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디지털 시대가 주도하는 영화적 ‘지각의 현상학’ 고찰: 메를로-퐁티의 『의미와 무의미』을 중심으로

        지승학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6

        본 논문에서는 모리스 메를로-퐁티가 향유하는 지각의 현상학과 실존 철학의 문제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OTT 플랫폼 드라마와 영화의 차이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영화가 주도하는 총체적인 변화를 메를로-퐁티의 『의미와 무의미』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것의 특성을 『지각의 현상학』에서 언급한 ‘환각지’와 ‘시적 상태’로 구체화해 고찰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영화적 경향이 어떻게 실존 철학의 방식과 접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서사 프로그램에 따라 생산되어 왔던 헐리우드 영화의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즉자와 대자의 순환', '과거와 미래 시간의 조우', '고유한 신체에 의한 경험'이라는 현상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디지털 플랫폼 영상 콘텐츠의 의미를 검토할 것이다. 이때 메를로-퐁티가 『의미와 무의미』에서 통찰해낸 세잔의 예술적 심미안은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끝으로 이러한 시도가 디지털 시대의 영화란 무엇인지 새롭게 규정하는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결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ntends to re-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TT digital platform's dramas and movies through the issues of perception and existentialism of Maurice Merleau-Ponty. For this purpos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give an insight into the overall change led by films, drama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Merleau-Ponty's 『Sens et non-sen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flow by specifying the phenomenon of perception as 'Phantom limb' and 'Poetic state'. Accordingly, this article will be the task of examining how the digital cinematic trend can be harmonized with the method of existentialism led by the perception phenomenon. In particular, this article intends to break away from the limits of the significant-oriented films according to the narrative program. Then, it will deal with new aspects of 'An-und-Fürsich', ' Zeitbewußtsein', and 'Corps propre'. At this time, Cézanne's artistic talent (dealt with by Merleau-Pon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Ultimately, these attempts are expecte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s of redefining cinema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영화 비평 글쓰기를 위한 영상분석시트 고찰 -롤랑 바르트와 질 들뢰즈 이론을 중심으로-

        지승학 한국영상문화학회 2017 영상문화 Vol.0 No.30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영상을 비평적 글쓰기와 연계한 교육에 효과적인 분석 시트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글쓰기와 사진영상 그리고 영화영상과의 관계는 이미 심도깊게 연구된 바가 있지만 이것이 일선의 교육을 목적으로 하여 체계화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이론가의 내용을 학습하는데에는 적극적이나, 그 이론을 적용하여 글쓰기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비평이론에 전범인 롤랑 바르트와 질 들뢰즈의 이론을 정리한 후, 영화영상과 연계한 글쓰기 분석 시트에 적용 가능한 부분을 추출하여 체계화하고자 한다. 이 때 두 사상가의 이론을 범주화 하고 절충지점을 조율할 때 중요하게 추출하려는 부분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다. 영화 영상 속에는 언어와 비언어의 비중을 생각해볼 때 단연 비언어적 요소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를 간과하지 않으면서 영화영상, 사진영상의 이론적 의미와 글쓰기로 승화할 때 체계화 할 수 있는 요소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 시트에 일별해 놓고자 한다. 이는 논리적 비약과 자의적 해석으로 인하여 그 체계성에 오류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교육 목적의 체계화를 위한 시도로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시도된 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리라 조심스럽게 판단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effective analytical sheet for teaching cinematic images in connection with critical wr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photographic images and films has already been studied in depth, but it is hard to find a case in which this is systematiz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active in learning the contents of the theorist, but it is hard to find an attempt to achieve the purpose of writing by applying the theory. In this paper, after analyzing the theories of Roland Barth and Gilles Deleuze in the theory of image criticism, I try to systematize the analysis sheet by extracting the applicable parts to the writing analysis sheet linked with films. Non-verbal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categorizing the two thinkers' theories and coordinating the points of compromise.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non-verbal elements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non-language in films. Without overlooking this, I would like to keep the "theoretical value of movie images and photographic images" and "elements that can be systematized by writing" on the analysis sheets. This is because there is an error in the systematicity due to logical leap and arbitrary interpretation, but I will judge carefully that it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is attempted for future development as an attempt to systematize educational purpose.

      • KCI등재

        Z세대를 위한 주체성 담론 고찰

        지승학 한국영상문화학회 2018 영상문화 Vol.0 No.33

        Generation Z is a generation that absorbed digital culture and became a collective term for generations now. However, this generation reveals the need to be treated as an indicator that characterizes digital culture. However, the subjectivity problem of generation Z practically implements actor - network theory. In this par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heoretical specificity of Bruno Latour. In other words, generation Z can be said to be a generation that landed in the area where alienation and determination coexist. This is like the fate of generation Z that can instinctively accept digital media, showing that the problem of 'impersonality' is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subjectivity. Classicalistic subjectivity is liberated by 'impersonality' attributes through the existential attributes of digital media and network, and generation Z shows its tendency Z세대는 디지털 문화를 흡수한 세대로서 과거 X세대, Y세대의 계보를이어 지금의 세대를 통칭하는 용어로 등극했다. 하지만 과거 세대와는 다른 주체적 특수성이 부각되면서 Z세대는 디지털 문화를 특징짓는 하나의지표로서 다뤄져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런데 무엇보다 디지털문화속에서 형성된 Z세대의 주체성 문제는 폭 넓은 접근 가능성을 뒤로하고그 연구 영역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Z세대의 주체성과 감각이란행위‘하는’ 존재, 행위‘되는’ 존재, 관찰하는 존재를 포함하지만 어느 하나에 스스로를 고정하지 않는, 소위 네트워크의 존재적 속성을 실천하는 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지금의 Z세대는 자신이 있는 곳을 할당 받지는 못하지만 그 자리에 참여하는 것만으로 자신의주체성을 확립하는 소외와 확정이 공존하는 결정불가능의 지점에 놓인 세대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부분에서 브뤼노 라투르의 이론적 특수성을점검할 필요성이 생긴다. 왜냐하면 이것은 디지털 매체를 본성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Z세대의 운명과 같은 것이어서 네트워크 속성에 견줄만한 ‘비인칭적 자아’의 문제가 주체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Z세대는 디지털 매체, 네트워크의 존재적 속성을 통하여‘비인칭’, ‘전개체적’ 속성으로 해방되어 그 성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