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중독 환자의 예후 예측에 관한 연구(Ⅱ) : 가족력 및 DRD₂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성상경,차성조,이규항,이정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6

        알코올중독 환자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와 성별을 통제하여 음주군과 단주군 남자환자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양군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음주력, 가족력, 자아강도 등의 차이 및 도파민 D2수용체 유전자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질병경과, 가족력 및 도파민 D2수용체 유전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주군은 음주군에 비해 기혼율이 높았으며, 높은 경제상태, 높은 학력 등이 중요한 요소였으나 직업의 종류 및 종교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2) 단주군은 음주군에 비해 과거 음주력상 최대 단주기간이 길었으나 평균 음주량이 더 많았다. 또한 음주군은 단주군에 비해 사회경제적 스트레스 및 정신적 불안정이 주된 음주 이유인 경우가 많았으나 음주기간, 음주양상, 음주시기, 음주시작 연령, 술의 종류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알코올중독의 가족력에 따른 비교에서 단주군과 음주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단주군은 음주군에 비해 자아강도의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5) 도파민 D2수용체 유전자의 A1 대립유전자 비교에서 단주군에서 A1 대립유전자의 이환율은 70%, 음주군에서는 60%였다. A1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각각 0.38과 0.42로 양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6) 알코올중독 가족력에 따른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분포 비교에서 가족력이 있는 군에 A1 대립유전자의 이환율은 70%, 빈도는 0.43이었고, 가족력이 없는 군에서는 이환율이 61%, 빈도는 0.38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음주시작의 연령이 더 낮았으며 문제음주도 보다 일찍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 음주기간은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 더 길었으며, 평균 음주량, 최고 단주기간 및 NAST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중독 환자의 긍정적 예후인자로 기혼, 높은 학력 및 경제상태, 과거 음주력상 보다 긴 단주 기간 및 강한 자아강도를 들 수 있었다. 반면에 직업, 종교, 알코올중독 가족력 유무, 음주기간, 음주양상, 음주시작 연령, 술의 종류 및 도파민 D2수용체 유전자 A1 대립유전자 분포 등에서는 알코올중독의 예후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gnosis-predicting indicators is alcoholics by the correlation between prognosi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go strength, family history and distribution of dopamine D2 receptor gene A1 allele.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60 alcoholics including 30 psychiatric inpatients(drinking group) and 30 alcoholics abstinent for 6 months or more after discharge(abstinent group). They were investigated with interview, questionnaire, blood sample and review of their chart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bstinent group had higher rate of married state, higher economic status and longer education years than the drinking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ccupation and religion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abstinent group and drinking group according to alcoholic family history. 3) The abstinent group had higher mean score in ego strength scale than the drinking group. 4) In comparision of dopamine D2 receptor gene A1 allele, the prevalence of A1 allele was seventy percent and the frequency was 0.38 in the abstinent group. The prevalence of A1 allele was sixty percent and the frequency was 0.42 in the drinking group.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1 allele prevalence and frequency. 5) In comparision of dopamine D2 receptor gene A1 allele according to alcoholic family history, the prevalence of A1 allele was seventy percent and the frequency was 0.43 in the family history positive group. The prevalence of A1 allele was sixty-one percent and the frequency was 0.38 in the family history negative group.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1 allele prevalence and frequency. Conclusions : With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think that successful prognostic indicators of alcoholics are married state, higher economic status, longer education years, longer abstinenence period in past history, and strong ego strength. But family history and distribution of dopamine D2 receptor A1 allel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gnositc indicators of alcoholics.

      • KCI등재

        한 정신병원에서의 강박 처치에 대한 입원 환자 및 병원 직원의 지각의 차이

        채정호,차성조,함웅,이규항,이정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한 정신병원에서 강박처치의 적응증, 합병증, 대체법, 감정적 영향, 적당한 처치 시간, 처치의 효능과 필요성등을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들과 직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양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환자들과 직원들간에 있는 강박처치에 대한 지각 차이를 조사하고 나아가 강박처치 시행의 규준을 확립하기 위한 기본 자를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강박처치의 적응증에 대해서 입원환자들은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았고 단지 타환자에 대한 신체적 공격에 대해서만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직원들의 경우 자해, 타환자에 대한 신체적 공격, 치료진에 대한 공격 등에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강박처치의 부작용에 대한 지각은 입원환자의 경우 정신상태의 악화, 자해의 증가 등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반응 하였고, 실제로 경험한 부작용에 있어서는 직원들의 경우 피부박탈을 더 강조한 반면 환자군에서는 호흡곤란, 정신 상태의 악화 등을 강조하였다. 강제 처치에 대한 대체치료 방법으로는 환자군에서 면담을 중요시한 반면 직원군에서는 격리실의 이용을 강조하였다. 신체억제와 고용량의 정온화를 비교한 것은 환자군에서 신체억제가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신체억제 동안 느끼는 감정에 대한 지각에서 환자군은 슬픔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고, 직원군은 적개심을 가장 많이 느낄 것으로 추정하였다. 신체억제의 시간에 대해서는 환자군이 긴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이상적인 신체억제의 시간은 환자군이 짧은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정신과 입원환자들과 병원직원들은 강박처치에 대하여 유의한 지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정신병원내에서 강제처치를 실시할 때에는 명확한 강박처치 시행에 대한 규준에 따라야 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t perceptions of physical restraint and their nature between psychiatric inpatients and hospital staffs in a mental hospital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the practicing standard of this therapeutic maneuver. Methods : Two hundred and two psychiatric inpatients who experienced physical restraint and 103 hospital staffs who frequently used this maneurer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indications, complications, alternative methods, emotional influences, duration of treatment and subjective effects of restraint. Results : Regarding indications of physical restraint, the inpatient group had negative viewpoint on the most items except "physical assault to other patients". Regarding the perception about possible complications of this treatment, the inpatient group had more concerns about "deterioration of mental status" and "increasing risk of self-injury". For experienced complications, staffs stressed "skin abrasion " while inpatients believed of "respiratory difficulties" and "deterioration of mental status" more frequently. As alternative methods of physical restraint, "increasing frequency of interview" was suggested by the inpatient group and "using seclusion room" was favored by the staff group. The inpatient group had an impression that physical restraint was more effective than high-dose neuroleptic tranquilization. For suspected emotion during this procedure, the inpatient group reported "sorrow" most frequently while the staff group presumed that "hostility" might be most frequent. Inpatients estimated that the average duration of physical restraint was longer than staffs did. Ideal duration of physical restraint was shorter in the inpatient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efinit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hysical restraint between psychiatric inpatients and hospital staffs. Formal practing guideline for restraint should be set up with careful attention for these differences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of this maneu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