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고 교사와 기업 담당자의 학습중심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연구

        정훈섭(Hunseop Jeong),강철민(Chol Min Kang),이병욱(Byung-Wook Lee)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학교 교사와 기업 담당자 간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추후 산학협력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정책마련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사와 기업 담당자 간의 현장실습 목적 및 운영 단계별 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직업계고 교사와 기업 담당자 간의 현장실습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목적에 대한 교사와 기업 담당자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현장실습 참여 목적과 현장실습 운영 단계 중에서 계획 및 운영 단계에서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운영 단계별 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교사보다 기업 담당자가 학교와의 밀접한 산학협력관계를 더욱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현장실습을 시·도교육청에서 주관하기를 희망하지만, 기업 담당자는 학교와 기업의 공동주관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실습 개선과 관련하여 제시된 장애 요인, 지원 필요 사항, 기대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는 기업 담당자보다 장애 요인에 대한 우려와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그와 반대로 지원을 통해 얻어지는 기대 효과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policy preparation for maximizing the results of industry-school cooperation in the future through analysis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and industry manager in learning-centered On-The-Job training. To analyz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and industry manager on the purpose of On-The-Job training and the plan for operation step?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and industry manager on how to improve On-The-Job training?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industry manager on the purpose of On-The-Job training.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ppeared.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plan for operation step of On-The-Job training, it was found that industry manager more demanded clos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with schools than teacher.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hopes to host the On-The-Job training at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ut the industry manager hope to co-host the school and the company. Thir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obstacle factors, support needs, and expected effects presented in relation to improvement of On-The-Job train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Teacher is more aware of the need for support and concerns about obstacles than those in charge of industry manager, but on the contrary, they perceived the expected effect of support to be low.

      • KCI등재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 및 교육요구도 분석

        정훈섭(Hunseop Jeong),유병구(Byung-Ku Ryu),이병욱(Byung-Wook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This study aimed to design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calculate their educational needs, utiliz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need for each competency of these operators? Third, what are the priorities of these educational need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31 competencies in 5 areas were identified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ere finally reviewed through expert FGI. Notably,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a, such as 'Ability to Organize School Curriculum Planning Meetings' and 'Ability to Organiz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Operation Meetings', were emphasized as crucial. Secondly, across all areas, teachers' current performance level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hese competencies, with high educational needs identified.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Environment Cre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reas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Thirdly, based on the LF model, a total of 10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as top priority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especially in the areas of 'Introduction Environment Creati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Career and Life Guid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stepwis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identified competencies and priorities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these teachers. Secondly, differentiat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provided based on the prioritized competencies. Thirdly, detailed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 offices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urth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the credit system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ailored to different types of teachers.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을 구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요구도 산출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별 교육요구도는 어떠한가?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별 교육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구안한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을 전문가 FGI를 통해 최종 검토한 결과 5개 영역에서 31개의 역량이 도출되었고, 특히,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영역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 협의회 조직 운영 능력’과 ‘직업계고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 협의회 조직 능력’이 중요한 역량으로 강조되었다. 둘째, 모든 영역에 대해 교사들의 현재 수행 능력이 중요도에 비해 낮고,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도입 환경 조성’과 ‘교육과정 편성’ 영역에서 가장 높은 교육요구도로 조사되었다. 셋째, LF 모델에 기반하여 직업계고등학교 학점제 운영 담당자의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1순위 역량으로 총 10개가 도출되었으며 특히, ‘도입 환경 조성’, ‘교육과정 편성’, ‘진로 및 생활지도’ 영역의 역량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안된 역량 및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단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활동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시된 역량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차별화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연수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정착을 위해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차후 직업계고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 유형별 직업계고 학점제 역량 관련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병욱(Byung-Wook Lee),정훈섭(Hunseop Jeo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이 연구는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도출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는 어떠한가? 둘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 조사 결과 연구 결과 제시된 모든 직무에 대해 취업지원관은 중요도 대비 현재 수행 능력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취업지원관은 본인들이 중점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무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높게 도출되었다. 따라서 차후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난이도가 있는 직무에 대해 기초부터 전문적인 내용까지 포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도 자체 평가청의 취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취업지원관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 우선순위에 대한 결과 총 25개의 직무 중에서 8개의 직무가 1순위로 도출되었고, 2순위에는 8개의 직무, 3순위에는 9개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취업지원관이 직업계고에서 전문적인 역할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취업지원관 연수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and analyze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the employment guidance job of career consulta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analyz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in the employment guidance of the career consulta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what is the priority of the employment guidance and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of the career consulta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in the employment guidanc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career consultant responded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was l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all the job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career consultant had a high education requirement for the jobs that they were expected to focus on. So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a program that can cover everything from basic to specialized for difficult jobs is develop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hare of various industry information to support career consultant centering on the employment support centers of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rioritization of education requirements in employment guidance jobs of career consultant, 8 jobs out of a total of 25 jobs were derived as the 1st priority, 8 jobs in the 2nd priority, and 9 jobs in the 3rd priority. So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career consultant so that they can quickly perform their professional rol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발명·지식재산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이병욱(Byung-Wook Lee),이규녀(Kyu-Nyo Lee),박기문(Ki-Moon Park),조혜숙(Hye Sook Cho),정훈섭(Hunseop Jeong)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초·중등단계와 직업계고에서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및 직업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이용한 초·중·고교 교사들의 발명・지식재산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변화에 무관심하거나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수준이었으며,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 절차 등의 운영적 관심도는 가장 낮았다. 초·중등단계 교사의 발명・지식재산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발명・지식재산교육의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전략을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초·중·고교 발명·지식재산교육의 실행 형태에서 핵심역량,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운영 형태, 평균 참여 학생 인원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중학교와 일반고)의 특성에 상관없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초·중·고의 학습자에 따른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차별화된 개정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발명·지식재산교육의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도입 적정 여부 및 양적·질적 확대를 조사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중·고 단계별 발명·지식재산교육의 목표 수립을 포함하여 실습 기자재, 실습실 등 물적 자원의 지원과 전문교원 양성, 교원 연수 등의 인적 자원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ag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of elementary, secondary,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in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using the Interest-Centered Acceptance Model (CBAM) was level of indifferent to change or had general information and showed the lowest level of operational interest in methods and procedures applied to an actual school setting. Teachers" interest in education can be increased by presenting various curriculum operation strategies for each school level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re competency,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operation types, and the averag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almost simila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level.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differentiated revision direction for efficient education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arner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ppropriateness of introduct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for the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generally agreed. Therefor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setting of goals for each school level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nd supporting material resources such as practice equipment and laboratory and human resources such as training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providing of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