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식이 행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채명옥,전해옥,김아린,Chae, Myung-Ock,Jeon, Hae Ok,Kim, Ahri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식이 행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분석이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15년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의 연구로, PRISMA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집되었다. 메타분석을 위해 총 9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고, 효과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적용된 식이 행동 중재프로그램 연구의 전체적인 효과 크기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 식이 행동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6편의 연구에서 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여대생과 문제 식이행동 여대생 모두 식이 행동 관련 변수 및 심리사회적 관련 변수에서 유의한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여대생을 대상으로 차별화 된 식이 행동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behaviors intervention program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studies from 2015 to February 29, 2020, and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ccording to PRISMA. A total of 9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meta-analysis, and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to estimate the effect size.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ating behaviors intervention programs studies appli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be large, and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larger in six studies of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l and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 in eating behavior-related and psychosocial-related variabl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eating behaviors intervention program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채명옥(Myung-Ock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한국 청소년의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수면충족감 정도를 비교하고,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주관적 수면충족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남학생 33,803명, 여학생 31,725명, 총 65,5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충족감을 나타낸 비율은 남학생 33.4%, 여학생은 19.5%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개인적 특성은 우울경험, 자살생각, 학업성적,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주관적 건강인지, 음주 및 흡연, 약물 경험,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진단여부, 가족적 특성은 경제 상태, 부모님 학력, 주거형태, 환경적 특성은 학교급, 학교유형, 고민상담자 유무가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아침식사 빈도와 천식 진단 여부는 남학생에서만, 신체활동 여부는 여학생의 수면충족감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의 정신건강이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dividual,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nd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ccording to gender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o examine relevance among the individual,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nd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The subjects were 65,528 Korean adolescents(male: 33,803, female: 31,725), who were derived from the 12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prevalence of the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in this study was 33.4% male and 19.5% female. The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depression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school achievement, feeling of stress, feeling of happiness, subjective health status, alcohol experience, smoking experience, substance experience,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individual factors;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and living arrangement in family factors; school grade, school type and emotional support in environmental factors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individual factors, breakfast eating and asthma affected the male’s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nd physical activity affected the female’s. The mental health of the individual factor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olescent’s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채명옥(Chae, Myung-Oc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다양한 요인들이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데 영향을 주므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안전생활 실천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경상 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5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 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생활 실천행동 영향요인은 안전교육 도움정도(β=.254, p<.001), 학업스트레스(β=-.222, p<.001), 학년 (β=.201, p<.001), 성별(β=-.180, p<.001)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3.9%였다. 그러므로,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업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ecause a variety of factors affects children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act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aggressive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510 Korean school-age children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April 1 to 30, 201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e Help of safety education (β=.254, p<.001), academic stress (β=-.222, p<.001), grade(β=.201, p<.001), gender(β=-.180, p<.001)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3.9% of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Therefore, to facilitate the practice life safety behaviors in school-age children, academic stress needs to be decreased by efficient manage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채명옥(Chae, Myung-Oc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 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10월 5일에서 10월 30일까지 수행되었고,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127명의 자료 를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14가지 MBTI 성격유형으로 나타났다. MBTI의 4가지 심리기 능유형에 따른 공감능력은 SF형이 평균 3.77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능력은 NF형이 평균 3.8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의사소통능력(F=3.194, p=.026)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MBTI의 4가지 심 리기질유형에 따른 공감능력은 SP형과 NF형이 평균 3.71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능력은 NF형이 평균 3.8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의사소통능력(F=3.004, p=.03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 로, 간호대학생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일반화할 수 있는 반복 연구를 수행하고, MBTI 성격유형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간호학과 교육과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mpath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27 nursing students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5 to 30, 2015.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on SPSS win 18.0. Fourteen personality type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The SF typ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77 in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4 functions of MBTI and the NF typ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81 in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4 functions of MBTI. The SP type and NF typ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71 in the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the 4 temperaments of MBTI and the NF typ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81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4 temperaments of MBTI.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were observed according to 4 functions (F=3.194, p=.026) and 4 temperaments (F=3.004, p=.033) of MBTI.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on the empath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ursing students' diversity and reflect it in a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여대생의 정신건강이 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채명옥(Myung-Ock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연구는 여대생의 정신건강이 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5개 대학에서 편의 추출하여 225명이 응답하였고, 최종 220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2021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불안, 스트레스, 그릿, 식이 행동 도구를 이용해 구글 온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는 SPSS WIN 26.0을 이용해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동거인이 있는 대상자(t=-2.47, p =.015), 건강 상태를 ‘보통’과 ‘좋다’고 답한 대상자(F=10.49, p <.001), 음주(t=-2.81, p =.005)와 흡연(t=-2.39, p =.038)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식이 행동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행동과 불안(r=-0.14, p =.046), 식이 행동과 스트레스(r=-0.15, p =.027)는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이 행동과 그릿(r=0.25, p <.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식이 행동의 주요 영향요인은 그릿(β=0.26, p <.001), 주거 형태(β=0.16, p =.013), 흡연(β=0.16, p =.01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의 식이 행동을 11% 설명하였다. 따라서 여대생의 식이 행동을 바람직하게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거 형태와 흡연 여부를 고려하고,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 된 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흡연자 비율이 낮음에도 흡연이 식이 행동의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으므로, 여대생의 흡연과 식이 행동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the eating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extraction from five universities. 225 people responded and their data were subjected to analysis. A Google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21 using tools for anxiety, stress, grit, and eat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6.0. Subjects cohabiting (t=-2.47, p =.015), subjects who answered common and good (F=10.49, p <.001), did not drink (t=-2.81, p =.005), or smoke (t=-2.39, p =.038) showed better eating behaviors. Eating behaviors and anxiety (r=-0.14, p =.046) and eating behaviors and stress (r=-0.15, p =.02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ereas eating behaviors and grit (r=0.25, p <.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actors found to influence eating behavior most were grit (β=0.26, p <.001), living arrangement (β=0.16, p =.013), and smoking (β=0.16, p =.016) in decreasing order, and these factors explained 11% of the eating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 eating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living arrangements and smoking status and develop a differentiated integrated program that can improve grit. Although smoking was found to influence eating behavior despite the small number of smokers included,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ea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한국 중년여성의 비약물적 우울중재연구

        채명옥(Chae, Myung-Ock),전해옥(Jeon, Hae-Ok),김아린(Kim, Ahr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우울중재연구를 고찰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RISS, KISS, DBPia의 온라인 검색을 통해 2006년부터 2015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어는 중년여성과 우울, 폐경기와 우울, 갱년기와 우울로 하였다. 그 결과, 280편이 검색되었고, PICOTS-SD에 따라 최종 12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중 4편은 간호학 분야 연구였고, 6편은 무작위 배정이 이루어진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였다. 비약물적 우울중재는 에어로빅 등 신체적 활동을 포함하는 형태가 4편으로 가장 많았고, 웃음요법과 단전 등 명상 각각 3편, 아로마 마사지와 상담 각각 2편, 미술요법이 1편으로 나타났고, 복합중재가 적용된 논문은 3편이었다. 중재 프로그램의 1회 적용 시간은 20분에서 120분, 중재 적용 기간은 2주에서 24주, 총 중재 회기는 8회에서 72회로 나타났고, 이들 프로그램은 우울뿐만 아니라 비만과 관련된 신체적 측면과 불안, 삶의 질, 삶의 만족도 등 사회‧심리적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and examine the effects on non-pharmacological depression intervention for middle-aged women in Korea. This systematic review analyzed the literature from 2006 to September, 2015. The existing literature was searched in the electronic databases in RISS, KISS and DBPia using the following key words: middle-aged women and depression, menopause and depression, climacterium and depression. Two hundred eighty studies were found through the database. According to PICOTS-SD, twelve studies were included for analysis. Among the twelve studies, four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nursing field. Six studies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erobic exercise, laughter therapy, meditation, aroma massage, counseling and art therapy were performed a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in Korean middle-aged women. The length of each session ranged from 20 to 120 minutes. The intervention period varied from 2 to 24 weeks, and the total number of the interventions ranged from 8 to 72 times. They influenced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physical aspects that are associated with obesity and psychosocial variables, such as anxiety,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etc.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채명옥(Myung-Ock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과 청주 소재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일부터 12월 11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 된 자료는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PSS WIN 18.0을 이용한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학년, 입학 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 동아리 활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감능력은 학년, 대학생 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은 학년,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의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 (β=.488, p<.001), 공감능력 (β=.378, p<.001)으로 나타났 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7.2%였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유의한 변수로 규명한 것은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 to December 11, 2015. The subjects consisted of 299 nursing students who were se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ego resilience (β=.488, p<.001) and empathic ability (β=.37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accounted for 47.2%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t is meaningful that ego resilience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refore, ego resilience and empathic ability need to be increased by efficient management and intervention to facilit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채명옥(Chae, Myung-Oc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청주시 소재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88명을 대상으로 팀별 사전토의, 팀 시뮬 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어 12주간 운영되었다. 사전 자료 수집은 2014년 10월 8일에, 사후 자료 수집은 12주간 시뮬레 이션 교육이 종료된 후 2014년 12월 8일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자기주도 학습능력(t=4.270, p<.001), 메타인지(t=4.435, p<.001)는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임상수행능력은 교육 전보다 상승하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보다 체계적 인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acogn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88 students enrolling in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Simulation-based program included team based pre-discussion, taking a simulation and being debriefed during 12 weeks. After the subjects had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based program,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4.270, p<.001), metacognition(t=4.435, p<.001) than bef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linical competence. Therefore, fac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acogn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needs to develop and operate more systematic simulation-based program.

      • KCI등재

        성인 1인 가구의 생애주기별 체중 조절 행동 영향 요인

        채명옥(Myung-Ock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는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1인 가구의 생애주기별 체중 조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기간은 2023년 2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였다. 연구대상자는 청장년기 195명, 중년기 273명, 노년기 490명으로, 총 958명이었다. 자료는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청장년기와 노년기 1인 가구의 체중 조절 행동 영향 요인은 체형 인식이었고, 중년기 1인 가구는 성별, 소득 수준, 현재 궐련 흡연 여부로 나타났다. 청장년기 1인 가구는 보통 및 비만이 마른 체형보다 체중조절 이행 비율이 각각 5.43배, 8.06배 높았다. 중년기 1인 가구는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 조절 이행 비율이 2.56배 높았고, 소득 수준이 높은 대상자는 낮은 대상자보다 체중 조절 이행 비율이 0.44배 낮았다. 그리고, 궐련 비흡연자는 흡연자보다 체중 조절 이행 비율이 2.51배 높았다. 노년기 1인 가구는 비만이 마른 체형보다 체중 조절 이행 비율이 4.47배 높았다. 그러므로, 성인 1인 가구의 효율적인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영향 요인을 반영한 차별화된 체중 조절 행동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WCB) by life cycle among adult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 (OPHs) using data from the 202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tudy period extended from February 1, 2023, to June 21, 2023, and the subjects were 958 adults (young adults 195, middle-aged adults 273, older adults 490).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cross-tabulation and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young and old adults living in OPHs, the factor affecting WCB was body shape recognition, but among middle-aged adults, factors were gender, income level, and current cigarette smoking. Among young adults living in OPHs, the rate of weight control compliance was 5.43 times and 8.06 times higher for medium-weight and overweight subjects than for underweight subjects, respectively. For middle-aged adults, women had a 2.56 times higher weight control compliance rate than men. Adults with a high-income level had a compliance rate 0.44 times lower than adults with a low-income level. In addition, cigarette non-smokers had a 2.51 times higher weight control compliance rate than smokers. For elderly adults living in OPHs, the rate of weight control compliance was 4.47 times higher for overweight than underweight subjects. The study shows that tailored WCB intervention programs are required to address life cycle-associated factors adequately.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