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사례 비교연구

        최지연 ( Choi Jee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도시재생 선행사례들과 국내에서 비슷한 용도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들을 들어 각 도시재생 사례의 디자인 방법을 비교 연구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먼저 도시 재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한다. 그리고 국내 및 국외의 도시재생 사례들로부터 발견되는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공간 디자인의 방법적 측면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사례는 미국의 High Line과 서울로7017, 영국의 Tate Modern과 마포 문화비축기지, 독일의 Zeche Zollverein과 삼탄아트마인이다. (결과)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은 철로와 차도에서 공원의 역할을 하는 인도로 재생되었다는 점에서 재생 전과 재생 후의 용도가 유사하다. 하이라인에서는 과거의 장소, 역할을 디자인 컨셉으로 차용하여 활용한 시설들이 많다. 반면에 서울로7017은 과거 서울역 고가의 상징성이나 시간성을 느낄만한 위치적 고유성을 공간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테이트 모던과 마포 문화비축기지는 이색적인 공간적 특성을 현재와 시간, 기억의 교감을 일으키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테이트 모던은 화력발전소의 거대공간을 활용해 이색적인 미술관으로 재생하였고 마포 문화비축기지는 탱크의 원형적 특성을 공간 디자인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유사점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졸페라인과 삼탄아트마인은 두 사례 모두 현대적 공간작품과 미술작품을 배치하고 광산이라는 어둡고 서늘한 이미지를 아트작품과 함께 다양한 예술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차이점으로는 졸페라인의 경우 공간을 지속적으로 더 많이 ‘활용’ 하려는 프로그램적인 측면이 두드러진 반면, 삼탄아트마인은 기존의 공간 내에서 이 장소만의 특색을 문화, 예술적으로 활용하려는 측면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는 데 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성은 기존 시설이 가진 공간에 수평 수직적인 구성과 시퀀스의 변화를 제공한 입체적인 활용이 나타난다. 둘째, 상징성을 이끄는 공간은 장소가 지닌 스토리를 현대적 요소와의 개성적인 조화를 통해 이색적인 기억과 역사적 이야기를 담은 공간으로 나타난다. 셋째, 시간성은 시간적인 흐름을 체험하는 전시방식으로 활용하거나, 과거의 기억과 의식의 출현을 이끄는 장치적인 요소를 활용하며 나타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researches existing cases of urban regeneration that achieved successful results by utilizing foreign culture and arts and design methods of each urban regeneration case by referring to urban regeneration cases that utilize culture and arts of similar purposes in Korea. (Method)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is study conducts a theoretical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The methods of space design utilizing culture and arts found from urban regeneration cases in Korea and overseas are analyzed and compared, respectively. The selected cases are The High Line of the US and Seoullo7017, Tate Modern of UK and Mapo Oil Tank Culture Park, and Zeche Zollverein of Germany and Samtan Art Mine. (Results) The High Line and Seoullo7017 have similar uses before and after regeneration. The spaces were regenerated from railroad and driveways to sidewalks that serve as parks. In the High Line, many facilities borrowed from and utilized the past places and roles as a design concept. Seoullo7017 did not sufficiently utilize the unique location where symbolism or temporality of the overpass of Seoul Station in the past could be experienced in terms of the spatial design. Tate Modern and Mapo Oil Tank Culture Park exhibit the commonality in that both utilized the distinctive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cultural space that triggers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time, and memory. Tate Modern has been regenerated into a distinguished art museum by utilizing the vast space of a thermal power plant, while, similarly, the space design of Mapo Oil Tank Culture Park use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oil tank. In both Zollverein and Samtan Art Mine cases, modern space works and artworks were arranged, while the dark and bleak image of a mine was utilized as diverse art spaces along with artworks. The difference is that Zollverein has a stronger aspect of programs that attempt to 'utilize' space continuously and to a greater extent. Samtan Art Mine showed a stronger aspect of aiming at cultural and artistic utilization of the place's characteristics within the existing space. (Conclusions) First, spatiality appears as a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sition and changes of sequence in the existing facility's space. Second, the space that leads symbolism is exhibited to a greater extent as a space that contains unique memories and historical stories through the distinctive harmony of the store of the place with modern elements. Third, temporality is shown as an exhibition method that induces movements to embody the continuity of perception, enabling temporal flow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