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형 아포칼립스 비판’에 질문하기 -퀴어/세대 아포칼립스 『해가 지는 곳으로』를 중심으로-

        채태준(Taejun Chae) 한국문화연구학회 2020 문화연구 Vol.8 No.1

        최진영의 장편소설 ≪해가 지는 곳으로≫ (2017)는 전염병이 창궐하여 근대적 질서가 무너진 세계를 배경으로 삼는 아포칼립스 소설이다. 이 소설은 아포칼립스적 설정에 무관심하다는 점과 대안의 윤리로 ‘사랑’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미학적이고 문화정치적인 결여를 표지하는 ‘한국형 아포칼립스’작품으로 평가된 바 있다. 본고는 이 같은 평가를 재검토하고, 오늘날 아포칼립스 문화정치의 규율이 구획되는 방식에 질문을 제기하기 위해 ≪해가 지는 곳으로≫를 다시 읽는다. 그 과정에서 퀴어 서사의 맥락에서 해당 소설에 내려졌던 ‘경제동물 청년 서사’ 평가를 참조하여, ‘세대’와 ‘퀴어’라는 두 개념을 분석의 단위로 활용한다. 헬조선 담론이 진보 사관 속에서 역사적 주체로 청년을 호출하는 방식에 대한 반(反)담론이듯, 소설 속 두 퀴어가 지닌 ‘끝’에 대한 감각은 이성애적 질서의 ‘예외상태’ 통치성이 의지하는 미래주의에 반(反)한다. 또한 이 소설이 파국 속에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사랑’이란 그 동안 논해진 바와 달리 그 방식이 안정화되어 있지 않다. 더불어 개략적으로 언급된 바 있는 소설 속 ‘경제동물 청년’의 형상이 어떤 외양을 하고 있는지에 관해 논한다. Haega jineun gos-eulo, a full-length novel of Choi Jin-young, is an apocalypse novel set against a world where the modern order has collapsed due to the epidemic. This novel has been under-evaluated as an aesthetical Korean-style Apocalypse which is lack of cultural politics in that it is indifferent to the apocalyptic setting and suggests the love as an alternative ethics. This article reexamines this novel to reconsider this devaluation and to question how the rules of apocalypse cultural politics are defined today. In the context of the criticism of the queer novel, this novel has been evaluated as a narrative of youths as an economic animal. Based on this, inter-generational and queer approaches are applied for the analysis. Just as the Hell-Joseon discourse is an anti-discourse on the progressive view of history, the sense of the end in the novel counteracts the futurism relying on the governmentality of the heterosexual order. The love that this novel suggests as an alternative in catastrophe is not stabilized as previously discussed.

      • KCI등재

        샘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

        박소정(Sojeong Park),김지윤(Jiyoon Kim),장시연(Siyeon Jang),채태준(Taejun Cha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1

        본 연구는 최근 형성되고 있는 국내의 복잡한 다문화주의의 지형과 새로운 인종주의적 현상들을 배경으로 가나 출신의 방송 스타인 샘 오취리를 통해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를 짚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취리는 국내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스타덤을 형성했지만 블랙페이스 문제와 관련된 이른바 ‘관짝소년단 논란’을 겪으면서 활동을 중단한 인물로서, 본 연구는 그를 한국 미디어와 사회의 다문화성을 진단하는 하나의 담론적 텍스트로 바라본다. 스타 이미지란 스타 개인이 보유한 특정 성질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및 대중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때, 인종적 성격과 스타로서의 성격의 접합을 통해 만들어진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의 한 단면을 드러낸다.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를 구성하는 홍보, 평판, 역할, 비평 영역의 미디어 텍스트들을 관찰한 결과, 오취리는 유사 한국인으로서, 한국적 정서를 매개하는 재담꾼으로서, 한국의 다문화성을 증명해줄 흑인의 대표자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한국 미디어 및 사회 안에서 긍정적으로 포용될 수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관짝소년단 논란은 대중들이 이러한 이미지를 벗어난 오취리를 발견하게 된 계기였고, 오취리의 이미지는 흑인에게 부여되어 온 종래의 부정적 관념들로 대체 및 재구성되었다.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가 구축 및 해체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주의에 내재한 모순 및 한계를 다양성, 대표성, 진정성의 차원에서 개념화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주의가 언제든 타자성을 복원할 수 있는 불안정한 담론에서 단단한 토대를 지닌 일상의 감수성으로 성장해야 함을 주장한다. Facing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ism and the emerging racial iss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ism through the case of Sam Okyere, a Ghanaian TV star in South Korea. Appearing on various Korean TV programs, Okyere has formed stardom but discontinued his activities due to the recent controversy on blackface. We interpret him as a discursive text through which we can diagnose the multiculturality of Korean media and society. As star image is not merely formed b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tar, but in a relation to society and the public, Okyre’s star image articulated by his racial traits and star personality reveals the current stage of multiculturalism and racism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looks into various media texts that arguably function as promotion, publicity, role, and criticism in making star image. The findings show that Okyere was embraced in the Korean media and society through the star image as a ‘quasi-Korean’, ‘raconteur’ who successfully understood and mediated Korean humour, and ‘representative of black people’ that proved the advance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However, the controversy of blackface deviated his star image, and his image was thereby replaced and reconfigurated with the conventional negative stereotypes on black people. Exploring how Okyere’s star image is constructed and dismantled,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embedded in Korean multiculturalismty. Finally, this study argues for a higher cultural sensitivity to multiculturalism and anti-ra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