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역할과 성취 그리고 명과 암을 맥락화하기

        이기형(Lee, Keehyeung),황경아(Hwang, Kyongah)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5 No.1

        <그것이 알고 싶다>는 지상파 영역의 대표적인 시사고발 프로그램으로 그간에 적지 않은 사회적 반향과 관심 그리고 ‘공분’을 매개해 왔다. 특히 한국 사회 내 주요한 사회적 부조리와 미제사건, 그리고 병리적인 사안들에 관한 기민하고 완성도 높은 스토리텔링의 힘과 미스터리 코드를 통한 정련된 탐구는 이 프로그램이 구축한 특징이자 ‘전매특허’라고 간주되기도 한다. 한편 지상파 영역의 대표적인 시사 · 탐사프로그램들이 심각한 정체와 부진을 보이며 또한 힘이 상당히 소진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적지 않은 수용자들의 관심을 견인하면서 홀로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 글의 목적은 <그것이 알고 싶다>의 역할과 내부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노동의 특성, 그리고 제작진이 대면하는 제도적인 압박과 영향을 다면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은 기존의 텍스트 분석만이 아닌, <그것이 알고 싶다>를 만든 경험을 가진 생산주체들의 관점과 경험을 분석의 주요한 자원으로 삼는 생산자연구를 시도한다. 또한 시사고발 프로그램의 공적인 역할과 위기상황이라는 사회정치적인 맥락성 속에서, <그것이 알고 싶다>의 성취와 한계를 상세하게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이 프로그램의 특성과 명암을 다루는 일련의 관련 기사들과 매체비평, 그리고 언론학자들의 의견서를 보완적으로 참고하였다. SBS’s 〈The Unanswered〉 -also known as 〈I want to know that〉- is one of the most famous investigative programs in South Korean television sector. This program is well-known for its much detailed and tenacious investigation of unsolved crimes, various social wrong-doings, as well as public scandals through a mystery code and meticulous storytelling. As a result, 〈The Unanswered〉 generates much popular interests and responses from local audiences. This work both examines and contextualizes the multiple roles and implications of this program through a textual and production analysis. Especially, it critically pursues this program’s achievements and limits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roles of investigative journalism and its unstable status at current juncture.

      • KCI등재

        ‘매체비평’의 역할과 명암을 다면적으로 진단하기 KBS 〈저널리즘 토크쇼 J〉의 특성과 성취 그리고 한계를 중심으로

        이기형(Keehyeung Lee),황경아(KyongAh Hw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5 No.-

        이 연구는 매체비평이 수행하는 공적인 역할과 사회 내에서 대면하는 복합적인 쟁점과 이견을 KBS의 〈저널리즘 토크쇼 J〉를 핵심 사례로 삼아 조명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이 프로그램은 탄핵 이후 공영방송의 ‘정상화’와 비판적 기능의 복원을 상징하는 주요 사안으로 고려된다. 그간에 이 비평콘텐츠가 구성을 대안적으로 구현하면서 모색한 언론 관련 심층적인 진단이나 공적 쟁점에 관한 상세한 비평과 검증은 상당한 인정과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와 함께 보수언론을 중심으로 이 프로그램이 발현하는 정파적인 관점이나 ‘편향성’에 대한 공세적인 비난과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이 작업은 텍스트분석과 방대한 전문가 서면 인터뷰로, 〈저널리즘 토크 쇼 J〉의 특성과 성취 그리고 보완할 측면과 한계를 상세하게 짚어내고자 한다. 매체비평이 학술적으로 크게 정체된 상황에서, 이 연구는 후속 작업이 참고할 수 있는 정련된 학술자원과 진중한 논의를 제시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the various roles and social effects that the 〈Journalism Talkshow J〉 in KBS performed through a textual analysis an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To put it bluntly, this program signaled a willed normalization of media criticism and rigorous journalistic review in public broadcasting sector. 〈Journalism Talkshow J〉 provided noticeable changes and poignant standpoints while reconstructing its format and mode of operation. In doing so, it ushered in a number of public recognition, collective interests, as well as positive responses. At the same time, it generated heated debates, controversies, and conflicts, especially from the conservative media. This work concretly deals with the afore-mentioned aspects in this program as a way of critically re-locating the roles and potential of media criticism at a time when journalsim is facing grave crisis and much blame in society.

      • KCI등재

        휴먼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청년들의 삶과 위기

        송동욱(Dongwook Song),허현(Hyeon Heo),기승연(Seungyeon Ki),김수진(Sujin Kim),신주영(Juyeong Shin),박진형(Jinhyeong Park),황경아(Kyongah Hwang),이기형(Keehyeung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2 No.-

        이 연구는 휴먼다큐멘터리의 양식을 활용하면서 제작된 EBS 〈다큐 프라임〉 ‘2017 시대탐구 청년’ 4부작의 스토리텔링적인 특성과 사회문화적인 함의를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청년 문제’를 둘러싼 매체들의 의미작용에 관한 해독과 관련 지식 작업들과의 상호비교적인 탐구와 연계를 통해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총 4부작으로 구성된 이 연작은 메탄올 사건 실명 피해자와 공장에서 노동하는 청년들, 최저임금심의위원회라는 제도적인 과정에 참여하지만 결국엔 실망하게 되는 청년, 최저임금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가 힘겨운 청년, 그리고 입사한 직장에서 몰이해와 차별을 겪으면서 자신의 행로를 고민하는 청년들의 초상을 비교적 담담하게 제시한다. 필진은 〈청년〉 연작이 복합적인 서사와 증언에 가까운 청년층의 발화를 크게 수렴하면서, 단편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자신들의 현실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청년들의 활동상이나 차별적인 위상을 내밀하게 재현하는 측면에서 ‘선한 의도’와 함께 일정한 성취를 보인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 기획은 청년층이 대면하는 문제점과 사회 내 몰이해에 관한 관찰점과 환기성이 깃든 메시지의 구현에는 성공적이지만, 보다 선이 굵고 치열한 문제의식이나 이를 체화하는 다큐의 양식성과 대안적 구성을 다각도로 숙고하는 측면에서는 일정한 관성이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In South Korea, most of young adults nowadays would encounter extreme socio-economic uncertainties, hardships, and fierce competitions among them. At the same time, a number of them tend to express deep frustration, anger, restlessness, and disillusionment toward the society in general. This alarming society-wide phenomenon has also been dealt with in the realm of local public television sector.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ose production crews in EBS have started to present several human documentary texts in which they would illuminate the varied lives of youth in agony. With that in mind, this study focuses on a four-part documentary text <Sidae Tamkoo> through a detailed textual analysis. We especially look into the various documentary modes and representational strategies in this text as a way of keenly evaluating the diverse roles of, and limits in such documentary-making efforts in the pursuit of representing and contextualizing ‘youth-at-risk’ in contemporary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