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스기모리 고지로가 남긴 ‘좌우 전체주의’-해럴드 래스키의 ‘양면적 비판’과 독립국가론-

        전성곤 ( Jun Sungk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1 No.-

        전후 일본에서는 해럴드 래스키의 이론이 ‘신생(新生) 일본’을 구상하는 데 활용되었다. 마루야마 마사오는 래스키가 민주주의자의 입장이었지만, 민주주의를 비판함과 동시에 ‘비판받은 민주주의’를 통해 사회주의를 비판하며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둘 다 넘어서고자 했다고 해석했다. 한편 스즈키 야스조는 래스키의 이론 중 개인의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전전 일본을 비판하는 데 활용했다. 이러한 가운데 스기모리 고지로는 마루야마 마사오와 스즈키 야스조와는 또 다른 입장에서 래스키를 활용하여 ‘일본의 독립론’을 구축했다. 본 논고에서는 삼중주의 래스키 수용 중 그동안 거론되지 않은 스기모리 고지로의 래스키 수용과 활용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래스키는 ‘서구’ 사회의 역사발전 과정에서 자유주의가 형성되는 논리를 설명했다. 래스키는 영국의 사례를 통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양쪽이 가진 자유의 제한성이라는 공통점을 제시했다. 즉 래스키는 자유 개념을 통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모두 비판한 것이다. 특히 종교의 특성을 제시하면서 종교가 사회생활을 균질화한 것을 비판했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는 일상생활이 가진 비자유성을 비판하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스기모리 고지로는 이것을 전전 일본이 비주체적으로 세계적 흐름을 추종하면서 파시즘 국가를 만들게 된 점을 비판적으로 보는 데 활용한다. 이 부분은 스즈키 야스조와 유사했다. 그리고 마루야마가 해석한 것처럼 스기모리 고지로 또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양쪽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번에는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충돌 원인이 내셔널리즘에 있다고 보고, 지배자 쪽의 내셔널리즘뿐만 아니라 피지배자의 내셔널리즘을 동시에 비판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게 된다. 스기모리는 그것을 객관화하면서 일본이 그 역할을 주도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래스키의 이론은 전후 일본이 내셔널리즘을 재구성하는 데 활용되었고, 새로운 시대의 개척 논리로서 과학주의를 접목시키며 세계적 공헌을 주장하는 논리가 정당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전전의 제국주의에 대한 기억을 희석시키는 ‘액상화’ 작업이었다. In 1950s Japan, Harold Laski’s theory had a decisive meaning in reconstructing postwar Japan. Maruyama Masao interpreted that although Laski was a democrat, he also tried to overcome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by criticizing democracy and, at the same time criticizing socialism through ‘criticized democracy.’ On the other hand, Suzuki Yasuzo explained the emphasis on individual freedom from Laski’s theory. Sugimori Kojiro took a different position from Maruyama Masao and Suzuki Yasuzo and advocated Japan’s postwar independence using Laski’s theory. Therefore, to prove this assertion, this paper first explained Laski’s logic of how liberalism was formed du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society. Laski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freedom in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through Britain as an example. That is, he criticized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through the concept of freedom. In particular, he criticized religion for homogenizing social life while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the non-freedom of everyday life based on it. According to Sugimori Kojiro, Japan’s defeat in the war was due to the lack of such criticism,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 fascist state buried in the global trend. This idea was similar to Suzuki Yasuzo’s logic. Also, as interpreted by Maruyama Masao, Sugimori argued for Japan’s new independence by criticizing both the nationalism of the rulers and the ruled inherent in the problems of imperialism through reusing criticism of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As such, Laski’s theory, which was popular in the 1950s, was used to reconstruct nationalism in postwar Japan, and paved the way to justify the logic of claiming global contribution by incorporating scientism as the logic of pioneering a new era. This in turn would establish a foundation to dilute the memories of imperialism before the war.

      • KCI등재

        ‘민족 개념’의 정형화와 ‘다언어=탈배제성’의 문제 - 카우츠키, 레너, 바우어, 스탈린을 중심으로

        전성곤 ( Jun Sungk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전후 일본에서 스탈린의 민족 이론이 유행하게 되는데, 그것은 스탈린의 민족개념을 일본에 대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실 스탈린의 민족이론은 동유럽에서 진행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만들어졌고, 민족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카우츠키, 레너, 바우어가 커다란 역할을 담당했었다. 본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자 중 최초로 민족 이론을 제시한 카우츠키의 민족 개념 형성 과정을 검토했다. 카우츠키는 해머의 논문을 통해 민족은 근대 부르주아의 이데올로기와 연결되어 있음을 학습했다. 그러나 해머와 반대로 카우츠키는 민족 개념은 ‘부르주아 민족’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 민족’을 중시했다. 또한 언어가 민족을 구분하게 했으며, 언어가 민족을 형성할 수 있는 매개물이 된다는 점을 중시했다. 이를 근거로 카우츠키는 민족=언어공동체를 만들어냈다. 카우츠키 이후 레너와 바우어 역시 민족은 자본주의 발달 과정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볼크(volk)에서 나치온(nation)으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민족이론이 구축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레너는 민족공동체에 대해서는 거리를 두었다. 바우어는 심리적 문화공동체론을 제시했고 이 공동체의 중추적 역할로서 언어를 강조했다. 바우어는 카우츠키와 마찬가지로 민족의 중심을 시민에게 두고, 노동자계급이 포함되는 공동체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국제화를 중시한 카우츠키와 민족문화를 중시하는 레너와 바우어의 입장은 대립적이었다. 이러한 시기에 스탈린은 레너와 바우어를 비판하면서 카우츠키를 계승하여 총체적으로 언어, 지역, 경제, 생활문화의 심리를 민족 개념으로 정의했다. 동유럽에서 발생하고 출현한 ‘민족 개념’이 확산되어 스탈린의 민족 이론이 정형화되었던 것이며, 언어 국제주의가 탈배제성을 담아낼 수 있다는 논리로 재구성되었음이 드러났다. As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became widespread in postwar Japan, the theory was developed in a way of applying Stalin’s concept of the nation to Japan’s context. But the fact is that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was created in the temporal context originated from Eastern Europe, and Kautsky, Renner, and Bauer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nation. Kautsk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ce and nation through Hamer’s thesis and learned that the na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y of the modern bourgeoisie. Kautsky’s concept of the nation was formed when capitalism was being developed, and this concept of the nation put emphasis on the civic nation that values the proletariat, rather than the “bourgeois nation.” Based on this, Kautsky came upwith the idea that a nation equals a community of language. In addition to Kautsky, Renner and Bauer also considered that a nation was built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development. And they pointed out that the theory of the nation was established while the concept of “volk” was transformed into “nation.” However, while Renner put importance on the nation, he distanced himself from the national community. Bauer argued for the theory of cultural community including the working class, with an emphasis on citizens as the core of the nation, as Kautsky did. However, the position of Kautsky, who valued internationalization, was in confrontation with Renner and Bauer, who emphasized national culture. Stalin also explained that language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concept of the nation. While criticizing Renner and Bauer, Stalin succeeded Kautsky and defined the psychology of languages, region, economy, and living culture on the whole as the concept of the nation. As such, it was revealed that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was conceive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ation” that appeared in Eastern Europe, and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ies and the theory of the nation.

      • KCI등재

        스탈린을 ‘번역’하는 이시모다 쇼 - ‘민족론적 역사학’ 그리고 ‘전후’ -

        전성곤(Jun, SungK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 일본문화연구 Vol.- No.81

        본 논문에서는 스탈린의 민족이론을 이시모다 쇼가 어떻게 수용했는가를 규명하고자 했다. 스탈린이 제시한 마르크스주의적 민족이론은 일본 전후 사상의 분기점이 되었고 민족주의 이론을 재구성하는 구조적 틀을 제공해 주었다. 당시 일본은 전전의 파시즘을 반성함과 동시에 GHQ의 종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중의 문제를 해결해야만하는 시대적 과제와 만났다. 이를 타개하기위해 이시모다 쇼는 스탈린의 역사발전단계론 중 민족체(民族体)가 갖는 의미, 그리고 민족을 이해할 때 객관적 매개물로 활용된 언어를 중첩시켜 민족을 재해석했다. 즉 역사를 볼 때 단순하게 자본주의사회나 사회주의사회를 논하는 것이 아니라, 민족체라는 개념을 통해 재구성되는 역사과정 자체의 모순과 대립을 중시하는 역사연구의 세계성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민족체=나로도노스치’와 ‘민족=나쓰야’를 이시모다 쇼는 ‘민족=나로도노스치’, ‘나쓰야=국민’으로 치환시켰다. 이를 통해 스탈린을 거치면서 다시 마르크스가 제시한 역사발전의 연속성을 재소환하고 세계적 시각이라는 이름 아래 일본민중의 국민화를 만들어냈음을 밝혀냈다. This paper tried to clarify how Ishimoda accepted Stalin"s national theory. The Marxist national theory proposed by Stalin became a turning point in Japan"s post-war thought and provided a structural framework for reconstructing the nationalist theory. This encounters the task of the times in which Japan reflects on the fascism of the pre-war period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double problem of freeing itself from the subordination of the GHQ. The Ishimoda was a part of Stalin"s theory of the stages of historical development that the language used as an objective medium to understand the nation. That is, ethnicity = Narodonoschi and ethnicity = Natsuya were replaced by Sho Ishimoda with ethnicity = Narodonoschi and Natsuya = people. Through him, through Stalin, he has created a national identity for the Japanese people in the name of a glob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