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물 위치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공간 대응

        임여정 ( Lim Yoe Jeong ),오지은 ( Oh Jee Eun ),이순형 ( Yi Soon Hy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간 대응에 대한 이해가 사물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형방과 이를 나타내는 그림 지도를 연구 도구로 하여, 두 공간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동일한 사물을 배치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126명이었고,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그림지도와 인형방에 있는 사물의 위치를 대응시켜 인형방에 숨겨진 고양이 인형을 찾아야 하는 공간 대응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세 이후 유아는 참조 공간과 공간 표상물에 있는 사물을 동일한 위치에 성공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었으며, 3세 유아도 공간 대응의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수직/수평의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상하, 좌우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는 ‘상’보다는 ‘하’, ‘우’보다는 ‘좌’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공간 대응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mapping of th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ocation of objects, and reveal whether these differences do change with age. In order to do so, we placed 4 identical object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and to the left of a central reference point and created a search task using picture map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6 young children 3, 4, and 5 years of age and the subjects`` task was to read the provided picture map, pick up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dicated on the map, then pick out the same location on the picture ma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4 years or older were able to successfully place the objects from the reference space and the picture maps on the same locations, and children of 3 years showed basic spatial understanding. Second, young children``s spatial mapp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ther the locations were vertical or horizontal. Third, the spatial mapping of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wa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young children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mapping when the objects were located below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as opposed to above or to the righ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사물 종류와 유추 조건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공간위치 유추

        임여정 ( Lim Yoe-je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는 구조대응 이론을 근거로 유아가 관계 유사성에 근거하여 공간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간과제 특성(사물 종류, 유추 조건)에 따라 4가지의 공간위치 유추 과제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125명이었고,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바탕공간(그림지도)에 있는 사물을 표적공간(모형방)의 같은 자리에서 찾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공간위치 유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 점수도 높고, 과제 조건에 따른 수행 점수간 편차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공간위치 유추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세 유아는 공간위치 유추에 어려움을 보인 반면 4, 5세 유아는 모든 과제에서 안정적으로 공간위치 유추에 성공하였다. 셋째, 유아의 공간위치 유추는 공간과제 특성인 사물 종류와 유추 조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추 조건이 상이조건보다는 유사조건인 경우에 공간위치를 잘 유추하였으며, 사물 종류가 단종인 경우보다는 다종인 경우에 공간위치를 잘 유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탕 공간에 배열된 사물 종류와 두 공간간의 유추 조건에 따라 유아의 공간위치 유추에 차이가 있으며, 공간위치 유추 발달에 있어 3세와 4세가 중요한 시기임을 밝혔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patial location analogies based on the structure-mapping theory in order to reveal whether young children aged three, four and five are able to analogize based on relational similariti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5 young children 3, 4, and 5 years of age and the subjects' task was to read the provided the base space(picture map), pick up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dicated on the target space(the scale ro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bility to analogize spatial location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object’s attributes and analogy conditions. Young children aged three, four, and five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two spaces better when the object’s attributes arranged within the space was diversified rather than singular. This difference displayed differing aspects depending on the analogy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two spaces, with differences emerging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attribute when the analogy conditions of the two spaces were similar, whereas no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attribute, appeared, when analogy conditions differed. Second, the children differed to analogize spatial location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age. Three-year-old children were able to analogize the location relation between objects arranged in the space. However, the analogical ability of three-year-old children was at an elementary level, being affected by object’s attributes and analogy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were able to analogize spatial locations regardless of the task type. The study shows that spatial location analogies of children differ depending on analogy conditions between two spaces and object’s attributes arranged within the space. The study also shows that ages three and four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location analogies.

      • KCI등재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강정원(Jeong-Won Kang),박소영(So-Young Park),이원선(Won-Seon Lee),임여정(Yoe-Jeong L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assessing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for autonomously managing childcare quality.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s, items were derived and valid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Data from a survey involving 216 directors and 509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o assess reliability and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a 36-item diagnostic tool across four subcategories: shared values (6 items), training abilities (18 items), environmental support (6 items), and organizational promotion (6 items). A diagnostic tool named S.T.E.P+ was developed, named after the first letters of the four subfactors. Skewness and kurtosis were within normality assumptions. Good fit indices (CFI, TLI) and low SRMR and RMSEA values indicated a satisfactory model fit. Cronbach's α values showed high reliability for all factors. The tool enables autonomous diagnosis of childcare qu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tool can effectively autonomously diagnose whether a daycare center is providing quality childcare.

      • KCI등재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놀이방해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박소영(Park, So-Young),임여정(Lim, Yoe-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이 놀이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510명을 대상으로 교사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력, 놀이방해 행동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놀이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 억제, 주의집중력 모두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자기조절력의 매개적 역할로 놀이방해 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또래 유능성이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개별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 놀이방해 행동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eer competence and play disturbance behavior. The subjects were 510 3-5 year-olds attending preschool in Seoul and Gyeonggi,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ir teacher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while peer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y disturbance behavior.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y disturbance behavior. Second, self-regulation. have fully mediated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competence and play disturbance behavior. This results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play disturbance behavior through efforts to increase self-regulation of children as well as support for peer competency and soci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