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韓國)의 영아사망수(?兒死亡數) 추정방법(推定方法) 연구(硏究)

        한영자 ( Youngja Han ),이승욱 ( Seungwook Lee ),도세록 ( Serok Do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保健社會硏究 Vol.16 No.2

        ?兒死亡率은 한 국가의 保健福祉 수준을 가늠하는 대표적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최근까지 신뢰할 만한 ?兒死亡率을 생산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兒死亡數를 推定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보험자료를 이용하고 의료기관조사를 통해 출산에서부터 우리나라 전체 출생아의 생사를 추적하여 實際 ?兒死亡數를 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兒死亡에 관한 여러 자료원으로부터 旣存資料를 수집 통합하고 동시에 重複資料를 除去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결과 1993년도 출생코호트의 ?兒死亡數는 7,088명으로 추정 되었으며 신생아사망은 ?兒死亡의 66.2%를 차지하였다. 의료기관조사 자료는 추정 總?兒死亡의 73.3% 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신생아사망 부분에 있어서는 총 신생아사망의 90.2%를 포함하고 있다. 주민등록자료는 總?兒死亡의 29%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신생아 후기사망에 있어서는 總新生兒後期死亡의 79.8%를 포함하고 있어 생존기간별로 자료의 代表性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보험 급여청구시 출생 관련 코드와 컬럼부여, 死亡時 疾病分類코드 이외에 사망에 관한 코드를 부여한다면 출생 및 사망 統計生産이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A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recognized Infant Mortality Rate(IMR) has not yet been produced i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tistics for measuring the health and welfare level of a population.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 new method for estimating infant deaths in Korea. An attempt was made to collect information on real infant death cases by using the medical insurance benefit data and by conducting a medical facilities survey, which allows us to tracing back the fate of the births from the delivery. Another strategy employed was the gathering of information on infant deaths from the various existing sources and integrating them into one set after adjusting for overlapping cases among the sources. The number of infant deaths of the 1993 birth cohort was estimated to be 7,088, and the proportion of neonatal deaths was 66.2% of all infant deaths. The medical facilities survey covered only 73.3% of the total estimated numbers of infant deaths; however, coverage of neonatal deaths was 90.2%. On the other hand, the resident registration data covered only 29% of all infant deaths, while its coverage during the post-neonatal period was 79.8% of the total deaths during the period. If one column is given to the delivery result in the requesting form on requesting the remuneration, the production of the vital statistics will be much easier.

      • KCI등재

        한국(韓國)의 모성사망(母性死亡) 연구(硏究)(1995 · 1996)

        한영자 ( Youngja H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保健社會硏究 Vol.19 No.2

        모성의 건강확보와 모성사망 감소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가 되는 모성사망은 빈도가 높지 않고 자료 확보가 어려워 신뢰할 만한 측정치를 얻기가 쉽지 않다. 우리 나라는 아직까지 전국 수준의 모성사망조사를 실시한 적이 없으며, 사망신고자료는 사망진단서 첨부율이 완전하지 않고, 간접 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이 거의 신고되지 않아 지표 산출에 한계 가 있는 실정이다. WHOAMCEF 등 국제기구는 1996년 모성사망 추정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여 1990년도 우리 나라 모성사망비를 추정하였으나 이 수치는 우리나라 실정에 비해 너무 높은 수준으로 출생아10만명당70인 북한의 2배에 가까운 130으로 게재하여 정치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 시킨 바 있다. 우리나라는 수차에 걸쳐 국제기구에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국제적으로 수용할만한 조사방법에 의한 결과를 제시하기 전에는 수정이 가능하지 않다는 응답을 받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책수립에 기초가 되는 모성사망 지표 생산과 국제통계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사망신고자료로부터 15~49세 가임기 연령층의 여성사망자 전체를 선별하여 이들을 임신과 분만으로 의료보험 급여를 받은 대상자와 ID를 중심으로 동일인을 전산상에서 연계하였다. 이들을 사망이 발생한 의료기관으로 추적하여 진료기록부를 확인하여 모성사망 여부를 확인 하였으며, 이들 이외에 전국의 병원에서 추가로 확인된 모성사망자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 나라의 모성사망비는 1995년과 1996년 모두 출생아10만 명당 20인 것으로 밝혀졌으며,직접 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은 80.9%, 간접 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은 19.1%였다. 직접 모성사망원인으로는 출혈이 25.7%로 수위를 차지하였고, 다음이 고혈압으로 16.3%, 자궁외 임신을 포함한 유산 6.2%, 감염 1.4% 순이였다. 이 조사결과는 세계보건기구로부터 인정을 받아 1999년도부터 국제 통계지표로 채택되었다. In 1996, WHO and UNICEF published a set of model-based country estimates of maternal mortality ratios for 1990. The estimated Korean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too high for Korean situation at 130 and the ratio was almost twice as high as North Korean rate at 70. It became a social and political issue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has often asked WHO to correct the indices. However, the reply was that it cannot be corrected unless a result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able scientific method is submitted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duce maternal mortality indices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to correct deviated international maternal health statistics. In this survey, all female deaths during reproductive period - 15 ~49 years of age - were selected from the death registration data and they are matched with maternity benefit data of health insurance on the computer on the basis of ED confirmation They are traced back to the hospital where the death was occurred and confirmed the cause of death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Additionally confirmed maternal deaths at the hospital were also investigate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20 per 100,000 live births both in 1995 and 1996. Direct obstetric cause occupied 80.9% of maternal death and indirect obstetric cause at 19.1%. The major causes of direct obstetric death were hemorrhage (25.7%), hypertension (16.3%) and embolism (15.6%). Indirect causes consisted of malignant neoplasm, heart disease, renal disease, etc. The survey result was approved by the WHO and the ratio was appeared on the international data sheet in 19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