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전개과정과 대안 경제학으로서의 가능성

        홍태희(Hong,Tae-Hee) 한국사회경제학회 2016 사회경제평론 Vol.29 No.1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survey of Post Keynesian economic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008-2009 has triggered an important debate concerning economic theory, policy and methodology.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this economic crisis has done for economics is that it revealed mainstream economics was wrong. Mainstream economics has been unable to offer clear answers for the crisis. The economic crisis, at the same time, brought about a crisis in the field of economics. This study suggests that economics needs to be altered into a new form that can explain the real world econom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Post Keynesian economics can be understood as the alternative economics. The paper begins with the vision and the origins of several Post Keynesian ideas, leading to an examination of certain features of the various groups, including their methodology and their approaches to uncertainty, their pricing theories and their growth theories. The focus, however, is on the stage reflected in Post Keynesian economics which is concerned with the conception of Lakatos’s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It is recognized that more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lete the post keynesian economics as a standard science or as a progressive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in economics. 본 연구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전개과정과 대안 경제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비주류 경제학 중에서도 비주류 경제학이라고 칭해지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은 현재 대안적 거시경제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 인정받으며 외국에서는 비교적 활발한 논의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그간 여러 선행 연구가 있었지만, 여전히 학파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일차적 과제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전개과정을 통해 학파의 현황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주류경제학인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이 대안 경제학으로 자리매김할지를 라카토슈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 방법론(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을 이용해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이차적 과제이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특징을 주류경제학과 비교해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과 주류경제학의 경계를 긋는다. 다음으로 라카토슈의 연구프로그램 방법론을 이용하여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연구프로그램으로의 완결성을 가름해 본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한계 및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과정신학 삼위일체론에 의한 ‘신학적 생태론’ : 조셉 브락켄을 중심으로

        홍태희(Hong, Tae Hee)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9

        이천년 전 예수가 제시하였던 구원의 메시지는 이 시대의 생태 위기 상황에서 지구에존재하는 모든 피조물을 향한 것으로 재해석 되어야한다. 조셉 브락켄은 세계를 유기적연결 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체적 존재로 바라보는 과정형이상학을 기초로 하여 모든 존재를 상호 주체적 정신을 포함하는 사회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이 각자의 역할에 의해 공동으로 구성하는 장인 창조의 매트릭스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계의 모든 새로움이 창발하며 하느님의 의지가 전달되는 매트릭스를 통하여 무한한 범위를 갖는 세 위격은 하나의 실체로 인식된다. 이러한 존재방식은 세계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창조성을 제시하고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의지향하는 바를 점진적으로 완성해 간다는 범재신론의 전망을 제시한다. 세계의 사회 원리가 하느님의 존재방식을 지향해야 한다는 관점은 신앙의 근원인 삼위일체의 계시로부터‘신학적 생태론’을 제시할 수 있다. 개별적 주체성을 존중하면서 상호 연결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일치를 지향하는 신학적 생태론은 우주의 피조계 안에서 정신이 되는 인간의특별한 역할 또한 소중한 것으로 발견한다. The message of salvation presented by Jesus two thousand years ago must be reinterpreted to be directed to all creatures on the earth in the ecological crisis of this age. Based on process metaphysics, which views the world as a communal existence composed of an organically connected structure, Joseph Bracken identified all beings as social beings that include an intersubjective spirit. And the Trinity is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matrix of creation,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jointly constituted by their respective roles. The three Persons with the infinite scope are recognized as one substance through the Matrix which all novelty of the world emerges and the will of God is transmitted. This way of Trinity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world, proposes creativity, and includes results, and shows the prospect of panentheism, that all creations gradually complete the purpose of God. The view that the social principles of the world should be oriented toward God s way of being can suggest a Theological Ecology from the revelation of the Trinity, the source of faith. Theological Ecology, which aims for unity as interconnected social beings while respecting individual subjectivity, also finds the special role of human beings as spirit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s valuable.

      • KCI등재

        한국경제: 위기에서 침체로

        홍태희 ( Tae Hee Hong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4

        2015년 현재 한국경제는 지금까지 경제성장 과정에서 경험하지 않은 지속적인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상태에 있다. 이런 한국경제의 상황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대부분 연구자의 공통적인 의견은 한국경제가 그 이전의 발전양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그 중에는 한국경제가 장기침체로 가고 있다는 진단과 이미 장기침체에 빠져있다는 의견도 있다. 장기침체론은 대공황 당시 케인지언이던 한센이 주장하던 경기침체론인데 대공황이 끝나자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다시 등장했다. 본 연구는 한국경제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한국경제가 장기침체 국면에 진입했는지를 확인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기침체론을 주류경제학과 비주류경제학의 입장에서 나누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장기침체론과 관련한 한국경제의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장기침체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현상을 거시 지표를 통해 확인하며, 한국형경기 침체의 특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장기침체에 대한 정책 대응과 그 한계를 살펴보며 글을 맺는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acts, possibilities and causes of secular stagnation in Korean economy. Secular stagnation, which is a kind of depression theory in a capitalist economy, is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just negligible or no economic growth. Significant characters of secular stagnation are persistently low growth, low price level and low birth rate. The term was originally coined by Hansen in 1938 and dusted off by Sinn in 2009. It became popular again when Summers invoked the term and concept during a speech at IMF in 2013. This study focuses on how Korean economy has been in secular stagnation and what the conditions of it are. The structural overaccumulation which occurs due to the internal contradictions in the economic system will be regarded here as the main cause of secular stagnation in this paper. The so-called "overaccumulation" occurs when the competition between capitals causes continual reinvestments. A structural overaccumulation reveals the sector in which reinvestments of capital no longer produces return. Moreover, a structural overaccumulation shows where the regulation policies for business can``t stop the falling of rate of profit. The empirical fac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Korean economy might have been in the state of secular stagnation since several years. This study discusses, firstly about the various secular stagnation theories related with the orthodox and heterodox economics. Subsequently, the situation of the Korean economy is discussed. After the discussion about Korean economy,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ditions of secular stagnation in Korea. Lastly, a little bit of suggestion about the way to overcome the stagnation is proposed.

      • KCI등재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과 신학적 전망 :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과 토마스 베리의 지구학을 중심으로

        홍태희(Hong, Tae Hee)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8

        Environmental improvement could not be the solution for a modern ecological crisis.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is gaining persuasive power through an organic world-view of the perspective of post-anthropocentric subjectivit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an-experientialism. This means that all beings are interconn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ideals and purposes of the community. Accordingly, the anthropocentric civilization must be converted into a civilization of all beings including nature. God has meaning as the purpose of the evolution of this world. Thomas Berry sees the modern world as a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Cenozoic to a new civilization called Ecozoic. In the Cenozoic era, the distorted myth of anthropocentric progress has damaged the life system and lost the ability of creation. However, the Earth s history predicts that a new era will be open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it has been defined as an “ecozoic”. We can find more possibilities in the Eastern way of thought than Western for Ecological civilization. The ethos of Asian religions can be a blessing for Christianity to be reborn for a new ecological civilization through the Asian way of theology.

      • KCI등재

        독일의 경제정책: "메르켈노믹스(Merkelnomics)"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위기

        홍태희 ( Tae Hee Hong ) 한독경상학회 2014 經商論叢 Vol.32 No.4

        2014년 현재 유럽 지역의 경제가 다시금 침체에 빠지자 독일은 양적 완화와 긴축 재정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 그간 독일 경제는 제 2의 라인 강의 기적이라고 거론될 만큼 놀라운 경제력과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유럽은 물론이고 세계의 중심국으로 우뚝 섰다. 독일의 이런 약진이 어떻게 가능하며, 무엇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학계와 정치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일 경제약진의 배경으로 독일의 경제정책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기민당 메르켈 정부의 경제정책을 ‘메르켈노믹스’로 명명하고 메르켈노믹스의 이념과 현실적 적용 및 그 한계를 분석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독일 경제의 경쟁력과 성공의 배경이 되는 정책들으로는 독일경제는 물론 유럽과 세계 경제에 또 다른 문제를 가져다주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이 문제에 접근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독일 경제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는 메르켈노믹스의 이념적 지평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메르켈노믹스의 성과를 독일경제의 거시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과가 가능하게 한 요인을 살펴 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경제정책이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메르켈노믹스의 한계를 분석 한다. Currently Germany is in the central position in the world based on the incredible economic prosperity and strong political leadership. What a raised question around the academic and political discussions is: How is this possible? What is the background of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This study focuses on this question, specifically on the economic success and its consequences. With economic policy of the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nd her government, the named ‘Merkelnomics,’ that has been established since 2005, is the economic development well processed. Because of German macroeconomic indicators e.g., low unemployment rate, high grow rate is the application of Merkelnomics regarded as success and competitiveness of the German economy. But this kind of economic policy can be also a big burden of German economy in the long term. According to this pro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of Merkelnomics and its applicability in the German economy. The analysis consists of three parties. First, it analyzes perspectives and ideological orientations of Merkelnomics. And then the study analyzes how Merkelnomics is applied to the real econom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erkelnomics.

      • KCI등재

        조셉 브락켄의 사회적 삼위일체 모델 연구

        홍태희(Hong Tae Hee)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철학 Vol.-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신학자로서 신화이트헤드적 관점에서 삼위일체론을 전개하는 조셉 브락켄의 사회적 삼위일체 모델의 주요 개념들을 고찰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브락켄은 사변적인 전통적 삼위일체론의 비실제성과 현대 라너의 삼위일체론의 비인격적 요소를 비판하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하느님-세계 관계를 영혼-육신의 유비로 제안하는 하트숀의 의견에 반대하며 무한한 하느님을 유한한 세계와의 유비로 보는 것의 부적절성을 지적한다. 그는 상호주관성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실재론을 전개하면서, 과정 사상의 사회 개념을 통하여 삼위일체를 하느님 세 위격들이 상호주관성을 갖는 하느님의 사회로 설명한다. 브락켄은 현실적 계기가 결합체와 사회로 점점 구조화되면서 그들의 통합을 달성하도록 하는 지배적인 소사회가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 활동의 장’에 주목했다. 하느님의 신적 공동체는 ’세 위격의 구조를 갖는 활동의 장’으로서 세계가 경험할 수 있는 인격적 실체가 된다. 브락켄의 사회적 삼위일체 모델은 상호주관성을 갖는 공동체 시스템에 강조를 둔다는 측면에서 모든 피조물의 보편적 친교를 강조하는 현대 생태신학적 사유의 맥락적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major concepts and meaning of Joseph Bracken’s social Trinity model which is based on the neo-whiteheadian process thought. He tried to overcome the impersonal factor of Rahner’s Trinity model as well as the speculative traditional definition of Trinity. He took note of intersubjectivity as a factor to constitute a social reality. He explained Trinity is a society of the Divine persons where the Three coexist in intersubjectivity. Focusing on the dominant sub-society which integrates various sub-societies and actual entities, he explained the social ontology where the society becomes a personal reality we experience. The ‘structured field of activity’ is his unique concept to explain a personal reality. Thus the Divine community becomes a personal reality as the structured field of activity of Three Divine persons. Bracken’s social Trinity has a contextual meaning for the ecotheological thinking, which focuses on the interconnectivity and community system.

      • KCI등재

        성장과 분배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대안적 성장론의 고군분투와 절차탁마

        홍태희(Hong Tae Hee) 한국사회경제학회 2016 사회경제평론 Vol.29 No.2

        이 글은 2014년 독일인 경제학자 하인(Hein)이 쓴 『케인즈 이후의 분배와 성장: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길라잡이(Distribution and Growth after Keynes: A Post-Keynesian Guide)』에 대한 서평이다. 이 책에서 하인은 맑스와 케인즈 그리고 칼레츠키의 경제학을 바탕으로 21세기 자본주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성장 위주의 주류 성장론의 오류를 넘어, 분배가 성장의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신고전파 성장론과 케인지언 성장론, 포스트 케인지언과 포스트 칼레츠키언 성장론의 전개과정을 되새기면서 확인한다. 아울러 포스트 칼레츠키언 기본 모형에 ‘임금소득자의 저축’, ‘국제무역’, ‘기술 진보’, ‘이자와 신용’ 및 ‘금융화’라는 변수를 하나씩 추가하며 대안적 성장과 분배론을 완성해 간다. 이를 통해 이 책은 대안 부재에 허덕이는 세계 경제학계는 물론 한국 경제학계에도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view is about a book named ‘Distribution and Growth after Keynes: A Post-Keynesian Guide’, which is written by a german economist Eckhard Hein in 2014. In the book Hein provides guidance for alternative economic theories after Keynes and successfully brings a long-forgotten theme: distribution as center of economic analysis. For that Hein presents at first an overview of the various economic growth models including old and new neoclassical, Keynesian, Post Keynesian and Post Kaleckian growth models towards distribution and growth. After that he gradually extends basic Kaleckian models by introducing saving from wages, international trade, technological progress, interest and credit and ‘financialisation’ with results of several empirical works. This book should be of value for not only students but also for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interested in issues of distribution and growth in the contemporary capitalism and its long-term stagnation.

      • KCI등재

        제도경제학의 전개과정과 대안경제학으로의 가능성

        홍태희 ( Tae-hee Hong ) 한독경상학회 2021 經商論叢 Vol.39 No.1

        이 논문은 제도경제학의 정체성과 가능성 그리고 한계를 분석한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고통받는 현재 국경 봉쇄, 이동권 제한에서 마스크 할당 판매제나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영업시간 제약까지 국가의 시장 개입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실 인류는 위기 때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늘 제도의 틀 속에서 생존하고, 성장하고 위기도 맞았다. 이러한 사실이 본 논문에서 제도경제학을 주목하는 이유이다. 왜냐하면, 위기 앞에 선 인류에게 자유시장의 이념은 신기루처럼 사라졌고, 각 공동체가 선택한 제도의 역할이 분명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사실 제도는 시장의 자유를 제약하는 굴레가 아니라 시장이 작동하게 하는 배경이며 시장을 넘어 존재하는 역사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제도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잘 확인된 현재 제도경제학의 전통 속에서 대안경제학의 가능성을 찾는다. 이를 위해 제도경제학이 Kuhn의 새로운 ‘정상과학(normal science)’이나 Lakatos의 새로운 ‘과학적 연구프로그램 방법론(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MSRP)’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에 따라 먼저 제도경제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제도경제학을 분류하고, 학파의 특징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제도경제학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아울러 제도경제학이 새로운 정상과학이 될 가능성을 라카토스의 과학적 연구방법프로그램론으로 살펴본다. 이와 함께 제도경제학의 기여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알아본다. This study analyzes the identity,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Economics. As the world suffers from the Corona 19 pandemic, the state's intervention is taken for granted, from border blockades and restrictions on movement rights, to mask allocation and business hours restrictions due to social distancing. The Corona 19 Pandemic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s. In fact, not only in times of crisis, but also in normal times, we are alway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stitutions. This is the reason we are focused on Institutional Economics as an alternative economics. Institutions are not a bridle that restricts the freedom of the market, but the background that makes the market work.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conomics in the current Institutional Economics, where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s is better than ever. To this end, we will examine whether Institutional Economics can be Kuhn's new “normal science” or Lakatos's new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MSRP)”. Accordingly, in this thesis, first, we trace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stitutional Economics. Next, the identity of the school is confirm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Economics.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new normal science of Economics is examined with Lakatos's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Finally, we explain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Economics.

      • KCI등재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정체성과 현대경제학에 대한 기여와 한계

        홍태희 ( Tae-hee Ho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2 여성경제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근대 경제학의 역사 속에서 부침을 많이 겪는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을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오스트리아학파의 정체성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오스트리아학파의 정체성이 유지되고 있는지와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이 비주류경제학이라면 어떤 점에서 주류경제학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태동과 그 배경 및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오스트리아학파의 기본원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정체성과 특징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오스트리아학파의 기여, 문제점,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ustrian school economics, which has experienced many ups and downs in the history of modern economics, and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Austrian school. Through this, we examine whether the identity of the Austrian school is maintained and if Austrian school economics is non-mainstream economics, in what respects it is different from mainstream economics. Accordingl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origins of Austrian school economics, its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Next, the principles of the Austrian school will be examined, and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will be identified through them. Finally, the contributions, problems, and future tasks of the Austrian School are presen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