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리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대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인희(Oh In hee),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요리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대수적 사고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통제집단으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1명, 실험집단으로 만 5세 유아 21명 총 42명을 선정하였다. 유아의 측정능력는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2006)가 개발한 유아수학능력 검사도구 중 넓이(면적), 부피, 시간 부분을 대수적 사고능력은 황해익, 최혜진(2007)이 개발한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 중 대수검사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요리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높게 향상은 되었지만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요리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높게 향상되었고, 대수적 사고능력의 하위영역인 분류, 관계추론, 패턴에서도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research seeks to find out how actual application of cooking activities affect the measuring ability and algebraic thinking ability in young children. 21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control group and 21 young children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the measurement of area, volume and time(A Test of mathematics ability for young children in 2006 developed by Hyekyung Hong, Jungwook Lee and Chunghee Chung) and Algebraic thinking test(Pictorial mathematics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in 2007 developed by Haeik Hwang and Hyejin Choi). SPSS program for Windows 18.0 was used to process an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analyze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oking activities did no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easuring ability. Young children experienced the cooking activities were improved more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statistics, there was not big differences. Secondly, the cook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lgebraic thin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experienced the cooking activities were not different as the control group,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little bit more about the classification thinking ability, the relationship inference ability and the pattern thinking ability in the statistics.

      •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임혜란(Hye Ran Im),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affects the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research subjects, there were 25 inf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25 infants in a control group. As a test tool used for proving this study, the study used a “critical thinking test tool” created by Kim Hyeong-gyeong (2002) in order to discover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This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test,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For data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a linear mixed model analysis using the SAS 9.2 program, and applied the interactions between groups, time, and groups and time with a fixed condition. Then the study applied a non-structural variance covariance matrix while taking time as a repetitive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Among the critical thinking functions, recogni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talking about the reason by deter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for proof of thinking and forecasting of results, applying standards applied to others to me. In conclusio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has an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본 연구는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한 D유치원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50명을 대상(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이였으며, 자료 분석은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는 통제집단유아보다 ‘서로 다른 관점 인식하기’에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생각을 검증하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는 통제집단 유아보다 판단하여 이유 말하기 에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넷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결과 예측하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타인에게 적용한 기준을 나에게 적용해 보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그림·문자 통합 활동이 유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왕윤영(Wang Yun Young),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1

        The aims of this study is understand the effects of children‘s writing skills and express by picture and character which explores children‘s picture and character integr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6 children 18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18 for a comparative group. The through the program of 12 weeks,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structed to represent what they experienced for a day by connecting to what they learned from a topic of the day in class. Sometimes, after a field trip, they were guided to represent what they felt and thought from the outdoor activity, and they freely in drawing and writing. In case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ey received the general education by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Those children could participate in the writing activities when they voluntarily wanted. Results, The picture and character integration activities program allowed to children s to writing skills it was eff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그림으로 표현하고 문자로 나타내는 그림·문자 통합 활동이 유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립유치원 만 5세 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 총 36명이다. 실험집단은 주 2회씩 12주에 거쳐 그림·문자 통합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원하는 유아들만 쓰기 영역에서 쓰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그림·문자 통합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쓰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상숙(Park sang suk),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사 대 유아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활동의 효율성을 위해 몇몇의 유아들을 단순히 소집단으로 나누어 여러 가지 교육활동을 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협동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2013년 7월 초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충남에 소재한 B유치원의 만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측정기술 중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측정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표준 단위를 이용하여 길이, 넓이, 부피, 무게 측정하기’에서 측정능력이 향상된 것이다. 둘째, 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측정기술 중 직접 비교하기와 비표준 단위 선택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접 비교하기와 비표준 단위 선택하기에서 길이, 넓이, 부피, 무게 4개 영역 모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activ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on the measuring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s Study subjects were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Out of 50 5 year-old young children s enrolled at B kindergarten located at Chungnam, 25 young children s were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young children s into the control group. Examination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Measuring Ability Test Tool’ of Hee Young Jeon (2001). Preliminary test was carried out with 25 young children s in experimental group and 25 young children s in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measuring ability of control group who received planned education activities and that of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I carried out t-test and χ2 test for comparison of preliminary test and post-test between groups, and utilized SAS 9.2 program for thi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athematical abil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bility of young children to measure using non-standard unit among measuring skill of young children s Second, mathematical abil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was found not to influence the ability to directly compare and to select the non-standard unit among measuring skill of young children s In light of this, mathematical abil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bility to measure using non-standard unit’ among measur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s Since this ability requires thoughts more difficult than the ability to directly compare and to select non-standard unit, mathematical activ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Learning Together can be regard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measur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s.

      •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표현언어 분석

        도미숙(Suk Mi Do),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중 표현언어 발달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고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2와 만3세 영유아 12명으로 만2세 영유아 6명과 만3세 영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영유아들의 자연스런 표현언어 발산을 위해 6종류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였고 6종류의 놀이 환경은 그림책 읽기, IPTV 애니메이션, 블록놀이, 점토놀이, 병원놀이, 콩 주머니 던지기이다. 자료 분석은 선행연구결과(신경혜, 1994; 정옥분, 2003; 김정미, 2009; Bandura, 1973)에 따라 8가지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8가지 범주는 의성어, 모방/반복 언어, 부정어, 혼자언어, 상황에 적절한 언어, 설명 언어, 질문/요청언어, 음운언어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2세 영유아가 놀이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언어를 살펴본 결과 모방/반복언어(30.89%)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상황에 적절한언어(24.49%)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부정어(13.72%), 질문/요청언어(12.59%), 의성어(11.21%), 혼자언어(5.72%), 설명언어(0.91%), 음운언어(0.4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3세 영유아는 상황에 적절한언어(42.6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질문이나 어떤 일을 요청하는 질문/요청언어(16.82%)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모방/반복언어(14.77%), 의성어(9.16%), 부정어(6.73%), 혼자언어(6.73%), 설명언어(2.99%), 음운언어(0.19%) 순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의성어 발달의 차이는 만2세 영유아의 의성어의 표현언어 사용의 특징은 대부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63.27%)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기타의성어(24.29%)를 사용하였다. 반면 만3세 영유아들은 기타의성어(38.76%)를 가장 많이 표현했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36.73%)를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aly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2-3 year ol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ree play situation constructed with one type of domain as free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Observation on expressive language used by 2-year-old infants in play time indicates that imitated/repeated language (30.89%) is used the most time, followed by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24.49%), and negative language (13.72%), question/request language (11.21%), phonological words (11.21%), talking-to-oneself language (5.72%), descriptive language (0.91%), and onomatopoetic words (0.46%) are in order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the other hand,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by 3-year-old infants is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42.62%) and the next one is question/repeated language (16.82%). The following ones are imitated/repeated language (14.77%), onomatopoetic words (9.16%), negative language (6.73%), talking-to-oneself language (6.73%), descriptive language (2.99%), and phonological words (0.19%). The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8 types summaries as follows.

      •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윤희(Yun Hee Kim),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IPTV의 교육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IPTV가 제공하는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충남 부여군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L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30명이다. S어린이집의 15명은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쓰기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에, L어린이집의 15명은 표준보육과정에 따라 읽기·쓰기 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 수업 전, IPTV를 교육적 도구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하지만,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IPTV를 활용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으므로, 이와 유사한 매체적 특성을 지닌 컴퓨터, CD-ROM, 인터넷을 활용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읽기·쓰기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활용한 교육은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교육과정에 따라 읽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읽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쓰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교육과정에 따라 쓰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쓰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킨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that the IPTV provides affects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y in terms of the IPTVs educational aspects. The subjects of this paper are 30 three-year-old children attending S Daycare Center and L Daycare Center located in Buyeo-gun, Chungnam. 15 children from S Daycare Center were arrang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and 15 from L Daycare Center were assigned into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To attain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considered advanced research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PTV as an educational tool, before the experimental class. However, there is not much advanced research dealing with children regarding the IPTV; thus, this study mainly examined advanced research using the computer, CD-ROM, or the internet which has the similar characteristics as media regardi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showing that education that utilizes it has positive learning effect on childre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y, too. Through the experiment, this research has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eading activity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id show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ing read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oes improve children’s read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writing activity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id show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ing writ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oes improve children’s writing ability.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 3·4·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교육 활동 분석

        고경나(Kyung na Koh),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4·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수학활동이 생활주제별, 하위 내용별, 활동 유형별로 어떠한 구성 분포를 이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수학활동을 실행할 때에 체계적인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3·4·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록된 활동 중 자연탐구 영역 ‘수학적 탐구하기’라고 명시된 3세 84개, 4세 96개, 5세 85개 총 265개의 활동을 수학교육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수학교육 활동을 연령에 따라 생활주제별, ‘수학적 탐구하기’ 하위 내용별, 활동 유형별로 분석하여 항목별 빈도를 분석하고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주제별로 구성 분포는 활동의 수가 불균형한 분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내용별 구성분포는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내용에 집중된 분포로 나타났으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이해하기’ 내용을 포함하는 활동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활동 유형별 구성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소집단 활동보다 자유선택활동에 많은 수학활동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수조작’ 영역에 집중된 분포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eachers to develop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systematic direction when carrying out them in the kindergarten scene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organization by life theme, sub-content, and type of activity that is made up through the mathematics activities contained in the guidebooks for the teachers of Nuri curriculum for 3, 4 and 5-year old children. For this purpose, 32 guidebooks for the teachers of Nuri curriculum for 3, 4 and 5-year old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 total of 265 activities including 84 for 3-year old children, 96 for 4-year old children, and 85 for 5-year old children stated as Mathematical Exploration in the area of nature exploration out of the activities listed were selected. The frequency by item was analyzed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selected mathematics activities by life theme, mathematical exploration , sub-content, and type of activity according to 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tribution of organization by life theme showed that the number of activities makes up the uneven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of organization by sub-content showed the distribution focused on the content of learning the basic concepts of space and shape , while the activities that include basic measurement and understanding of regularity were very fe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organization by the type of activity, more mathematical activities were contained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than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distribution concentrated on the area of manipulation was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