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성난소 기형종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 1 예

        최병찬(BC Choi),박형무(HM Park),김우균(WK Kim),박용욱(YW Park),배도환(DH Pai)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4

        저자들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양성난소기형종에서 발생된 편평상피 세포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dermoid cyst is the most common ovarian germ cell neoplasm comprising 10% of all ovarian tumors . There are many complications in dermoid cyst such as rupture torsion, infection and suppuration etc. Among these, relatively uncommon but most serious complications is malignant degeneration. Many types of malignancy can develop from dermoid cyst. The most common type is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e experienced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dermoid cyst of the ovary in 68 years old postmenopausal woman and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concerned literatures.

      • KCI등재

        부인과 영역에서 복강경 이용의 임상적 고찰

        배도환,박형무,김우균,최병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9

        치료적 복걍경술을 시행한 859례와 진단적 복강경술을 시행한 142례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임시술을 위한 복강경시술이 총 복강경시술례의 84.8%를 차지하여, 복강경의 사용이 불임시술에 의해 가속화 되었음이 두드러졌다. 2. 사용된 불임시술 방법은 거의 96.6%에서 Yoon`s ring을 사용하여 전기적 소작방법에 의한 장기손상을 피하였다. 3. 불임시술시 출산력은 2회가 가장 많았고 년령은 26세에서 35세가 70.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4. 진단목적의 복강경시술례중 적응증은 급성 혹은 만성적으로 골반통을 호소했던 환자가 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원인을 규명할 수 있어 골반기관의 촉진 및 시진에 의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하였다. 5. 난소종괴를 의심했던 12례중 복강경진단상 난소종괴는 10례로서 확진률은 83.3% 이었다. 6. 불임증환자 24례에서 진단적 복강경술과 자궁경을 통한 색소 주입으로 불임의 원인병변 및 난관폐쇄 유무를 알고 난관재건술의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도움을 얻었다. 7. 자궁외 임신이 의심됐던 25례에서 복강경검사상 12례만이 즉각적 개복수술의 필요성이 관찰되어 나머지 13례에서 불필요한 개복수술을 피할 수 있었다. The introduction of laparoscopy in gynecology was facilitated by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hich had first been attempted by using the Ruddock peritoneoscope in 1940. After then, laparoscopy has been used for the diagnosis of pelvic diseases and selected surgical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gynecology widel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859 cases of therapeutic laparoscopy and 142 cases of diagnostic laparoscopy have been performed from January 1, 1983 to December 31, 1987.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ertility and in the evaluation of acute and chronic pelvic pain and pelvic mass, the values of the laparoscopic procedure were discussed with static figures and tables. Also, the general aspects of gynecologic laparoscopy were reviewed on the literature.

      • KCI등재

        정상 임산부의 분만전 후 및 진통중 혈청내 Progesterone과 Prolactin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배도환,박형무,김우균,최병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1987년 3월부터 1988년 9월까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해 입원했던 만삭 산모중 정상 자연분만을 한 산모 19명을 대상으로, 진통 시작전과 진통중 그리고 분만후 1시간, 2시간, 24시간, 1주, 2주, 3주에서 혈중 progesterone과 prolactin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체 혈청 prolactin치; 진통 개시전 혈청 prolactin치는 203.24±47.92ng/ml이었고, 자궁경부개대가 5cm일 때 평균 측정치는 230.72±79.13ng/ml로 증가하였다. 태반 반출 직후 178.12±64.12ng/ml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분만 1시간 후 197.23±85.90ng/ml, 분만 2시간 후 188.51±66.80ng/ml, 분만 24시간 후 187.05±65.11ng/ml이었다. 산욕기 1주경 혈청 prolactin치는 90.00±22.07ng/ml로 거의 임신전의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산욕기 2주경엔 17.65±9.26ng/ml로 거의 임신전의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산후 3주째 혈청 prolactin치는 10.32±1.47ng/ml를 나타냈다. 2. 모체 혈청 progesterone치; 진통시작전 혈청 progesterone치는 150.45±38.64ng/ml이었으며 자궁경부 개대가 5cm정도 되었을 때 측정치는 137.94±33.04ng/ml로 진통이 활성화 되고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태반 반출후 혈청 평균치는 더욱 감소하여 반출직후 67.78±43.23ng/ml 산후 1시간에 38.36±20.51ng/ml, 산후 2시간째에 25.43±12.80ng/ml로 극심히 하강하였으며, 산후 24시간째에 13.88±9.01ng/ml로 월경주기의 황체기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Assuming that quantitative determinations of hormones in maternal blood may give information on the pregnancy and their role in the process of the parturition, serial determinations of prolactin and progesterone in peripheral plasma have been performed. This study was consisted of 9 determinations of prolactin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the perpheral blood of 19 normal pregnant women who had been admitted for delivery at the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87 to September,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03.24±47.92ng/ml(oneset of labor, at term), 230.72±79.13ng/ml(active labor, cervix 5 cm dilatation). After delivery, the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to 178.12±64.12ng/ml(immediately after placental expulsion), 90.00±22.07ng/ml(1 week postpartum), 17.65±9.26ng/ml(2 weeks post-partum). The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 returned to pre-pregnant state at the two seeks postpartum. 2.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peak at term(150.45±38.64ng/ml) and dectrased during labor(cervix 5 cm dilatation: 137.94± 33.04ng/ml). There was a marked drop in th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from the removal of the placenta to (2 hours postpartum: 25.43±12.80ng/ml). Within 24 hours after delivery,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declined to that in the luteal phase of the menstrual cycle(13.88±9.01ng/m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