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에 관한 초·중등교원의 인식

        임장현(Lim, Jang Hyun),김정연(Kim, Jeong Yeon),김시원(Kim Si W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건강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학교복귀를 위해서 학생들의 역량 강화와 함께 학생을 지지해줄 수 있는 체계적인 개입과 사회적 지지체계를 마련해주기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건강장애 관련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건강장애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현황과 교육지원에 관한 준비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전국의 초, 중등학교 교사 52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준비도는 교사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장애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는 교육지원방안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경험이 있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장애 교육 준비도는 학업적 지원 준비도, 심리적 지원 준비도, 물리적 환경 준비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론: 향후 초,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지원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과 실행 점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health disability to teachers to provide students with systematic intervention and social support of student’s competence and enhance students’ ability to return to school successfully. Metho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ducation support status of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and the degree of education support. The survey included 529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nd readiness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verified using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ealth disability was higher than education support measures, and the group with training experience was higher. Level of preparation for academic support, preparation for psychological support, and preparation for physical environment were high.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nd implementation should be initia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and enhance the capacity of education suppor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서비스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hyun),박은혜(Park, Eunhye),구정아(Ku, Jeong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들의 학교 및 사회생활 참여를 높이기 위한 AAC 지원의 중요성이 최근 강조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AAC 기기 및 중재서비스에 대한 요구조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소수의 연구밖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AAC 서비스 지원이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더 적합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와의 개별 면담과 FGI를 통해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 그룹별로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AAC 중재 경험과 접근 장벽, 자녀에 대한 AAC 지원 요구: 생애주기별 AAC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 가족지원: 가족참여 AAC중재 서비스 요구,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 가족 요구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otential AAC users’ parents regarding AAC,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4 themes and 15 sub-them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Main theme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AAC intervention and access barriers to AAC, (2) AAC support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span perspective on their children, (3) family supporting services to enhance parental involvement, (4)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verall,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and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system considering users’ demand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중재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 Hyun),박은혜(Park, Eun Hye),구정아(Ku, Jeong A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의 기본적인 의사소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지원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후천적 장애 등으로 인한 성인기의 잠재적 AAC 사용자 수요는 영유아기, 학령기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성인 AAC 지원 관련 선행연구도 부족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AAC 중재 요구조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9명의 뇌병변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를 가진 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현재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과 의사소통 관련 중재 경험, AAC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AAC 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담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개인의 경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사용자 중심의 AAC 중재서비스 기초 마련,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제안)와 13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성인으로서의 독립적 생활에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AAC 기기 개발 및 관련 정보와 사회인식의 부족, 또한 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시스템 자체의 부족이 문제점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회적 서비스 측면에서 수요자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AAC, and providing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To serve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4 main themes with 13 sub-categories. Main themes follow : (1) the personal experiences on communication difficulties, (2)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AAC intervention, (3) forming the basis of consumer oriented AAC intervention service, (4) th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n the whole, although the need for AAC was great because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problems,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Therefore,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delivering system for service user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용 게임 분석

        임장현(Jang Hyun Lim)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3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26 No.4

        Multimedia game contents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struction media to suppo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ve attention and learning difficulties. Many education game programs have developed to enhance learning fluency and learner’s interest. These programs also can be appli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cessfully. To this, education game program is designed to access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to assess and suggest education game program accessibility, 6 education game programs were reviewed through teacher’s recommendation. Also These programs were rated 5 point likert scale by 30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ccording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guidelines. The results show that well designed education game program applied efficiently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need to consider practices to enhance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가상현실기술 기반의 게임 콘텐츠 분석

        임장현(Jang hyun Lim)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7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0 No.2

        Virtual re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often face challenges with social interaction and learning. It is the use of interactive simulations to allow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gage in environments that appear to be and feel similar to real world objects and events. Virtual environments encourage interactive learning and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have control over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reviews relevant research that explores the use of virtual reality and suggests game contents for supporting social intera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 아동의 문해력 증진을 위한 앱 기능 분석

        임장현(Janghyun Lim),박은혜(Eunhye Park)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7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0 No.3

        Literacy skill is an essential element in promoting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variety of apps that are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launched and are being used eff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literacy instruction app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future app development and educational application. 7 iOS-based apps, 7 android-based apps, 14 apps in total were analyzed, and assessed by program category,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to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app selec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