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배회관리 지침 개발

        천홍진(Cheon, Hong Jin),송준아(Song, Jun-Ah)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치매노인 가족이 치매노인의 배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째, 배회관리 지침 개발 준비 단계에서는 치매노 인을 돌보는 가족 10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및 개별 인터뷰를 시행하여 치매노인의 배회 관련 경험을 분석 하였다. 둘째, 지침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예비 항목을 작성하고 전문가 8인의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셋째, 지침의 평가 단계에서는 치매노인 가족 13인을 대상으로 지침에 대해 교육하고 제공된 배회관리 지침 소책자를 이용하여 일주일 간 적용하도록 한 후 배회 관련 지식, 지침 적용 정도, 사용자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지침은 ‘배회의 정의’, ‘배회의 원인’, ‘배회 가능성이 높은 경우’, ‘배회 예방’, ‘실종 예방’, ‘배회 발생 시 대처 방법’, ‘실종 발생 시 대처 방법’의 7가지 주제, 총 86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배회관리 지침 사용 교육 전․후 가족의 배회 관련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하였고(p=0.014), 지침 적용 정도 9문항의 평균은 2.69~3.46(range: 1~4)점이었으며 사용자 만족도의 7개 항목 평균은 2.85~3.38(range: 1~4)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배회관리 지침은 국내 지역사회 거주 치매노인의 배회 특성과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지침을 가족들에게 시범 적용하고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배회관리 지침은 가족들이 치매노인의 배회에 대해 보다 잘이해하고 대처하며 배회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andering management guideline for family caregiver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EWD).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n=10) were performed to analyze family caregivers’ experiences about wandering of the EWD under their care. In the second stage, preliminary contents for the guideline were made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of family caregivers and reviews of literature. Final version of the guideline with 86 items was established after experts’ review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analysis. In the final stage,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uideline using a sample of 13 family caregivers of EWD. Family caregivers were educated about how to use the guideline and ask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 to examine their knowledge about wandering,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guideline, and satisfaction with the guideline. Family caregivers’ knowledge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14) and the average scores in the process evaluation (9 items) and user satisfaction (7 items) about the guideline were 2.69-3.46 (range: 1-4), and 2.85-3.38 (range: 1-4), respectively. Further study with a large random sample is necessary to confirm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가족 돌봄 제공자를 위한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준아(Song, Jun-Ah),박재원(Park, Jaewon),천홍진(Cheon, Hong-Jin),박명화(Park, Myonghwa)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가족 돌봄 제공자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Web-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WebEd-BPSD)을 개발하고자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WebEd-BPSD는 총 2차 년도(1차 년도 2013년; 2차 년도 2014년)에 걸쳐 교육 요구도 분석(1단계), WebEd-BPSD 개발(2단계), WebEd-BPSD 평가(3단계)를 통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국․내외 문헌고찰과 가족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WebEd-BPSD의 학습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구성하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공격성(6분 56초)’, ‘초조행동(5분 30초)’, ‘무감동(3분 15초)’, ‘망상(7분 19초)’, ‘환각(6분 57초)’, ‘배회(7분 38초)’, ‘부적절한 배설행동(8분 17초)’, ‘부적절한 식사행동(6분 21초)’의 총 여덟 편으로 구성된 WebEd-BPSD을 제작하였다. 3단계에서는 서울 소재 4개의 치매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가족 돌봄 제공자(1차 년도 50명; 2차 년도 49명)와 전문가 집단(1차 년도 11명; 2차 년도 12명)에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족 돌봄 제공자 및 전문가의 영상 및 내용 평가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는 1차 년도 3.43점, 3.25점, 2차 년도 3.38점, 3.54점이었고, 세부 항목별 만족도 평가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는 1차 년도 3.53점, 3.23점, 2차 년도 3.61점, 3.59점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치매노인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to empower family caregivers in dealing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WebEd-BPSD).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13 and 2014, consisting of three phases. In phase 1,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amily caregivers were performed to select themes and contents for the WebEd-BPSD. In phase 2, validity of the themes and contents of the WebEd-BPSD were evaluated by professionals and eight sets of the WebEd-BPSD were finally produced: aggression (6’56”), agitation (5’30”), apathy (3’15”), delusion (7'19”), hallucination (6’57”), wandering (7’38”), inappropriate elimination (8’17”), and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 (6’21”). In phase 3, the WebEd-BPSD was evaluated by professionals (n=11 in 2013; n=12 in 2014) and family caregivers (n=50 in 2013; n=49 in 2014). The image and contents of WebEd-BPSD was rated 3.43, 3.38 by family caregivers and 3.25, 3.54 by professionals in 2013, 2014,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y were satisfied in general with the WebEd-BPS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t would be worthy to develop more contents that could be added to the WebEd-BPSD and to examine short term and long term effects of the program.

      • KCI등재

        우리나라 치매 관련기관 종사자의 치매전문교육 요구와 발전 방향

        정수아(Jung, Sua),송준아(Song, Jun-Ah),천홍진(Cheon, Hongjin),김지연(Kim, Jiyeon) 한국노인간호학회 2021 노인간호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ementia-specialized education and the training needs of employees from various dementia-related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urriculum.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generated from four round-table meetings with 44 participants recruited from the metropolitan centers for dementia (N=12), regional dementia-relief centers (N=15), long-term care settings (N=7), and public long-term care hospitals (N=10). Each meeting was held for about 120 minutes, and participants discussed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their job, satisfactory and non-satisfactory experiences of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and what should improve. All contents discussed in each meeting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ventional content-analysis method. Results: Eight categories and 19 subcategories emerged under the three themes of (a) educational contents recognized as necessary, (b)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mpleted dementia education, and (c) direc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programs for employees of dementia-related institutions. Conclusion: Dementia-specialized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tandardized and structured systematically an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job characteristics, type, and required level of expertise. Communication with and attitudes toward patients with dementia is re-emphasized as a common content regardless of occupation and institution; thus, sufficient training time should be secured. Qualified instructors and various platforms are also necessary to effectively deliver qual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