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자살위험군 선별을 위한 CES-D의 임계치 개발

        허만세(Hoe, Maanse),도문학(Doh, Moonhak),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2

        본 연구는 자살위험이 있는 노인을 선별하기 위해 우울척도인 CES-D11 척도의 자살위험군 임계치를 개발하고, 개발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자살위험군에 속하는 노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경북 의성에서 거주한 65세 이상 노인 394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ES-D11 척도의 자살위험군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ROC Curve 분석과 자살위험군 농촌노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I 자살척도의 표준화된 절단점인 9점을 활용해 ROC Curve 분석을 실시한 결과 CES-D11 척도의 자살임계치는 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척도의 자살임계치 6점을 기준으로 자살위험군과 비위험군을 구분하는 이분변수를 만들어 이에 대한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CES-D11 척도의 6점 이상인 자살위험군 집단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연령 구분, 학력 유무, 독거노인 여부, 사별 여부, 정서적 고독감, 노인생활만족도, 절망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살예방연구와 실천에서 우울척도인 CES-D11의 활용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농촌노인의 자살예방사업에서 CES-D11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screening for suicide risk in the elderly and to explore suicide risk factors affecting those elderlie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94 persons over 65 years old living in Uiseong, Gyeongsangbuk-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OC curve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a suicide risk assessment and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rural elderly suicide risk. The major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ROC curv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a suicide risk assessment is 6.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using dichotomous variables dividing suicide risk group and non-risk group by the 6 points of CES-D11, it was found that the age, education, elders who live alone, bereavement, feeling of loneliness, hope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risk. These study findings imply that CES-D11 would be a useful screening tool for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mplic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판 축약형 CES-D 척도의 측정불변성 검증

        허만세(Hoe, Maanse),박병선(Park, Byung-sun),배성우(Bae, Sung-w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판 11문항 CES-D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사하고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측정불변성이 유지되는가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전체 응답자 중 1차, 2차, 3차년도 모두 11문항 CES-D 척도에 응답한 20세 이상의 응답자 10,609명을 대상으로 1차 연도자료를 통하여 구축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11문항 CES-D 척도는 4요인 모형에 잘 부합되고 있었으며, 성별 및 연령집단 사이에서 측정불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본문에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11-item Korean version of the CES-D scale us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o test its measurement invariance over gender as well as age group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609 adults who answered 11 items of CES-D scale from the 1st wave to the 3rd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data was extracted from he 1st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was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11-item Korean version of the CES-D scale fits well to a 4 factor model and that its 4 factor model are invariant across gender as well as age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에 대한 Brief Symptom Inventory-18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허만세(Hoe, Maanse),이순희(Lee, Soon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단축형 간이정신진단검사(Brief Symptom Inventory-18, BSI-18)가 정신장애인의 정신과적 증상을 평가하고 치료 개입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타당 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었다. BSI-18은 BSI-53의 축소버전으로 임상 현장에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정신과적 증상을 확인하고 진단하며, 치료프로그램의 성과로서 증상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 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1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BSI-18 전체 문항과 하위요인에 대한 내적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반복측정을 통해 신뢰도를 파악하였으며,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해당구성개념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셋째, BSI-18의 우울 점수와 대표적인 우울척 도인 BDI, CES-D 20의 우울 점수 간에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준거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SI-18 전체 문항과 하위요인 등의 검사-재검사 반복측정 결과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높은 수준의 반복측정 신뢰도 및 내적일관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BSI-18은 3요인 모형이 가장 자료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SI-18의 우울증상은 BDI, CES-D 20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연구함의를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SI-18 in Korean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This study examined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a factor structure of the BSI. The sample consisted of 180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who enrolled in mental hospitals and in a day hospital. Data was analys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Korean version of the BSI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excellent convergent validity. The original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BSI-18, proposed by Derogatis, 2001, fitted to the dat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SI-18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as a psychiatric assessment tool and a treatment outcome measure.

      • KCI등재

        CES-D로 측정한 우울증상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탐색

        허만세(Hoe, Maans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종단자료를 구축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의 종단적 변화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latent trajectory class)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남녀 8,900명을 최종 샘플로 선정하여 Growth Mixture Modeling(GMM) 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복지패널에 나타난 우리국민의 우울증상 변화 궤적에는 5개의 하위 집단이 존재한다. 둘째, 전체 사례를 일반가구와 빈곤가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에서 성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가구에서는 4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고 빈곤가구에서는 3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우울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우울수준이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체 연구대상 중에서 약 12.1% 사람들의 우울 수준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우울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여준 두 가지 우울변화패턴(낮은 우울 수준 유지 집단, 우울감소 집단)의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우울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우울증상의 이질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또한 우울, 연령, 빈곤상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latent trajectory classes in the longitudinal change of depression measured using CES-D. The study data was extract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collected from 2006 to 2010. It consisted of 8,900 adults with aged over 19. Growth Mixture Modeling(GMM) was used to explore possible latent trajectory classes in the change of depression over time.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latent trajectory classes in the longitudinal change of depression. Second, there were 4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depression for people in a non-poverty group, while there were 3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depression for people in a poverty group. These findings lead to three conclusions. First, 12.1% of the sample shows that their depression level increases over time. Second,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of decreased depression over time might be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latent trajectory classes(a low level depression sustain group and a depression decrease group). Lastly,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in the longitudinal change of depression, which are found in the present study, might be caused by interactions among depression, age, and poverty status.

      • KCI우수등재

        한국어판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연구

        허만세(Hoe, Maanse),이순희(Lee, Soonhee),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척도가 청소년의 자살사고 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552명에게 한국어판 PANSI 척도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 료를 통하여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정도를 알아보았고, 관련척도(CES-D, BDI, RES, SWLS)들과 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살펴보았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PANSI 척도의 요인 구조의 적합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첫째,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Cronbach' ɑ는 .883으로 신뢰성이 비교적 높았다. 둘째, PANSI 척도는 Self-esteem 및 SWLS 척도 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 BDI, CES-D와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 타당도를 일정 정도 확 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ANSI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모형이 적합하였으며 자료 에 대해 66.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ANSI 척도가 국내에 서 청소년 자살사고를 측정하고 나아가 선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K-PANSI) scal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the K-PANSI. A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criterion validity (with respect to CES-D, BDI, RES, SWLS), and construct validity.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ronbach'ɑ of the K-PANSI scale is supported to some degree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ES-D, BDI, RES, SWLS.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PANSI scale showed that a two factor model was appropriate with 66.0 percent of explanatory p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PANSI scale could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dolescent' suicide ideation.

      • KCI등재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허만세(Hoe, Maans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에 따라 분석자료를 추출하고 인과관계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빈곤이 음주문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 상태의 변화가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에서 반복측정된 3,976명의 성인 남녀였으며, 인과관계 분석은 McArdle and Hamagami (2001)에 의해서 정립된 Latent Difference Scores (LD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먼저 음주문제 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밝힌 후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빈곤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4개의 하위집단 (빈곤 지속 집단, 빈곤 탈출 집단, 비빈곤 지속 집단, 빈곤시작 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전체를 이용한 LDS모델의 결과는 우울이 음주문제의 변화를 예측할 뿐 아니라 음주 역시 우울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대상자를 빈곤 상태 변화에 따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 집단에서는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시작 집단과 비빈곤 지속 집단에서는 우울의 음주 변화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 탈출 집단에서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빈곤상태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결과로서 기존의 횡단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서로 상충하는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is associated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76 adults who have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wave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causality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was analyzed using Latent Difference Scores (LDS) model, which was established in McArdle & Hanagami (2001). Furthermore, it was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represented by four subgroups: 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escaping group, non-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 beginning group) would influenc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a LDS model analysis using the entire sample shows that depression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rinking problem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and also drinking problem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epression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re is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poverty status transition subgroup analyses,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s held in the poverty-sustained group while depression is a cause of drinking problem both in the poverty beginning group and in the non-poverty-sustained group.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the poverty-escaping group. 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can be varied according the poverty status change,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to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from previous cross-section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 KCI등재

        정신요양원 인권 문제에 대한 고찰

        허만세(Hoe, Maanse)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3

        정신요양시설은 1995년 정신보건법이 제정으로 정부의 지도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시설내의 인권 문제는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2016년에는 ‘정신건강복지법’은 기존의 정신보건법을 개선하여 강제 입원 기준과 절차를 강화하였고, 정신질환자의 정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하였으며, 정신건강 증진과 복지서비스에 관한 규정을 추가하였다. 특히 동의 입원 제도와 자·타해 위험 의심자의 행정입원 개입 근거를 마련하여 등 인권 침해를 방지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신요양시설’은 인권침해가 없는 생활시설 기반의 치료, 보호, 재활의 기능을 강화해 왔다.. 그러나 생활시설의 폐쇄적 특성으로 인해 정신요양시설의 인권 문제는 여전히 논의가 필요하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인권 보고서 등을 폭넓게 고찰하여 정신요양시설에서의 인권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Residential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have been operated under government guidance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However, human rights issues within these facilities have been consistently pointed out. In 2016,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aimed to enhance the existing Mental Health Act by strengthening criteria and procedures for involuntary admission, providing a more specific definition of mental health patients, and introducing regulation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s. Particularly, efforts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demonstrated by establishing the voluntary admission system and the legal basis for the administrative admission of individuals at risk of self-harm or harm to other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residential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have strengthened their functions as living facilities with no human rights infringements, focusing on treatment, protection, and rehabilitation. However, due to the closed nature of these living facilities, human rights issues within residential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still require ongoing discussion,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at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review such previous research and human rights reports to reveal multifaceted aspects of human rights issues in residential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 KCI등재

        정신병원 장기입원환자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퇴원연계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허만세(Hoe, Maanse)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참여실행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화성시 정신건강증진센터가 실행한 장기입원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재배치 사업과정에서 드러난 문제 해결을 도모하고 그 과정에서 개발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퇴원연계서비스 모형과 그 성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는 화성시 정신건강증진센터는 장기입원 정신질환자의 재비치 사업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가 경기도 권역의 총 7개 정신병원에 재원한 54명의 장기입원환자들의 퇴원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퇴원연계서비스모형 개발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문헌조사와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내부업무자료 및 업무진행회의를 통하여 퇴원연계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과정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 서비스를 통하여 퇴원한 장기입원 환자들에 대한 사례관리 및 종단적인 추적조사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의 주된 결과로서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정신의료기관 장기입원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퇴원연계서비스 모형을 제시하였고, 3차년도 6차년도 사업시점에서의 퇴원연계서비스 모형을 통하여 퇴원한 퇴원자 추적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함의는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장기입원 정신질환자 퇴원연계서비스를 통하여 장기입원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복귀를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pathway)"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에 구체적인 논의를 본문에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a participant action research project implemented by the Hwaseong-si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aiming to develop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based dehospitalization process service model for long-term psychiatric inpatients. The outcomes of the project were reviewed as well. The researcher participated the project as a consultant and developed the dehospitalization process service model for long-term psychiatric inpatients with the team members in the project providing discharge counseling for 54 long-term in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7 mental hospitals in Gyeonggi-do. In this process, data were collected in various ways. Collected the data were through literature review, internal work files, work meetings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dehospitalization process service model. In addition, case management and longitudinal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A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based dehospitalization process service model for long-term psychiatric inpatients was proposed and discharged patient tracking results from a follow-up survey a 3 year later as well as a follow-up survey 6 year later were presented.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based dehospitalization process service could be a potential "pathway" from a mental hospital to a community for long-term psychiatric inpatients. A detailed discussion is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판 CES-DC 11의 개발

        허만세(Hoe, Maanse),이순희(Lee, Soon Hee),김영숙(Kim, Young 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CES-DC(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hildren)의 축약판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552명을 임의표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분석, 내적 일치도 분석, 준거타당도를 위한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구조 분석결과, 한국어판 CES-DC 11 척도는 4요인모형이 통계적으로 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판 CES-DC 11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α 지수가 .90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준거타당도 검사 결과 동일한 심리속성을 측정하는 척도(CES-DC 20, CES-D 11)와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이론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PANSI-NSI)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들(RES, SWLS, PANSI-PI)과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어, 한국어판 CES-DC 11의 준거타당도가 일정수준에서 잘 유지됨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CES-DC 11 척도가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함에 있어서 그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척도임을 보여 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후속연구를 본문에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11-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the K-CES-DC 11), examin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Various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ronbach’s α index was .94, showing high level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CES-DC 11. Second, the results of the criterion validity analyses showed that the K-CES-DC 11 showed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same psychological attributes (CES-DC 20, CES-D 11); a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theoretically similar attributes(PANSI-NSI); high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 measuring the theoretically negative-correlated attributes (RES, SWLS, PANSI-PI), suggest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CES-DC 11 to some degree.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correlated 4-factor model of the K-CES-DC 11 fitted best to the da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CES-DC 11 would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Korea.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