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양생태계 서비스 평가 지표(안) 개발

        김찬웅(Chan Woong Kim),정필규(Pil Gyu Jung),남정호(Jungho Na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이 연구는 생태계서비스의 현황과 변화양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 해양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표(안)를 개발하였다. 연구는 사례 분석, 지표선정 원칙 설정, 자료분류체계 정립, 세부항목 도출 순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을 통한 지표 후보군 선정은 국내외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 졌으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진행 중인 해양 생태계서비스 평가 항목도 일부 고려하였다 그 결과 총 16개 분류, 38개 평가 지표 후보군을 도출하였다. 지표선정의 원칙으로 대표성, 특수성, 합리성, 정량성, 민감성, 연계성, 현실성, 실효성 등 총 8가지 원칙을 고려하여 지표선정의 정당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자료 분류 체계 정립은 개별항목의 성질과 지표선정 원칙을 고려하여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지표 후보군을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미래지표, 보조지표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분석 결과에 지표선정 원칙과 자료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총 13개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안)를 도출하였다. 평가 지표는 공급 서비스 분야 6개, 조절 서비스 1개, 문화 서비스 4개, 지지/지원 서비스 2개로 구성되었다. 국가에서 진행 중인 자료 수집의 한계로 인해 조절 서비스의 비중이 낮은 점 등이 한계점이며, 향후 생태계서비스의 현황과 변화 양상 등을 보다 면밀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표에 대한 연구 및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useful tool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 patterns of ecosystem services by developing a marine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ndicators (draft).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order of case analysis, establishment of indicators selection principles, installation of data classification system, and derivation of specific items. The selection of indicator candidates through case analysis was carefully made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and some of the marine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tems in progress at the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As the result, a total of 16 categories and 38 assessment indicators candidates were derived. With reference to the principles of indicators selection, legitimacy and objectivity of indicators selection wer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a total of eight principles: representativeness, specificity, rationality, quantification, sensitivity, relevance, reality, and effectiveness.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tems and the principle of indicators selection, and as a result, the indicators candidates were categorized into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ndicators, future indicators, and auxiliary indicators. Finally, a total of 13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ndicators (drafts) were de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s selection principle and data classification system to the case analysis results. The assessment indicators comprises 6 provisioning services, 1 regulating service, 4 cultural services, and 2 supporting services. Due to the limitations of ongoing data collection in the country, the weight of regulating services is low, which fuels the need for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future indicators more closely to check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