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시가하라 히로시 : 영화적 방법론으로서 ‘표면의 발견’

        채경훈(Che, Kyeongh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데시가하라 히로시는 일본의 소게츠류 꽃꽂이의 3대 계승자이자 소게츠 유파의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특징을 살린 설치미술과 도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한 일본의 대표적 현대 예술가 중 한 명이다. 그의 모든 예술의 시작점은 다큐멘터리에 있다. 이는 데시가하라가 다큐멘터리 영화로 데뷔를 했다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그의 예술적 방법론의 근간에 다큐멘터리적 방법론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데뷔작 <호쿠사이>부터 마지막 다큐멘터리 <안토니 가우디>까지 그의 다큐멘터리에는 예술과 예술가들에 관한 작품들이 많이 있다. 데시가하라 자신이 예술가라는 이유도 있지만 그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예술에 대해 탐구하고 예술가로서의 자신을 반성하기 위해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는 예술가는 사물을 창조하는 자가 아닌 발견하는 자라는 생각을 다큐멘터리 작업 속에서 재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그가 줄곧 주장했던 자신의 영화적 그리고 예술적 방법론과 일치한다. 세계의 현상이라는 표면에서 우연성을 통해 또 다른 의미를 발견하고 카메라에 담아내는 것, 데시가하라는 이를 촬영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무수한 가능성에 맞춰 작업하는 다큐멘터리적 방법론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그는 고정관념으로 굳어진 인식에 충격을 가하고 새로운 사고를 촉발시키려 했다. 이는 당시 많은 영화감독들, 다큐멘터리스트, 소설가 등이 다큐멘터리적 방법론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었던 경향과도 관련이 깊다. 이들 중 소설가 아베 고보와의 긴밀한 공동작업을 통해 데시가하라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과 다큐멘터리적인 방법론을 접목하여 다큐멘터리스트의 시선으로 일상의 표면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함정>에서 탄광의 풍경이 60년대 일본 사회의 풍경과 겹쳐지고, <모래의 여자>에서 모래의 표면으로부터 즉물적으로 포착된 영상들은 황량함, 무생명성의 사막의 이미지를 풍부한 생명성을 잉태하고 있는 곳으로 재구성하며 현대사회의 인간소외를 반어적으로 그려낸다. <타인의 얼굴>에서 가면의 질감은 오돌토돌한 화상 자국과 대비를 이루며 인간의 본질 자체에 대한 불확실성을 드러낸다. 예술가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들듯이 다큐멘터리스트는 세계의 표면에서 발견된 우연성을 카메라에 담는다. 그러므로 데시가하라에게 있어 예술가의 눈과 다큐멘터리스트의 눈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Teshigahara Hiroshi was the third grand master of the Sogetsu School of ikebana, Japanese flower arrangement, also, well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leading Japanese contemporary arts. His works was unique to utilizing the experimental and avant-garde tendency of the Sogetsu on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 the field of installation arts and pottery. The starting point of all his works, however, was the documentary filmmaking, which was placed on the basis of his artistic methodology. From his debut film, Hokusai to the last documentary film, Antoni Gaudi, he repeatedly had taken on the subject of art and artists in his works. The reason of such themes is that he was not only an artist, but reflected on himself as an artist and sought what the art is through his documentary filmmaking. Also, his idea, ‘the artist is not a creator of things, but a discoverer’ was reconfirmed in his work. His methodology is a discovering contingency from surfaces as phenomena of the world and a pulling the other meaning out with the movie camera. He thought that it could be possible through the methodology of documentary working in accordance with unexpected and changeable conditions in fields of shooting. In this way, he tried to make an impact to our standardized recognition, and stimulated us to consider refreshingly about the actualities. It was a kind of artistic trend at 60"s and 70"s in Japan. By the method of documentary, many filmmakers, writers and artists were seeking new artistic methodologies. Through the close collaboration with a novelist, Abe Kobo, He combined documentary techniques in the method of Surrealism and captured surfaces of life with the eye of documentarian. Landscapes of coalmines in Pitfall are overlapped with Japanese society in the 60"s. Objectivity of images from the surface of sand in Woman in the Dunes expresses human alienation of Japanese modern society ironically; it reconstructs the desert with desolate landscapes to a place conceiving life. The texture of the mask in The Face of Another discloses uncertainty of human nature through the contrast with the uneven surface of keloid. As artists create works discovered and inspired from nature, documentarians capture contingency from surfaces of the world with a camera. It is the very method of his films and art works. For him, the eye of artists is essentially same with documentarians.

      • KCI등재

        오시마 나기사와 재일조선인 그리고 국민국가

        채경훈(Che, Kyeong-H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5

        오시마 나기사는 재일조선인이 자신의 영화 작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가 있다. 1992년 재일조선인 전후보상을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에서는 재일조선인이 일본인의 추한 모습을 드러내는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말하며 일본인들은 그러한 거울을 통해 자신들의 추악함을 반성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시마에게 재일조선인이 어떠한 존재였으며 무엇을 보려했는지를 〈교사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재일조선인이 주인공이라는 점도 있지만 전후 일본사회에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 중 하나이자 재일조선인 범죄로 대표적인 사건인 ‘고마쓰가와 사건’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사회에서의 재일조선인 문제가 새롭게 조명되고 일본의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범인인 이진우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들었다. 〈교사형〉 또한 이들 작품 중 하나로, 이진우를 모델로 한 주인공 R을 통해 국가와 국민 그리고 재일조선인 간의 관계를 파헤치며 국민국가 안에서 벌어지는 타자에 대한 폭력의 정체를 폭로한다. 〈교사형〉은 일본사회의 피해자이자 일본인 여성 2명을 살해한 가해자라는 이율배반적인 상황 속에서 ‘조선인-사형수’로서의 실제의 자신에 도달하는 주인공에 초점을 맞추며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이를 통해 오시마는 국민국가의 비실체성을 폭로하고 구성원들이 국가나 민족을 상상하기 위해 타자의 희생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고발한다. 그리고 오시마는 관객에게 세상과 타자를 ‘직접’ 체험하기를 요구하면서 타자를 상상의 대상으로부터 경험의 대상으로 옮겨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시마에게 재일조선인은 보다 나은 일본국과 일본국민이 되기 위한 반성의 도구가 아닌 실재를 담지하고 있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재일조선인이 있는 공간이 실제 세계이며 일본인이 있는 공간이 가상으로, 허구의 국가가 부여한 실체 없는 대상에 대한 책임이 아닌 실체 있는 대상, 재일조선인들과 같은 타자들에 대해 책임이 요구되는 것이다. Oshima Nagisa has repeatedly stated that ‘Zainichi Koreans (Koreans in Japan)’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film works. In 1992, at a mass rally demanding postwar compensation for Zainichi Koreans, he said that they are like mirrors that reveal the ugliness of the Japanese and Japanese should know how ugly they are through such mirrors. In this context, I examine the meaning of Zainichi Koreans for Oshima Nagisa through his film, Death by Hanging (1968). This film has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based on the Komatsukawa Incid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ase of Zainichi Korean crimes and also one of the major events in postwar Japanese society. This incident led to the emergence of Zainichi Korean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poverty, etc. in Japanese society and many Japanese artists inspired by Lee Jin-woo, who was the criminal of the unprecedented incident, created their works for him. Death by Hanging, as also one of those works,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the nation, and Zainichi Koreans through the protagonist R, modeled on Lee Jin-woo, and reveals the violence against the others in the nation-state. This film goe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ism by focusing on R who achieve authentic existence as a ‘Chosenjin - death row convict’ in the controversial situation of the perpetrator, who murdered two Japanese women, and the victim of Japanese society. In this way, Oshima exposes the non-reality of the nation-state, and criticizes the nation in need of sacrifice of the others to imagine their own state. Oshima, thus, demands Japanese to experience the world and the others ‘directly’ like R, who is facing the reality, and moves the other from the object of imagination to the object of experience.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Zainichi Koreans are mirrors bearing the existence of reality rather than as a tool of reflection to become better Japan and Japanese.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Zainichi Koreans are situated is actual and the space where the Japanese are situated is non-actual.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is not for the substanceless objects such as the nation-state, but for the others who really exist as victims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OTT가 구축하는 디아스포라 서사 – 애플TV+의 〈파친코〉에 나타난 역사와 언어의 디아스포라적 재현 양상 연구

        채경훈(Che Kyeonghu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4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31 No.-

        In Korea and Japan, to varying degrees, there is a tendency to absorb Apple TV+’s Pachinko into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ist discourses, albeit with different results. However, as a transnational content, Pachinko offers new possibilities for diasporic narratives. This is relevant to the ongoing OTT industry, where immigrants are at the centre of the dramas production, including its creators, and the fact that it is produced by global OTT companies for a global audience. Based on the globalisation of global OTT companies and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migrant-led particip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boundary and diasporic narratives in Pachinko , which transcends nations, ethnicities, traditions and value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ntent creation trends of global OTTs and analyses how Pachinko , with its transnational elements, constantly attempts to break away from its country-centric content.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historical and linguistic representation in Pachinko , and studies the construction and significance of diasporic narratives as a new perspective on national histories and those marginalised from them. In doing so, it examines the narrative strategy of Pachinko , which expands the narratives of various others in a way that embraces their respective histories within the diaspora narrative, rather than the diaspora narrative being subsumed within the existing nation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