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인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연구

        하승미 ( Ha Seung-mi ),이달엽 ( Lee Dal-yob ),이종정 ( Lee Jong-j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안정적인 고용상태를 위한 직업재활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농인 113명, 난청인 54명, 청인 115명을 대상으로,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관련된 7가지 요인을 26문항의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기술통계값, ANOVA, 회귀분석 등을 통해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고용의 질은 청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농인, 난청인 순으로 나타났고, 농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참여와 발언, 직장 내 의사소통에서 고용의 질이 낮고, 난청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노동강도, 임금만족수준, 작업과정 주도성, 참여와 발언, 상사와의 친밀, 직장 내 의사소통, 장애로 인한 차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인보다 낮은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 향상을 위해 학력신장, 직종의 다양화, 임금 향상, 노동시장 접근 방법 다각화, 근무환경개선, 직장 내 청각장애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stable and successful employment amo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 of the 113 deaf, 54 persons with hard-of-hearing(the HoH) and 115 ordinary person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 item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5 items about the properties of handicaps and 24 items about objective quality of employment designed for the 7 main factors and 26 sub-factors with a Likert scale. To analyze this data,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deaf and the HoH showd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many aspects than other research participants groups. Second, the deaf group had the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the areas of the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communications in the work place, while the HoH in items such as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working intensity, level of satisfaction for wages, initiative in the working process,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intimacy with bosses, communication in the work place,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occupation areas, improved wages,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the diversification of approaches to labor marke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 KCI등재

        신문에 보도된 직업재활 관련 기사 분석

        김진훈(Jin hun Kim),하승미(Seung mi Ha)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 발전추이가 얼마나 신문에 노출되었으며 사회적 관심을 받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990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국내 9개의 신문사에 보도된 직업재활 관련기사를 외형적인 보도경향과 내용적인 보도경향으로 나누어 양적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문이 우리나라 직업재활의 흐름을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더불어 살펴보았다. 기사검색은 직업재활과 직업재활 과정인 장애인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직업배치, 사후지도를 검색어로 제목검색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내용상 직업재활과 관련이 없는 것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했다. 연구결과 외형적 보도경향에 해당하는 직업재활 관련 기사는 25년간 99건이라는 아주 적은 수치였고, 기사 형태는 사실전달 수준인 뉴스형태가 절대적으로 많아 형태가 제한적이고, 기사의 크기는 소규모에서 대규모의 기사로 차츰 증가하는 추세였다. 내용적 보도경향인 기사의 주 제는 제도·행정이 많지만 미담·극복과 문화·행사도 비슷한 수준이었고, 기사의 논조는 사실전달 중심의 중립적인 것이 많았으며, 직업재활 표현 용어로는 직업재활이 가장 많고, 직업재활 과정 중에서는 직업훈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직업재활 관련기사가 신문사, 현장가, 장애인 당사자, 지역사회 모두의 노력으로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재활의 현장을 반영하며, 직업재활의 발전추이를 신속히 전달하므로, 보다 공신력 있는 언론으로 작용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is a quantitative study of trend report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that were published in the nine national newspapers from 1990 to October of 201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if these reports have raised social interest and also to find out is news coverage about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progressed. Qualitative analysis was combined to see if, how quickly, and how accurately these reports have affected the flow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our countr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rticle search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vocational counseling, vocational assessment, job training, job placement, and aftercare” have increased. The term “rehabilitation” was excluded from the target analysis. in 25 years, there has only been a mere ninety-nine articles published concern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ize of the publications has gradually increased from small to large, however. Even though other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articles have had the same lack of publishing, most of the articl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facts and job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y have not effectively captured society’s attention. Instead of only providing empirical data about vocational rehabilitation, public relations along with the media should concentrate on gaining positive public interest.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 근로자의 인사관리자의 직업 적응에 관한 인식 연구

        이달엽(Dal Yob Lee),하승미(Seung Mi Ha)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2

        청각장애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장애로 잘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덜 소외받는 듯 하지만 더욱 철저히 소외를 받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쉽게 취업의 문턱을 넘지만 또한 쉽게 취업의 문턱 밖으로 밀려나는 깃이 청각장애인이다. 이는 청각이라는 감각의 손실이 단순한 기능의 장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의식수준,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직업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과거 청각장애 근로자에게만 초점을 둔 연구와 달리 인사관리자의 인식도 함께 연구하여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청각장애 근로자의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청각장애 근로자는 임금을 이직의 가장 큰 이유로 꼽고 있었고, 인사관리자는 의사소통상의 모란을 고용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고 있었다. 청각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장 환경에서는 청각장애 근로자와 인사관리자 모두 청각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있고 복리후생인 잘 된 직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모범적인 청각장애 근로 지상에서는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동료와 협조적으로 일하는 사람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장애 근로자들에 비해 인사E관리자의 평균이 모든 문항에서 높게 나타났다. 청각장애인의 성공적이 직업생활을 위해 4대 보험, 퇴직금과 같은 복리후생이 기업체에 정상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의사소통상의 장벽을 해소할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인사관리자에 비해 낮은 모범적인 근로자상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기본적인 공교육 수준의 향상을 비롯한 개인의 욕구에 따른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청각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 adjustment of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the ideal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in general. It s also suggested the service strategies and intervention plans for increasing work adjustment among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 questionnaire using a 5-point Likert scale was distributed to 322 workers with impairment and their immediate supervisor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131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73 their immediately supervisors (the returning rate 68.0%).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 series of questions about desirable work conditions. and the questions about the ideal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is study. chi-squares. t-tests. corelation analyses. factor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work adjustment of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①working conditions. ②working environments. ③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nd ④work attitudes. Secon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scales on the desirable working environment to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 ideal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revealed a two factor model respectively. Third. in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these two survey group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sirable working environment. The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 on the ideal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Forth. among the desirable working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considerabl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offering a retirement allowance and insurances are very important. Honesty. responsibility and the cooperation with fellow workers were identified as being the most sali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importance. Fifth.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desirable working environment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as the degree on the perception forward the ideal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However.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desirable worker with hearing impairment are age. length of tenure. religion. and school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enterprises and companies must put efforts on making good working environments for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Second.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y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public and social education for increasing awareness level forward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