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인사명자직과 메타버스 선교 모델 연구

        장성배(Sung-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1

        이 연구는 메타버스 시대에 만인사명자직에 따른 메타버스 선교 모델을 찾는데 그 초점이 있었다.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세상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면서, 제4차 산업혁명이 한층 가까이 다가온 세상에서 메타버스 세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음을 인식하면서 메타버스 세계를 향한 선교 연구를 더는 미룰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메타버스 세계를 이해하고, 교회가 이 세계에 접근할 수 있는 몇 가지 경우의 수를 살펴보고자 했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 세상’을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서,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 디지털 미디어가 연결하는 디지털화된 지구를 뜻한다. ASF(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의 분류에 따르면, 증강현실 세계, 라이프로깅 세계, 거울 세계, 가상세계의 네 종류의 메타버스 세계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세계를 향해 교회가 접근할 수 있는 경우의 수로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생각할 수 있었다. 1) 현실 세계 선교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메타버스 선교, 2) 메타버스 세계로 들어가지만 현실 세계의 전도방법으로서의 메타버스 선교, 3) 메타버스 세계로 성육신해서 그곳에서 교회를 세우는 메타버스 선교, 4) 현실 세계의 사회적 섬김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메타버스 선교, 5) 메타버스 세계 자체를 섬기기 위해서 그 안으로 성육신하는 메타버스 선교. 그리고 연구자는 교회가 3)번과 5)번의 접근방법까지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Ⅲ장은 메타버스 선교를 현재의 선교학적 관점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장이었다. 연구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메타버스 세계와 현실 세계, 그리고 기독교 세계가 세 축이 되어서 상호 영향을 주면서 하나님 나라를 향해 변화해가는 모델을 제시했다. “메타버스 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세 세계관이 만나서 하나님 나라 세계관을 향해 함께 변화해 가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Ⅳ장은 메타버스 선교사의 기본 요소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 보는 장이었다. 이에 대해 연구자는 메타버스 선교사의 기본 요소들을 1) 만인사명자직, 2)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능력, 3) 문화지능과 메타버스 지능, 4) 메타버스 기술로 제안했다. 네 요소들은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시너지를 내는 가운데 메타버스 선교사의 기본 능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 Ⅴ장은 예수님의 선교 방법에 따라 메타버스 선교 모델을 세워보는 시도를 했다. 예수님의 동선(動線)에 따라 사역하는 것이 21세기 메타버스 세계 안에서도 여전히 유효함을 확인하면서 예수님의 동선을 12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거리에서 선포, 2) 교회 밖에서, 3) 가난한 자를 향해, 4) 사랑의 섬김, 5) 하나님 나라 운동, 6) 총체적 선교, 7) 거룩을 향해, 8) 성령과 사람 중심 교회론, 9) 만인사명자직, 10) 소그룹 공동체, 11) 마을마다, 12) 땅 끝까지. 서론에서도 언급했지만, 메타버스 선교 모델은 수없이 많을 것이다. 연구자의 제안은 그 시작일 뿐이다. 앞으로 더 깊고 넓은 연구들이 이어져서 교회가 메타버스 세계 안으로 성육신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선교를 감당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a metaverse mission model according to the missionaryhood of all human beings in the metaverse era. As the Corona 19 situation continues and discussions about the post-corona world are taking place, I couldn’t postpone the study of missions towards the metaverse world, because the metaverse world is already taking place in a world. For this study, Chapter Ⅱ tried to understand the metaverse world and examine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church can access this world.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transcendence" and "universe" meaning "universe, worl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ASF), four types of metaverse worlds can be considered: the augmented reality world, the lifelogging world, the mirror world, and the virtual world. The following five channels could be considered as a way for the church to approach this metaverse world. 1) Metaverse mission to help missionaries in the real world, 2) Metaverse mission as a method of evangelism in the real world while entering the metaverse world, 3) Metaverse mission to incarnate into the metaverse world to build a church there, 4) Metaverse mission to help the social service of the real world, 5) Metaverse mission to incarnate into the metaverse world to serve the metaverse world itself. And I suggested that the church should go up to the 3) and 5) approaches. Chapter Ⅲ was intended to understand metaverse missions from the current miss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in which the metaverse world, the real world, and the Christian world become three ax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 of the Triune God, and they influence each other and change toward the kingdom of God. Chapter Ⅳ thought about the basic elements of a metaverse missionar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suggested the basic elements of a metaverse missionary as 1) the missionaryhood of all human beings, 2) ability to hear God"s voice, 3) cultur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intelligence, and 4) metaverse technology. The four elements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basic abilities of the metaverse missionary while creating synergy by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Lastly, chapter Ⅴ attempted to establish a metaverse mission model according to the missionary method of Jesus. I looked at the Jesus movement from 12 dimensions, confirming that the Jesus way is still valid in the metaverse world of the 21st century. It is as follows. 1) Proclamation on the street, 2) Outside the church, 3) Toward the poor, 4) Serving of love, 5) Kingdom movement, 6) Holistic mission, 7) Toward holiness, 8) Spirit and people-centered ecclesiology, 9) Missionaryhood of all human beings, 10) small group communities, 11) village by village, 12) to the ends of the earth. A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there will be countless models of metaverse missions. This article is only the beginning. It is expected that deeper and broader studie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so that the church will incarnate into the metaverse world and carry out the mission of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 존 웨슬리와 선교적 신학교 훈련 모델: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

        장성배(Sung 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이 논문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웨슬리적 강점을 살린 ‘선교적 신학교’(missional seminary)의 훈련 모델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감리교신학대학교(이하 감신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선교적 신학교인 감신대가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에 기여하기 위해서 웨슬리적 목회와 선교의 강점을 확인하고, 이러한 목회와 선교를 감당할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하는 길을 찾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선교에 대한 정의를 하고, 21세기 선교의 주요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선교적 신학교와 관계하는 중요한 축들의 상호 관계를 이해해 봄으로써 선교적 신학교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이해해 보려고 했다. 3장에서는 선교적 신학교가 수행해야 할 훈련에 대해 답을 찾기 위해서, 변화하고 있는 대학들의 주요 흐름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이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인재상이 어떤 것이고, 대학들은 그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감신대의 훈련 모델 개발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질문했다. 이 장에서 다룬 미래 인재상의 주요 요소들은 (1) 수행능력, (2) 수용성, (3) 네트워킹 능력, (4) 글로컬 능력, (5) 섬김 능력, (6) 이성의 여섯 가지였다. 4장에서는 전장에서 다뤘던 대학교육 변화의 과제를 안고 웨슬리적 훈련 모델의 근거를 세워보고자 했다. 두 가지 접근이 이뤄졌는데, 첫째는 웨슬리의 4변형이 선교적 신학교의 훈련 모델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이 과정에서 이 연구는 ‘하나님의 선교 중심 웨슬리의 4변형’의 관점에서 훈련 모델을 검토했다. 성서, 전통, 이성, 경험 위에 하나님의 축이 있는 모델이었다. 이 관점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웨슬리의 4변형을 우리의 중요한 요소들과 연결해 보았는데, 현대 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적 비전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전통’을 현재 우리의 ‘교회’로, ‘경험’을 ‘세상’으로, ‘이성’을 ‘비전/청사진’이라는 단어로 바꿔서 이해하면서 교육 훈련의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웨슬리적 훈련 모델의 두 번째 근거를 위해서 웨슬리의 선교에서 나타난 12가지 주제들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신학교육과 훈련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그 12가지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거리에서 선포, (2) 교회 밖에서, (3) 가난한 자를 향해, (4) 사랑의 섬김, (5) 하나님 나라 운동, (6) 총체적 선교, (7) 거룩을 향해, (8) 성령과 사람 중심의 교회론, (9) 만인 사명자, (10) 소그룹 공동체, (11) 마을마다, (12) 땅 끝까지. 선교적 신학교의 훈련 모델의 추가적인 연구들이 이어져서 보다 견고하고 정교한 훈련 모델이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그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서 실제적으로 미래형 영적 지도자들이 배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a training model for a missional seminary that used Wesley’s strengths in a rapidly changing sit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Korean church and the global church, we tried to identify the strengths of Wesleyan ministry and missions, and to find ways to produce church leaders who can handle these ministry and missions. In chapter 2, we defined mission and investigated the main trends of mission in the 21st century. By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important axes associated with missionary seminary, I wanted to understand how missionary seminary works.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main streams of changing universities to find answers to the training that missionary seminaries should perform. To this end, this study looked at what kind of talent this era is demanding and how universities are changing to cultivate such talent. We also asked what these changes mean for developing the training model for the missional seminary. The main elements of future talent covered in this chapter were (1) performance (2) receptivity (3) networking (4) local skills (5) service (6) reason. In Chapter 4, I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Wesleyan training model. Two approaches were taken. The first was how Wesley’s quadrilateral could be used as a training model for missionary seminary. In the process, the study examined the training model in terms of ‘God’s mission-oriented Wesley’s four transformations’. For the second basis of the Wesleyan training model, 12 topics in Wesley’s mission were reviewed and theological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were followed. The 12 themes are: (1) Proclaim in the street (2) From the outside of the church (3) Toward the poor (4) Serving of love (5) The kingdom movement (6) Holistic mission (7) To holiness (8) Holy Spirit and people-centered ecclesiology (9) Missionaryhood of all human beings (10) Small group community (11) To village (12) To the ends of the earth.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f the training model of the missionary seminary will follow to establish a more robust and sophisticated training model. It is also hoped that specific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produce future spiritual leaders.

      • 선교 코칭 모델 연구

        장성배(Chang, Sung-Ba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8

        이 연구는 최근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코칭의 핵심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기독교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교회가 올바르게 코칭을 사용하여 시대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했다. 코칭의 핵심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국제코치연맹(ICF)과 한국코치협회의 코칭에 대한 정의를 중심으로 코칭에 대해 정의했고,그 역사와현재까지의 동향을살펴보았다. 코칭의 철학과 주요 접근방법들,주요 스킬들,그리고 코칭의 세계관을 살펴봄으로써 코칭의 구조를 이해했다. 선교 코칭(Missional Coaching)을 설명하기 위해서 연구자의 저 서 『사명리더로 바로 세워라』에서 다뤘던 리더십의 삼각뿔 구조를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이해한 선교 코칭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1)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디자인을 발견하고 성취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방법 (2) 하나님의 사람들을 최상의 상태로 무장시키는 놀라운 방법 (3) 지구촌 안에서 자기 사명과 위치를 찾도록 돕는 탁월한 방법 (4) 교회와 선교지를 바꾸는 전혀 새로운 방법 (5)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예수님의 성육신적 방법 선교 코칭의 주요 스킬들 중에는 1) 하나님의 마음을 품은 경청과 2) 삼위일체 하나님의 질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선교 코칭분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었다. (1) 크리스천 리더십 개발 코칭 (2) 크리(5) 교회/선교 조직 변화 코칭 (6) 목회/선교 전략 개발 코칭스천 라이프 코칭 (3) 크리스천 커리어 코칭 (4) 크리스천 리더 행동변화 코칭 (5) 교회/선교 조직 변화 코칭 (6) 목회/선교 전략 개발 코칭 선교 코칭 분야를 개발할 코치나 코칭 연구소들은 다음과 같은 사역들을 염두에 두고 움직여야 한다는 점도 제시했다. (1) 선교 코칭 연구: 크리스천 코칭에 대한 이론을 구축한다. (2) 선교 코칭 전략개발: 크리스천 코칭의 전략개발과 구체적인 사례들을 도출해 낸다. (3) 선교 코칭 훈련: 크리스천 코칭을 훈련하여 많은 코치들을 준비시켜간다. (4) 선교 코칭 실행: 실제적으로 목회와 선교현장의 리더들을 코칭을 통해 섬긴다. 선교 코칭이 교회의 중요한 선교 도구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issional coaching model for the mission and ministry of the church. Over the past 10 years, the concern on coaching in secular world has been rapidly growing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fields of coaching.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established theory to explain Christian coaching, especially missional coaching.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ut first step on the study of the missional coaching. To explain missional coaching, I dealt with a triangular pyramid structure of the leadership which was already by my study on Christian leadership in 2009. From this perspective, missional coaching has following meanings. (1) Effective tool for discovering his or her own design of God and fulfilling God’s purpose for him and her. (2) Amazing way for equipping God’s people (3) Wonderful method to discover God’s mission in this global village (4) New way of transforming churches and mission fields (5) Incarnational way of building Kingdom on earth. On missional coaching skill, I dealt with following two issues. (1) Deep listening with God’s heart 2) Life-changing questions of Trion God. Important missional coaching fields would be as follows. (1) Christian leadership development coaching (2) Christian life coaching (3) Christian career coaching (4) Christian behavior change coaching (5) Coaching for restructuring church and missions (6) Ministrial/Missional strategy development coaching Missional coaching institutes should work for following fields. (1) Study on missional coaching (2) Missional coaching strategy development (3) Training for missional coaches (4) Coaching the church and mission fields. I expect that missional coaching will be a powerful tool of the church for mission in the 21st century.

      • 코칭의 경청과 질문을 통한 복음 전도와 제자 양육

        장성배(Sung 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2

        이 연구는 코칭의 경청과 질문을 통해 복음 전도와 제자 양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과 그 코칭 단계를 정리하는 것에 초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코칭에 대한 정의와 왜 이 시대에 코칭이 복음 전도와 제자 양육의 중요한 방법이 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문제는 IV장에서도 다뤘는데, 포스트모던 문화와 다문화사회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강요하는 것 같은 복음 전도와 제자 양육 방법 보다는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코칭적 방법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II장에서는 경청의 문제를 다뤘다. 그것도 경청의 이론적 부분 보다는 실천적 차원을 더 많이 언급했다. 이 장에서 우리는 성육신적 경청이 어떤 것이고 왜 그것이 주요한지 살펴보았다. 하나님의 마음을 품은 사랑의 경청, 성육신적 경청이야말로 현대인들의 닫힌 마음을 열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상한 심령을 치유하는 중요한 방법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III장은 질문의 문제를 다뤘다. 이 또한 이론 보다는 실천에 관심하며 연구했다. 2장과 같이 성육신적 질문에 대해 관심을 갖았는데, 그들의 눈높이와 필요에 응답하는 내부자적 질문에서 시작해서, 삶과 죽음 그리고 영원을 향한 외부자적 관점의 영적 질문으로 이어져야 함을 확인했다. IV장은 전도와 제자 양육의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하고, 여기에 코칭의 경청과 질문을 적용하는 문제에 집중했다. 중요한 것은 수신자로서의 코치이는 능동적으로 반응을 하는 존재라는 것과 그들이 복음에 온전히 반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들이 필요하다는 사실이었다. 전달자로서의 코치는 수신자 코치이가 온전히 복음을 영접하고, 증인의 삶을 살며, 다시 제자들을 양육하는 제자가 되기까지 사랑으로 섬겨야 함을 강조했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구체화되어서 복음 전도와 제자 양육의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checking the possibility of evangelism and disciple making through listening and questioning in the process of coaching. The main reason for applying coaching in evangelism and discipling is on the rapid change of society into the postmodern and multi-cultural condition. In this new society, traditional approach is too one-sided to lead. For this study, I dealt with listening and questioning skills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Especially, this study highly regarded the importance of incarnational approach in coaching. Also, the way of evangelism and disciple making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listening and questioning. I believe that coaching will be an important and powerful way of evangelism and disciple making in this new postmodern and multi-cultural society.

      • 다문화 코칭과 선교

        장성배(Sung-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세계 Vol.- No.94

        이 연구는 지구집 다문화 상황을 향해 코칭으로 선교에 동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II장에서는 글로벌 다문화 상황에 대해 검토했다. 일반적인 문화의 이해에서부터 시작해서, 기독교적인 문화 이해와, 선교적 관점에서의 문화적 주제들을 검토했다. 그와 함께 ‘문화 지능’(CQ)와 ‘간문화적’(crosscultural)관점, 그리고 ‘간문화 커뮤니케이션’의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III장은 간문화 상황에서 교회의 선교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것을 좀 더 세분화해서 해외 간문화 사역과 국내 간문화 사역, 그리고 글로컬 간문화 사역의 영역들을 살펴보았다. IV장은 이 논문의 주요 관심사인 교회의 간문화 사역에 필요한 간문화 선교 코칭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인 코칭의 이해에서 시작해서, 선교 코칭을 거쳐서, 간문화 선교 코칭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활동 영역들을 살펴보았다. 간문화 선교 코칭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는 영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충분한 임상 결과가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사회에서 이 분야의 공헌도는 충분히 예측가능하다. 그렇다면 필요를 느낀 사람들이 좀 더 열심히 연구하고, 끊임없이 간문화 상황에 참여하면서 전략을 개발하고, 임상결과들을 만들어 내야 한다. 조급하게 완성된 결과물을 요구할 수는 없다. 지구집 간문화 상황 자체가 전에는 없던 상황이고,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아무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일에 열정을 가진 코치들과 전문가들의 계속되는 연구를 기대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oaching to multicultural society for mission. In this article, I wanted to deal with three issues that are deeply intermingled one another. Those are culture, mission, and coaching.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oncept of culture from anthropological, Christian, and missiological perspectives. Also the chapter concerns the new understanding on cultural intelligence, cross-cultural context, and cross-cultural communication.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ross-cultural ministry in three areas: Foreign cross-cultural ministry, domestic cross-cultural ministry, and glocal cross-cultural ministry. The forth chapter discusses the cross-cultural missional coaching. This chapter deals with three dimensions on coaching: General coaching, missional coaching, and cross-cultural missional coaching. I believe this study on the cross-cultural missional coaching will be helpful for mission toward the global multi-society.

      • 작은 교회의 메타버스 적용에 관한 연구

        장성배(Sung-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3

        이 논문은 메타버스 시대에 작은 교회들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기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 것인지 질문하면서 시작했다. 여기에 답을 얻기 위해서 이 논문의 Ⅱ장은 미래사회의 주요 변수들, 특히 메타버스 시대를 정리해 보았다. 미래사회를 예측해야 그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Ⅲ장은 이러한 미래사회에서 선교를 감당해야 하는 작은 교회를 이해하는데 할애했다. 특히 작은 교회의 현재 상황뿐만 아니라, 그들의 강점도 파악하려고 노력했다. Ⅳ장은 작은 교회가 메타버스 선교를 감당하기 위한 주요 초점들을 검토했다. 그리고 Ⅴ장은 구체적으로 작은 교회가 세워갈 메타버스 교회의 주요 사역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Ⅵ장은 남은 과제와 전망을 언급하는 것으로 끝맺었다. This thesis started by asking what small churches should prepare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in the metaverse era. In order to get an answer here, Chapter II of this paper summarizes the major variables of the future society, especially the metaverse era.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by predicting it. Chapter III is devoted to understanding the small church that has to carry out missions in this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I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mall churches as well as their strengths. Chapter IV reviewed the main focus for small churches to undertake metaverse missions. And Chapter V specifically looked at the major ministries of the metaverse church that a small church would build. Finally, Chapter VI concludes by addressing the remaining challenges and prospects.

      • 선교적 신학교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장성배(Sung Bae Ch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이 논문은 선교적 신학교에 요구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수학습 방법론과 그 구체적인 방법들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제4차 산업혁명 때문에 지구촌 전체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고, 코로나19로 말미암아 뉴노멀 세상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선교적 신학교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요청하게 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전통적인 교육의 축인 교실, 교재, 지식, 교수 중심의 패러다임이 현장, 경험, 실천, 학생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바뀌는 것이었다. 필자는 그 위에 하나님 축을 추가한 새 패러다임을 "하나님 중심 신학교육 모델"이라고 불러 보았다. 하나님 중심 신학교육 모델의 실천을 위해 "하나님의 사람을 세우는 방법들" 8가지와 "하나님의 사람을 세우는 교수학습 방법들" 11가지를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이러한 방법들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마지막 장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온택트 수업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이 방법들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현장, 경험, 실천, 학생 중심의 새 패러다임의 관점을 적용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 new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in a missional seminary setting. The entire global village is shifting to a new paradigm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 new normal world is unfolding as a result of Corona 19. These changes have enforced a chang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 missional seminary. The biggest change was the shift from a traditional paradigm with the axis of the classroom, textbooks, knowledge, and teaching to a new paradigm with the axis of field, experience, practice, and students. Here, I suggested a new paradigm as ‘the God-centered theological education mod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God-centered theological education model, we reviewed eight methods to build up God"s people and eleven teaching-learning methods to build up God"s man and women. In this process, I emphasized that these methods should be used complementarily. In the last chapter, we looked at various methods for the ontact class in the untact era. In evaluating these methods, the perspective of a new paradigm with the axis of field, experience, practice, and students was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