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실험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조재규 ( Jo¸ Jae Gyu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한 실험연구 논문 23편의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대상 소속은 특수학교, 일반학교(특수학급), 유치원(어린이집), 대상자 수는 21명 이상 ∼30명 이하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장소는 특수학교, 일반학교(특수학급), 유치원(어린이집), 집단구성은 비장애 학생 +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실험설계는 통제집단 AB설계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윤리에서 보호자 동의를 받은 논문은 73.9%였으며, 사회적 타당도와 관찰자간 신뢰도를 제시한 논문이 각각 69.6%였으며, 중재충실도는 79.3%가 제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인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학급 및 개별 차원으로 지원한 논문, 중재절차로서 PBS팀을 구성한 논문이 95.6%였으며, 기능평가, 선행사건중재, 대체행동중재, 후속결과중재를 실시한 논문이 100.0%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은 4개월 이상~6개월 미만, 실험회기는 10회기 이상~20회기 미만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종속변인은 문제행동 감소와 대체행동 향상, 측정방법은 부분간격기록법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중재 효과는 87.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를 측정한 논문은 4.4%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실험연구 중재의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23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that conduc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2011 to 2020.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pecial schools, gener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kindergartens (day care center) were the most common, and the number of subjects was 21 or more to 30 or less. Second, the experimental site was a special school, a general school (special class), a kindergarten (day care center) were the most common, and as for the group composition, studies on general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 control group AB design was the most common. Third, 73.9% of the papers received parental consent in research ethics, 69.6% of the papers presented social validity and reliability between observers, respectively, and 79.3% of the intervention integrity. Fourth, papers that suppor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the class and individual level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most, and 95.6% of papers formed the PBS team as an intervention procedure, and 100.0% of papers conducted functional assessment, prior case intervention, alterna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consequences intervention.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more than 4 months and less than 6 months, and the experiment period was the most of the studies with more than 10 times and less than 20 times. Fifth, as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e decrease in problem behavior and improvement in the alternative behavior were the most frequent, and the measurement method was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the most. Sixth, the intervention effect was found to be 87.0%, and the papers measuring maintenance were very low at 4.4%.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thods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experimental research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장애아동 성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 방안

        조재규 ( Jae Gyu Jo ),정승희 ( Seung Hee J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오늘날 장애인의 권리와 존엄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들의 인권과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성폭력 범죄가 발생하고 미흡한 처벌과 관리로 피해아동들의 인권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영화 ‘도가니’를 통해 장애아동에 대한 성폭력 피해 사건이 사회에 밝혀지고 전 국민들의 관심이 모아져 일명 도가니법이라고 하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대한 특례법」이 개정되어 2011년 11월부터 시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장애아동에 대한 성폭력 범죄는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수사 및 처벌의 어려움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장애아동 성교육 지원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장애아동 성폭력에 대한 법적 제도를 강화하고, 관련 기관이 원활하게 협조하여 피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장애아동들이 성폭력에 대하여 인지하고,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Today the rights and dignity of Deaf people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ever, thus their human rights and safety have to be secured. However,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ur society are still happening, being mildly punished and poorly managed, by which the human rights and safety of abused children are being threatened. A sexual abuse case against a child with disability was exposed to the public and attracted the whole nation`s attention through the movie ‘Dogani’, and this case caused an amendment of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also known as Dogani Law, taking effect from November 2011. Nonetheless, the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ill have happened continuously, while the difficulties for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of those crimes last as ever. Consequently, in th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ex education for sexual assaul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n analysis of the reality, to strengthen the legal system for sexual viol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cooperate with the relevant agencies through the smooth about avoiding a proper response should be done quickly. In addition, developed and should be conducted of the systematic sex education program that what they have ability to react of the problem situation and recognizes of the sexual violence by the students.

      • KCI등재

        국내 사회상황이야기(Social Stories<sup>TM</sup>)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조재규 ( Jae-gyu Jo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44편의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논문의 일반현황과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근 10년간 발행된 논문은 총 44편이며, 연평균 4편 이상을 출판하였으며, 학술지별 발행논문 수는 정서·행동장애연구, 연구 방법으로는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연구는 초등학생인 ADHD,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통제집단 AB설계로 문제행동 +또래관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중재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례연구의 대상 연령은 영·유아, 장애유형은 ASD, 대상자 수는 3명, 중재 회기는 21∼30회기, 독립변인을 책으로 단독 중재하였으며,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실험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았다. 넷째, 문헌연구의 분석 대상은 국내, 장애유형은 ASD, 분석 논문 수는 11∼20편과 21∼30편, 분석 기간은 11∼20년, 분석 방법은 메타 분석, 분석자 간 신뢰도를 제시한 논문이 많았다. 다섯째, 개발연구는 ASD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사회상황이야기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사회성 증진을 위한 사회상황이야기 콘텐츠 개발이 있었으며, 질적연구는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rend of mediation in Social Stories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general status,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44 papers on Social Stories published from 2012 to 2021 were analyzed.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total of 44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and more than 4 papers have been published annually. As for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each journal,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was the most, and case study was the most research method. Second, the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to examine problem behavior + peer relationship with the control group AB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DH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ll had an intervention effect. Third, the target age of the case study was infants and toddlers, the type of disability was ASD, the number of subjects was 3, the intervention sessions were 21∼30 session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independently mediated with a book,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improved social interaction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the most common among subjects. Fourth, papers that presented the analysis target of literature study in Korea, disability type as ASD, number of analyzed papers 11∼20 and 21∼30, analysis period 11∼20 years, analysis method meta-analysis,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re were many. Fifth, development research consisted of Social Stories application development to improve social skills of ASD students and Social Stories content development for social enhancement.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the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teachers obtained in practical classes using Social Stories and the meaning of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general infa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 KCI등재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조재규(Jae-Gyu Jo)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논문 203편에 대한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논문의 일반현황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근 10년간 발행된 논문은 총 203편이며, 연평균 20편 이상을 출판하였으며, 학술지별 발행논문 수는 정서·행동장애연구,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연구의 대상 연령은 영유아, 실험집단 크기는 21∼30명, 실험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종속변인은 문제행동 감소+친사회적 행동 향상, 중재수준은 소집단 수준 PBS가 가장 많았다. 셋째, 사례연구의 대상 연령은 초등학생,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실험집단 크기는 1명, 실험설계는 상황간 중다 기초선 설계, 종속변인은 문제행동 감소가 가장 많았다. 넷째, 조사연구의 대상은 특수교사, 조사대상자 수는 101∼150명과 151∼200명, 조사목적은 SWPBS에 대한 인식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문헌연구의 연구 목적은 동향분석, 대상 국가는 국내, 대상은 포괄적인 것, 분석 논문 수는 11∼20편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개발연구는 PBS 평가도구 및 모델, 실행충실도 척도, 평가준거 개발 등이 있었으며, 질적연구는 PBS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면담, FGI, 질적분석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203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As the content of the study, the general statu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domestic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papers were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total of 203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and more than 20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average per year.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journal is the most common i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and case studies as research methods. Second, the age of the experimental study was infants, the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21∼30,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pre-post design of a single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was reduced problem behavior + improved pro-social behavior, and the level of intervention was at the small group level. Third, the age of the case study w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ype of disability was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iz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1, the experiment design wa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 had the most decrease in problem behavior. Fourth,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search were special teachers, the number of survey subjects was 101∼150 and 151∼200, and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he most aware of SWPBS. Fifth, the research purpose of literature research was trend analysis, the target country was domestic, the target was comprehensive, and the number of analyzed papers was the most. Sixth, development studies included PBS evaluation tools and models, implementation fidelity measures, and evaluation criteria development. and In the qualitative study,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BS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GI,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 KCI등재

        특수학교 학급 운영 실태 및 인식 분석

        조재규 ( Jae Gyu J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특수학교의 학급 운영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학교 학급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강화하고 특수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대한 모색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현행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장애학생의 독특한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진단·평가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 지도 방안과 사회성 향상 방안에 대한 다양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 책무성을 강화하고 상호협력 하여야 한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특성 및 가족의 요구에 적절한 치료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lass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G-do was administered, the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indings, it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to reinforce support for the class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Second, the methods to enhance the preparation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and the consideration of mea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should be developed. Third, various evaluations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diagnosis/evalu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used in planning of IEP. Fourth, the methods to improve the sociality and the instructions for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variously reeducated. Fifth, the special education dut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mutual cooperations must be developed among them. Sixth, the supports for appropriate treatment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발달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방법 및 내용 분석

        조재규(Jae-Gyu Jo)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발달장애학회’에서 발간하는「발달장애연구」학술지에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248편의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연도별 게재논문, 연구자의 특성, 게재논문들의 연구방법을 알아보고,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게재논문 총 248편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27.6편을 발행하였으며, 제1저자는 대학 교수, 특수교육 전공이 많았다. 소속대학은 전남대학교, 연구자 수는 2인 공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1저자의 배경변인과 연구방법을 교차 분석한 결과, 조사연구는 특수교육학과 사회복지학, 문헌연구는 교육학, 상관연구는 아동·가족학 전공자가 많았으며, 조사연구는 교수와 박사과정, 실험연구는 교사와 석사과정, 석사, 상담 및 치료사가 주로 하였다. 둘째, 실험연구 논문 40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이었으며, 실험집단 수는 5명 이하, 통제집단 수는 26명 이상, 실험설계 유형은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 연구윤리는 미 제시, 실험기간은 8~12주 미만, 실험회기는 11~20회기, 통계도구는 SPSS,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충실도, 관찰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매우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연구」학술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방법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the 24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between 2001 to 2019 by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d research on publications by year,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nd methods of research on published papers, and analyzed the contents based on experimental research.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First, classifying the 248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howed that 27.6 papers on average annually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 most frequently the profile of the first author was a professor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ffiliation wa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most frequent authorship was co-authorship with two authors and the most frequent method of research was conducting a survey. A further cross-analysis between the first author’s background and methodologies as varian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is the most frequent in among survey research articles, pedagogy is the most frequent among literature research, and papers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mostly conducted by children and family studies majors. Mostly survey research articles were written by professors and PhD program, and experimental research by teachers, master s course, master s degree, counselor and therapis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4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with less than 5 experimental groups and more than 26 control groups.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experiment design was pretest-posttest single group design. Most of the papers did not present research ethics. The most common study was the experiment period of less than 8 to 12 weeks, the experimental period of 11 to 20 sessions, the statistical tools of SPSS, and the statistical method of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However, there were a lot of papers that did not provide social validity, treatment integr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a guideline for improving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인성과 성격강점과의 관계 연구

        정승희 ( Seung Hee Jung ),조재규 ( Jae Gyu J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바탕으로 하며 특수교사는 전문성 외에 기본적인 자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예비 특수교사의 기본적인 자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강원도 소재 K대학교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88명을 대상으로 NEO-Ⅱ 인성검사와 성격강점척도(VIA-IS)를 사용하여 예비 특수교사의 인성과 성격강점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인성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외향성과 개방성, 성실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이 낮을수록 신경증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친화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지혜와 지식, 인간애가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와 초월 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인성과 성격강점의 각 하위요인들 간에는 개방성과 외향성, 성실성과 개방성 등에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인성과 성격강점을 알아봄으로써 교직 적성 및 인성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참고로 하여 자신의 성격 계발 및 진로 선택, 특수교 사로서의 자질을 갖춘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NEO- Ⅱ Personality Inventory and VIA-IS for 8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 K university located in G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grade of school, the higher extraversion,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in personality, and the lower grade, the higher neuroticism, while the agreeableness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comparing with femal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rade of school, the higher wisdom & knowledge and humanity in character strengths, in which male students were higher of them than female student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ustice and transcendenc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each sub-factor of personality and character strengths in openness and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and so on. This study intended to help fos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develop own characters, choosing a teacher’s career and have the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referring to characteristics being required for a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by investigating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strength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