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미호(Shin Mi ho)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wareness of employe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on their ow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ir percep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served to bols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medium of job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emonstrated job satisfaction produced mediating effects wh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was strengthened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It implies that this study made a contribution to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research by proving that the new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exerted an influence on the way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Second,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n the advantag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his study served to fuel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leadership management by proving the good resul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and to spread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exploring how to boost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Third, it should be noted that employee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become more altruistic and show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they satisfy not only the job requirements of their organizations but their own job requirements for themselves at the same time. So reasonable criteria for compensation and punishment should be prepared to encourage employee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organizations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criteria should be known to them and applied in a coherent manner to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like the cases of businesses and other institutio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turned out effective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at were social welfare centers. Accordingly, a standard manual for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syste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and it s required to take every necessary measure to make it happen. Fifth,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ir ow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serves, in turn, to make them more customer-oriented and offer quality services for clients. And then customer orientatio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this time. The virtuous circle makes it possibl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to fulfill all th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are their essential missions. Therefore impartial and systematic evaluation tools and processes should be prepared to p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management on the right track, and specific guidelines on how to reflect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incentives and differentiated performance-based pay should be presented.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유형 인식이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몰입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조직문화 및 리더십 유형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 실천이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을 유도하는데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는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 실천이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직무만족의 새로운 변수에 의한 영향정도를 실증하여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데 일정 부분 기여를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영역에 있어 조직적 차원에서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을 실천할 경우 조직에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그 성과를 입증함으로서 리더십 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재차 확장시켰고, 조직문화와 리더십 경영의 실천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셋째, 조직에서 요구하는 직무에 대한 만족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 일치할 때, 종사자는 직무에 만족하게 되고 이타성과 조직몰입을 보이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조직과 동일시되어 직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업무와 관련된 합당한 보상과 처벌기준을 마련하여 종사자에게 홍보하고 일관성 있게 준수함으로써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제도화하여야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일반 기업 및 기관에서처럼 사회복지기관인 노인요양시설에서도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 실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조직에 적합한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천할 수 있는 표준 매뉴얼을 공급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기관의 조직몰입을 가져와 결국은 클라이언트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 지향성을 갖게 되고, 고객 지향성은 다시 시설의 조직문화 향상 및 리더십 경영을 향상시키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되어 사회복지조직 본연의 임무인 사회적 책임을 다하게 된다. 따라서 공정하고 체계적인 평가 도구와 절차의 마련 등 조직문화 및 리더십 경영의 정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보조금 지급시 인센티브 반영, 성과급 차등지급 등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Effect of Bacterial Population from Rhizosphere of Various Foliage Plants on Removal of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Se-Chul Chun(천세철),Mung Hwa Yoo(류명화),Young Sook Moon(문영숙),Mi Ho Shin(신미호),Ki-Cheol Son(손기철),Ill-Min Chung(정일민),Stanley J. Kays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실내식물 9종의 근권부 하이드볼 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집단이 공기중 벤젠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여러 식물 근권부의 배양토에서 배양된 세균 집단은 벤젠을 제거할 수 있었는데, Spathiphyllum wallisii Regel, Pachira aquatica, Ficus elastica, Dieffenbachia sp. ‘arrianne’Hort., Chamaedorea elegans 식물들은 벤젠의 초기농도를 1.000으로 기준하였을 때, 세균 집단이 전혀 없는 배지의 대조구 초기 농도 대비 잔류율이 0.596이었으나 상기 언급한 식물들은 0.741-1.000으로서 벤젠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LSD, P=0.05). 이와 같은 경향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톨루엔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 aquatic 근권부의 배양토로부터 배양된 세균 집단을 P. aquatica, F. elastica, S. podophyllum에 접종하였을 때 접종하지 않은 식물들에 비하여 벤젠과 톨루엔을 현저히 제거하는 효과가 나타나, 근권부의 미생물 집단을 이용하여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otal bacterial populations were cultured from the Hydroball cultivation media in the rhizospheres of 9 different plants including Hedera helix L. and Dracaena deremensis cv. Warneckii Compacta, etc. These cultured bacterial populations were studied to test if the bacterial populations in the plant growing pots may play a role on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benzene and toluene in the air. To meet this objective, first, we tested the possibility of removal of VOCs by the cultured total bacteria alone. The residual rates of benzene by the inoculation of total bacterial populations from the different plant growth med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anging from 0.741-1.000 of Spathiphyllum wallisii ‘Regal’, Pachira aquatica, Ficus elastica, Dieffenbachia sp. ‘Marrianne’ Hort., Chamaedorea elegan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residual rate of 0.596 (LSD, P=0.05). This trend was also similar with toluene, depending on different pla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inoculated the bacterial population cultured from P. aquatica into the plant-growing pots of P. aquatica, F. elastica, and S. podophyllum inside the chamber followed by the VOCs injection. The inoculated bacteria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removal of benzene and toluene, compared to the removal efficacy by the plants without inoculation, indicating that microbes in the rhizosphere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on the removal of VOCs along with plants.

      • 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