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산의 정상체중아와 저체중아에서 제대정맥혈의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치의 비교

        전선희 ( Sun Hee Chun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ung Ju Kim ),정경아 ( Kung Ah Jeong ),이경아 ( Kyung 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5

        목적: 정상체중 및 저체중미숙아 사이에 제대혈의 적혈구조혈인자 (EPO)농도와 유핵적혈구 (NRBC)수에 차이가 있나를 알아보고 미숙아에서 제대혈 NRBC치에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요인을 규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미숙아단태아 (임신 27~37주 미만) 43예를 대상으로 제대연령별 출생체중이 10~90백분위수의 정상체중미숙아 25예, 10백분위수 미만의 저체중미숙아 18예로 나누어 분만 시 제대혈에서 방사면역검사법에 의하여 적혈구조혈인자농도를, 말초혈액도말에 의해 100개 백혈구당 유핵적혈구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분만 직후 태반은 4% 포르말린에 고정 후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3)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test, Fisher exact test 및 단변량 및 다변량 선형희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 모형 적용 시 Step wise변수선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저체중미숙아에서 분만 시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와 혈색소의 중앙값는 각각 48.0 mIU/mL와 15.7 g/dL로서 정상체중미숙아의 12.5 mIU/mL, 14.6 g/dL보다 각각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핵적혈구수는 저체중아군에서 100개 백혈구당 8.0개로 정상체중아군의 2.5개보다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결과 제대혈 유핵적혈구수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제대혈 산소포화도 (SO2), 응급제왕절개술분만, 태반의 조직학적 경색이나 염증 소견 및 조기양막파수 등이었다. 결론: 미숙아분만 시 제대혈 적혈구조혈인자농도와 유핵적혈구수의 측정은 자궁내저산소증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라고 본다. 또한 유핵적혈구수의 증가 여부의 확인과 함께 분만 시 제대혈 가스분석이나,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는 자궁내저산소증에 의한 손상이나, 미숙아의 향후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익한 검사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any difference in levels of umbilical venous eryhthropoietin (EPO) and nucleated red blood cells (NRBC) between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and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preterm neonates at birth and to evaluate the peripar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retion of the nucleated red blood cells in preterm neonate. Methods: 43 preterm singleton neonates born at the gestational age between 27 weeks and 37 weeks of gestation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4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25 cases of AGA and 18 cases of SGA. At each delivery, umbilical venous blood gas values, concentration of EPO by radioimmunoassay and the NRBC count expressed per 100 white blood cell (WBC) were obtained. The placenta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for the presence of pathologic infarct and inflamm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Mann-Whitney U test, Fisher exact test, un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 median umbilical venous EPO concentration and fetal hemoglobin level in SGA preterm neonates were 48.0 mIU/mL and 15.7 g/dL,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GA preterm neonates (12.5 mIU/ML, 14.6 g/dL). The median NRBC in SGA group was 8.0 NRBC/100 WBC which was higher than in the AGA group (2.5 NRBC/100 WBC),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O2 saturation, emergency cesarian section, infarct and inflammation in placental pathology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s indepen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NRBC count. Conclusion: Measurement of the level of EPO and NRBC in umbilical venous blood at birth of the preterm neonates can be used as a helpful index for evaluation of intrauterine hypoxia. In addition, cord blood gas ananlysis and placental examination on the infarct and inflammation are informative value for the elevated NRB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