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정상자극의 해석을 통한 광택소재의 호감구조 연구

        권다빈 ( Dabin Kwon ),조택연 ( Taigyeon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은 인간의 시각적 유희를 만족 시키기 위해 발달해왔으며 새로운 시각적 유희를 주기 위해 형태와 소재에서 색채와 질감, 패턴 등의 요소들을 끊임이 조합하며 새로움을 찾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 요소들의 최종선정에 있어 기존의 통계자료나 입증된 사례를 가장 신뢰하여 따르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인간 보편적 호감의 원인을 분석하고 예측모형의 구성을 시도함으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요소의 정확도가 높은, 유의미한 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일반적인 미적 호감 영역의 연구를 위해 보편적 미의식을 말하는 진화미학을 통하여 알아보고, 니코 틴버겐의 초정상자극 개념으로 자극과 반응의 메커니즘을 해석해 본다. 인간이 자연상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광택은 식물의 열매로, 이는 식량으로 중요한 생존 자원이다. 진화미학에서는 생존에 도움이 되는 표상적 가치에 인간이 본능적인 호감을 갖게 되는데 이는 초정상자극의 작용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인간의 감정은 언어로 표현함으로 가능하며, 감정 형용 언어를 통해 인간의 마음이 언어지능으로 남아 있다고 본다. 시각피질영역, 베르니케영역, 브로카영역은 해부학적으로도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고, 이는 언어지능과 시각지능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작용함을 말해준다. 먼저, 식량자원의 시각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남지순(2007)의 ‘한국어 형용사 어휘 문법’에 기재된 사물을 나타내는 형용 언어 135개 중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형용 언어와 광택 이미지를 연결한다. (결과) 위 실험을 통하여 사물을 나타내는 형용 언어 135개 중 45개가 식량자원으로 인지되는 형용 언어로 선정되었고 고득점을 얻은 감각 중 단맛과 관련된 형용 언어가 7개로 가장 많았다. 이는 표상 자원으로서 단당류 식량의 시각정보와 밀접한 관계로 추측한 내용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었다. 1차 실험을 통해 추출된 형용 언어와 무광택, 광택, 고광택의 이미지를 연결하는 2차 실험에서 고광택의 이미지에 가까울수록 1차 실험과 달리 미각적 정보뿐 아니라 촉각이나 영양 상태를 알 수 있는 복합적인 정보로 해석되었다. 이를 통해 광택의 시각정보가 단당류뿐만 아니라 식량자원을 판단하는 정보로 인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광택의 보편적 호감이 표상 가치로부터 기인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 표상 가치는 오랜 시간을 통해 만들어진 인간의 마음이 반응하는 초유인 자극체로, 특정 자극에 더욱 강하게 반응하게 하는 초주의 지능의 정보 처리 과정을 거쳐 생겨난 보편적 호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및 예술 영역에서 호감 구조를 자극 원인체와 두뇌의 정보 처리 과정으로 구분함으로 인지 모형을 구축하고 응용에 있어서 유의미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Design has been developed to satisfy the human need for visual novelty and to seek to discover new types of visual amusement by continuously combining elements like color, texture, and pattern in various forms and materials. However,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the final form of a design, statistical datasets and proven cases are the most reliable sources to follow.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 the cause of common preferences and try to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so that we can find a standard of accuracy and meaningfulness for design elements in the space design proces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mon aesthetic preferences through general aesthetics and to analyze stimulation and reaction through supernormal stimuli. The gloss that humans can observe in natural conditions is the fruit of plants, which is an important source of nourishment. In evolutionary aesthetics, any symbolic value that contributes to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is instinctively favorabl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function of supernormal stimulation. Human emotions can be expressed through language, and the human mind retains language-based intelligence through emotionally expressive language. The visual cortex area and the Wernicke and Broca areas are located anatomically close to each other, proving that language-based intelligence interacts with visual intelligence. First, we extracted 135 adjectives related to visual recognition of food resources, then we connected the adjectives and images that represented the gloss. (Results) Through this experiment, 45 adjectives that were recognized as representations of food resource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135 adjectives. The 7 adjectives that were selected the most often were related to sweetness. Th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visual information of monosaccharide foods as a representative resource and was conceived in the same context. In the second experiment, images that were highly glossy were recognized as “oily,” “plentiful,” “thick,” “soft,” “sweet and sour,” and “mellow.” Unlike the first experiment, the items were interpreted as complex information that could be understood not only through taste, but also through tactile elements and nutritional status.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information of gloss was perceived as information to judge not only whether a food resource was composed of monosaccharide, but also the quality of food resources. Thu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niversal preference for a gloss is due to its representative value. (Conclusions) The concept of representative value based on the stimulation of the human mind. Objects with representative value can be seen as universally appealing because the human brain reacts more strongly to certain stimuli with which an association has been formed by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derived from super stimulation. Therefore, creating a structure of preferences based on factors of stimulation and the brain’s process of managing information can yield a meaningful criterion for building and applying a cognitive model.

      • KCI등재

        아치의 미적 특성을 적용한 현대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박윤 ( Park Yun ),조택연 ( Cho Tai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아치가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로 주목받으며 국내 상업 공간과 주거 공간에서는 아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유행 현상에 대한 구체적 원인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치를 활용한 실내 디자인의 유행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아치의 미적 가치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치는 건축분야의 핵심적 키워드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논의되어왔지만 주로 역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이 대부분이며 미학의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가치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치에 대한 보편적 호감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후 디자인 영역에서 아치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 아치의 개념과 건축공간에 있어서 아치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후 진화심리학을 근거로 하는 생존미의식의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조형적, 환경적, 구조적 측면에서 각각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성들은 대칭성, 연속성, 개방성, 폐쇄성, 안정성, 탈중력성으로 이를 기반으로 실제 건축 공간에서의 적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틀을 제작하였다. 사례조사는 아치의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 5년 이내의 국내 건축물을 선정하여 진행하며 이를 통해 실제 공간디자인 발견되는 아치의 미적 특성을 확인하고 반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종합적으로 봤을 때 아치의 연속성이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안정성과 폐쇄성이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공간 디자인에 아치를 적용함으로서 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들이 분절되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지는 유기적 공간을 생성한다. 또한 아치의 삼차원적 확장형인 볼트 구조는 시각적 차폐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역성을 확보함으로서 공간에 위요감을 유발해 이용자들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자연발생적 형상으로서 아치가 갖는 선험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조사를 통해 도출된 아치의 미적 특성이 실제 공간 디자인에 있어 비중 있게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공간디자인에 있어 아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선 선험적 미의식의 측면을 고려한 접근 방식이 요구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ch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terior design trend, and arches are actively used in domestic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However, no specific cause has been provided for this tre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ior design using arches. Arches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as key keyword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most of the studies are analyzed from the mechanic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little analysis of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as a concept to understand universal liking for arche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efficient use of arches in the future design area. (Method) At the stage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arches and the role of arches in the architectural space were analyzed. Later,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urvival aesthetic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were derived from the formativ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aspects. The derived characteristics were symmetry, continuity, openness, closedness, stability, and de-gravity. Based on this, a framework was made to evaluate the degree of application in the actual architectural space.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building within the last 5 yea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rches, and through th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found in actual spatial design were confirmed and the aspects of reflection were examined. (Results) Overall, arches' continuity wa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followed by high scores of stability and closedness. By applying an arch to the spatial design, the physical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re not segmented, but create an organic space that is smoothly connected. In addition, the vault structure, which is a three-dimensional extension of the arch, provides the function of visual shielding and secures territoriality, causing a sense of calmness in the space, thereby enhancing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user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a priori and univers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as natural-generating shapes from the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cas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derived were significantly reflected in the actual spatial design. Therefore, for the efficient use of arches in future spatial design,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aspect of a priori aesthetics is require.

      • KCI등재

        실내 공간디자인에서 단맛의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시각과 미각의 감각 연합을 중심으로-

        황정석 ( Hwang Jeongseok ),조택연 ( Cho Tai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미식 문화에서 식음 공간의 환경 경험은 맛의 중요한 요소이자 가치라고 이야기한다. 공간의 어떤 요소가 미각 경험을 강화시켜 주는 것일까? 헨젤과 그레텔의 과자로 만든 집처럼‘맛있어’보이는 공간이 존재한다면 동화 속 두 남매가 달콤함에 이끌린 것과 같은 시각 자극으로 유혹할 것이다. 이처럼 공간의 조형 또한 맛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면, 그 이유 또한 존재할 것이다. 그중 단맛은 독보적으로 선호되는 미각 자극으로 생존과 삶의 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미각 중 단맛을 표상하는 시각 조형 특성을 중심으로 들여다봄으로써 미각과 연합된 시각 자극의 의미와 목적을 설명한다. 그리하여 진화미학과 신경 미학의 관점으로 연합된 감각으로써 단맛을 시각의 초 정상 자극의 개념으로 도출하고 공간 조형 요소와의 관계를 탐구하여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및 목적) 연구 목적인 단맛을 표상하는 시각 조형의 의미와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첫째, 실내 공간의 조형 요소를 정리, 범주화한다. 둘째, 맛의 진화적 연구를 통해 맛에 갖는 호감 기제를 초 정상 자극 개념으로 정의한다. 셋째, 미각의 초 정상 자극이 연합 자극으로 처리됨과 그 과정을 통해 높은 공간 주파수와 낮은 공간 주파수로 분리되어 걸맞은 조형 요소로 환원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넷째, 단맛 체험을 강화해주는 네 가지 시각 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맛의 형태, 질감, 색상 그리고 환경이 있음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환원된 단맛의 공간 조형 요소들과 그것들이 만들어낼 공간의 미의식을 정의한다. (결과) 시각 자극을 통해 단맛 체험을 향상시키는 선행연구 4가지를 통해 도출한 특성을 정리한 결과 형태, 질감, 색상, 환경 조작을 통해 미각 체험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공간의 조형 요소로 환원하여 그 미의식을 정의할 수 있었다. (결론) 미각은 연합된 감각 체계 속에서 작동하므로 시각의 대상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사실과 이를 초정상 자극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그것은 뇌의 시각 과정을 통해 처리되는 공간주파수 이론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조형의 언어로 환원할 수 있다. 맛있는 형태, 질감, 색상 그리고 환경은 피크 쉬프팅된 초 정상 자극으로써 우리의 초 주의 지능이라는 인지 기제를 자극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단맛 표상의 조형 요소들을 통해 디자이너들은 미각과 시각에서의 확장된 감각 영역으로써 조형의 확장을 위한 영감과 기본 연구로써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today's gastronomy culture, it is said that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of food and beverage space is an important element and value of taste. What elements of space enhance the taste experience? If there is a space that looks delicious like a house made of Hansel and Gretel's snacks, it will tempt the two siblings in the fairy tale with the same visual stimulation as they were attracted by sweetness. As such, if the shape of the space is also closely related to taste, there will also be a reason. This study explains the meaning and purpose of visual stimulation associated with taste by looking into the visu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at represent sweetness during taste. Thus, as a sense united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the goal is to derive sweetness as a concept of supernormal stimulation of visio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spatial shaping elements to derive its meaning. (Research method and purpose) In order to deriv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sculpture that represents sweetness, which is the purpose of research, first,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indoor space are organized and categorized. Second, through the evolutionary study of taste, the mechanism of liking for taste is defined as a supernormal stimulus concept.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supernormal stimulation of taste is treated as a combined stimulation and through the process, it can be separated into high and low spatial frequencies and reduced to suitable formative elements. Fourth, through previous studies on four visual elements that enhance the sweet taste experience, we derive the shape, texture, color, and environment of the taste. Finally, reduced sweet space shaping elements and the sense of space they will create are defined. (Results) As a result of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four previous studies that improve the sweet taste experience through visual stimulation, the taste experience can be enhanced through shape, texture, color, and environmental manipulation. (Conclusion) Taste works in a unified sensory system, so it can be defined as the concept of supernormal stimulation and that it can be returned to the object of sight. It can be proved by spatial frequency theory, which is processed through the visual process of the brain, and can be reduced to the language of sculpture. Delicious shapes, textures, colors and environments will stimulate the cognitive mechanism of our super-intelligence as peak shifted super-normal stimuli. Therefore,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of sweet expression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designers expect to play a role as inspiration and basic research for the expansion of sculpture as an expanded sensory area in taste and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