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

        정휘경 ( Hwigyeong Jung ),손선주 ( Sunju Soh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위축의 매개효과 검증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조사에서 실시한 2015년 10차 년도 횡단자료 중 초등학교 4~6학년 재학 중인 아동가구원 대해 부가조사가 된 아동 471명 중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한 번이라도 경험한 아동 156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축은 주관적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축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하는 것이 아동에게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발달하는데 장애가 되는 근거를 제시하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불안감 및 위축 등의 문제행동이 심각해지기 전에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조기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둔 바,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환경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rceived happines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arental emotional abuse, and also observed the effects of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Of the 471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a total of 156 children(between 4th and 6th graders at the time of survey)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t least o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esting for correlation, hierarchica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mong the ke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of children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from their par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happiness of school-aged children, and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happiness. Withdrawal also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rceived happiness of these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ing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is a barrier to the development of a proper mental health for the child and early interven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childre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only, hence follow-up studies consider environmental aspects as well.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의 일의 의미

        장수미 ( Jang Soo Mi ),장은하 ( Jang Eunha ),정휘경 ( Jung Hwigyeong ),김가빈 ( Kim Ga Bin ),박혜경 ( Park Hye K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3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에 사회적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사회복지 인력의 세대 간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일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는 서비스 질의 제고와 직무 만족의 증진을 가져온다. 이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9명이다. 총 2회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6개의 개념,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범주, 3개의 주제(일을 선택한 동기, 일의 의미부여 과정에서의 장애물, 일의 의미)가 발견되었다. 일의 의미는 “가치와 물질이 공존하는 일”, “기쁨, 도전, 인정의 원동력으로 일궈가는 일”, “자율성과 성장이 보장되는 신바람 나는 일터”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일의 의미와 관련한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re has been a generational shift of social work manpower within the social work fields. Depending on how a social worker perceives the meaning of work, it may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ifferent millennial social workers perceive the meaning of wor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 millennial social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for more than 3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authors analyzed by data with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total of 46 concepts, 15 sub-categories, 5 categories and 3 themes(i.e., the reason for selecting work, obstacles faced when giving a meaning to work, and meaning of work). The study also showed the meaning of work as “coexistence of values and materials”, “work that is motivated by joy, challenge, and recognition”, and “a pleasant workplace where autonomy and growth are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nd recommended further studies on how different millennial social workers from the social welfare centers perceive the meaning of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