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교리형성과 도교사상

        고시용(Ko Shi-Yo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06 道敎文化硏究 Vol.24 No.-

        원불교의 교리는 自修自覺한 少太山大宗師(朴重彬, 1891~1943)에 의해서 천명된 독창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리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과 함께 조선이라는 지역적 배경은 물론이요 누천년을 통해서 형성되어온 문화사상적 토양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원불교 교리성립사에 착안하여 도교사상의 연관성을 究明하였다. 원불교 교리형성과정에 있어서 도교사상의 수용은 소태산으로부터 일관되게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서 민중신앙의 도교적 요소와 매개되어 구도기를 거친 소태산은 대각이후 老莊思想에 근거한 수련도교의 유형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소태산은 교리, 특히 修行作法의 형성단계에 있어서 전래 한국의 練丹逸士들이 귀감으로 했던 양생서를 충분히 섭렵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초기에는 민간도교의 신앙적 측면을 수용하는 듯하다가 후기에는 人道上要法과 佛法을 주체로 교리를 체계화하면서 자연스레 정리되었다. 소태산은 도가의 哲理를 이해하고 練丹作法을 수용하면서도 도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였다. 도교사상을 수용함에어서 일원상 진리에 근거하여 교리강령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견지했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법신불 일원상을 주체로 원불교 교리를 체계화하면서 도교사상은 일원상 신앙과 수행의 이면에 내재화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아울러 도교사상은 원불교의 수행풍토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 바, 오늘날 ‘마음공부’로 집중ㆍ귀결되는 수행풍토를 정립하기 위해서도 원불교 초기의 수련법이 도교사상 및 그 수련법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 KCI등재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고시용 ( Shi Yong K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천도교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고 신문화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는 핵심교리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천도교 신문화운동의 전개과정을 정리하고 그 특징을 드러냈다. 천도교의 신문화운동을 ①의암 도일망명기(1901.3-1905.12), ②천도교교단확립기(1906.1-1918.11), ③독립운동 전개기(1918.11-1919.9), ④천도교청년회활약기(1919.9-1923.9), ⑤천도교청년당 활동기(1923.9-1939.4)로 구분할 수 있다. 천도교 신문화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학의 역사와 교리를 계승하여 인내천의 종지 아래 우리나라 근대사의 상황 속에서 절실히 요청되는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천적이며 효과적인 후천개벽운동이다. 둘째 종교운동을 명분으로 시작되었으나 독립운동을 비롯하여 교육운동·여성운동·소년운동·청년운동·농민운동·경제운동·문학운동 그리고 출판사업 등으로 확산되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된 보국안민·광제창생의 실천운동이다. 셋째 신지식을 갖춘 청년들을 중심으로 조직한 천도교청년회와 천도교청년당을 중심으로 전개된 비폭력·무저항·대중적 계몽운동이자 세계가 생존경쟁의 원칙에서 움직인다는 관점과 사회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개혁을 추구한 민족실력양성운동이다. 따라서 천도교의 신문화운동은 우리나라 근대 100년의 사회변동에 있어서 종교적 대응을 대표하는 자주적 대중계몽운동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religious movement, Cheondogyo, and investigates the core doctrine that provides an ideological background for its new cultural movement. Furthermore, this paper organi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and also reveals its distinct characteristic.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can be divided as follows: 1. Period of Uiam Son Byeong-hui`s (孫秉熙) political asylum in Japan (1901.3-1905.12) 2. Period of establishing the Cheondogyo order (1906.1-1918.11), 3. Period of developing an independence movement (1918.11-1919.9), 4. Period of Cheondogyo youth activities (1923.9-1939.4). The distinct features of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ffective, practical, and realistic movement for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heaven (後天開闢) because it tackles urgent national issues that arise in modern history by adopting the philosophy of Innaechun (Man is Heaven人乃天) from the doctrine and history of Donghak. Second, although it first started under the pretext of a religious movement, this independent movement promotes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es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proliferating education movements, feminist movements, youth movements, peasant movements, economic movements, literature movements, as well as supporting publishing businesses. Third, it is a mass movement that focuses on nonresistance and nonviolence with a focus on Cheondogyo youth groups who hold progressive ideas. Moreover it is a movement that pursues social reform on the basis of training the skills of people and moves on the principle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an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is a symbol of an autonomous mass movement that represents religious action that has changed our society within the last 100 yea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