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완골 소두 골절에서의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하청수(Cheungsoo Ha),김준한(Junhan Kim),하중원(Joong Won Ha),이준구(Jun-Ku Lee),한수홍(Soo-Hong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상완골 소두의 골절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되는 손상으로 유병률은 주관절부 골절의 1%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소두는 요골두와 관절면을 이루고 있어 골절 자체가 관절 내 골절에 해당하여, 골절 전위 시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골절의 희소성 때문에 치료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최근에는 무두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양호한 치료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소두 골절로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증례들을 분석하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2002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고 16세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K-강선과 압박 무두나사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을 시행받은 총 19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치료 결과에 대한 영상의학적 결과 분석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관절의 안정성 유지, 골절의 유합 여부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으로는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주관절 운동 범위, 시각적 통증점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술 후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수상 당시 평균 연령은 57.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2.6개월이었고, Bryan–Morrey 분류에서는 1형이 12예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4형이 3예, 3형이 3예, 2형이 1예씩이었다. 영상의학적 분석 결과로서 모든 골절에서 최종 추시 시 골유합을 얻었으며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견된 경우는 없었다. 임상적 분석 결과로써 수술 후 평균 굴곡구축은 9.7° (최소 0°–최대 30°), 평균 최대굴곡은 130.3° (최소 90°–최대 145°)였으며 평균 총 굴곡 신전 각도는 120.5°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시각통증 점수는 1.3 (최소 0–최대 3)점이었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EPS는 85.5 (최소 75–최대 95)점, 평균 DASH 점수는 27.6 (최소 5–최대 46)점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드물어 흔하게 경험하는 골절은 아니지만, 손상 양상을 파악하여 전위된 골편의 해부학적 정복 및 K-강선과 무두나사를 이용한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진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Fractures of the capitellum of the humerus are relatively rare injuries, and the prevalence is known to be less than 1% of all elbow fractures. Since the capitellum forms an articular surface with the radial head, this fracture is considered to be an intra-articular fracture, and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displaced fracture. Due to the rarity of this type of fracture, only a few studies on treatment have been published. We report the results of cases tha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apitellum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review,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a capitellum fracture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20, and who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12 months and were over 16 years old were included. A total of 19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K-wires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s were included. Radiograph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imple radiographs taken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he joint and the union of fractures.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visualized pain scor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7.3 years, and their average follow-up time was 22.6 months. Most of them were type I (n=12) as per the Bryan–Morrey classification. The radiographic analysis showed that bony union was obtained at the final follow-up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ase of joint instability. The results of the clinical analysis showed that average flexion contracture was 9.7° (min 0°–max 30°), average further flexion was 130.3° (min 90°–max 145°), and average range of motion was 120.5°, and the average visualized pain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1.3 (min 0–max 3).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MEPS was 85.5 (min 75–max 95) and the average DASH score was 27.6 (min 5–max 46), which was satisfactory. Conclusion: With early rehabilitation, capitellum fractures can be treated well without complications if the joint surface is aligned congruently with open reduction and firm fixation by using K-wire or headless compression screws.

      • KCI등재

        방사형과 초점형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의 임상적 치료결과

        이재만(Jaeman Lee),하청수(Cheungsoo Ha),안태근(Tae-Keu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지난 20년간 근막동통증후군에서 체외충격파 치료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방사형과 초점형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충격파 유형에 따른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의 임상적 치료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을 진단받고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받은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형별로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 24명,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 42명이었다. 치료 시작 전 시각통증척도와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으로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를 조사하고, 1주일 간격으로 총 6차례의 체외충격파 치료를 마친 후 동일한 시각통증척도와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를 다시 조사하였다. 결과: 시각통증척도는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3.66점에서 치료 후 2.54점으로 개선되었고(p=0.007),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3.26점에서 치료 후 2.52점으로 개선되었다(p=0.010).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에서는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는 각각 64.60점, 24.96점에서 치료 후 각각 71.76점, 27.98점으로 개선되었고(p<0.001, p=0.006),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는 각각 64.06점, 25.26점에서 치료 후 각각 72.19점, 28.80점으로 개선되었다(p<0.001, p<0.001). 결론: 방사형 및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 모두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감소 및 어깨관절 운동기능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Purpose: In the past 20 years, studies on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n myofascial pain syndrome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no studies hav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radial and focused type directly.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treatment effects of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according to the type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8 to February 2019, 6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subjected to extracorporeal shock waves. Twenty-four patients were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and 42 patients were in the focused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Before starting treatment,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were examined. After six shock wave treatments were completed at intervals of one week,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were re-evaluated. Results: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improved from pre-treatment 3.66 points to post-treatment 2.54 points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p=0.007), and improved from pre-treatment 3.26 points to post-treatment 2.52 points in the focused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p=0.010). For the shoulder function evaluation, th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improved from 64.60 points and 24.96 points, respectively, before treatment to 71.76 points and 27.98 point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p<0.001, p=0.006). Th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in the focal extracorporeal shockwave treatment group improved from 64.06 points and 25.26 points, respectively, to 72.19 points and 28.80 points after treatment (p<0.001, p<0.001). Conclusion: Both radial and focused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we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the shoul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