의 기저를 파악하는 데 문장해결 능력 및 전략에 대한 기초연구가 더욱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ge differences impact the resolution of syntactic ambiguities arising through the manipulation of verb voice types and the number of noun phrases (NPs) in stimuli sets. The stimuli consisted of ambiguous sentences that we created by deleting case markers in Korean sentences. We examined resolution strateg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nominative-initial preference. Methods: A total of 105 Korean-speaking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young adults 49, old adults 56). We manipulated the number of NPs (1 vs. 2) and the verb voice types (active vs. passive) in morphologically ambiguous sentences with NPs that had no case markers. We administered a picture-selection task to examine this nominative-initial preference.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between the two age groups. Younger adults consistently demonstrated a preference for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across conditions. In contrast, elderly adults presented less preference for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than the younger adult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lderly adults performed significantly differently in the engagement of the more frequently used syntactic template-based strategy (nominative-initial strategy) than younger adults when resolving syntactic ambiguit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in ambiguity resolution strategy may explain aging-related declines i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