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port - 전기통신사업법상 웹하드 등록제

        이헌희,Lee, Heon-Hui 한국발명진흥회 2012 發明特許 Vol.37 No.2

        최근 전기통신사업법의 개정으로 인해서 웹하드 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기존의 신고만 하면 되던 것을 등록을 해야하도록 되었다. 이는 웹하드 사업의 낮은 진입장벽에 의해서 불법복제가 만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하지만, 해당 서비스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법적인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해 살펴보고 웹하드 사업을 하기 위한 자에게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KCI등재

        한중일 3국의 중재제도의 조화를 위한 소고 - 특허권 중재를 중심으로 -

        이헌희 한국중재학회 2013 중재연구 Vol.23 No.1

        The issue of patent validity becomes a subject of dispute under the FTA and there is a definite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In other words, the validity of a judgment on the patent was exclusively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t a particular patent office. Thus, the issue arises where there is a potential judgment on patent validity.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rather than the patent office can offer a judgment from a judicial institution and can make a judgment in the case of a medication. In China, however, the lowest possibility of judgment on patent validity is predicted to occur in judicial institutions. Such a judgment is recognized as the Grand Bench Decision in Korea, and the court can judge the patent validation rather than the patent office. That is just the case in the Kilby case—it is invalid for reasons obvious in Japan. Therefore,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countries. Especially in Japan, where after the Kilby case, they revised the patent law in 2004 to introduce Article 104-3, placing the judgment of patent validity in the court, even if the "Apparentness"is not requisite. Per this law, infringers can argue for patent invalidity not only the judgment of the patent invalidation but also the infringement lawsuit. From the point of view of Japan, Korea became the judgment of trademark validation by extension and obvious cases can become directly to judge through the Supreme Court about the right that needs to examinations and registrations. In terms of the mediation, it also provides a clue about the judg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validation and expands the scope of the mediation in the future. From now on, in order to have active mediation procedures in the three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would need to unify regulations and application scopes for mediation in the FTA negotiation and to look forward to achieve a vigorous mediation approach.

      • 한중 FTA시대, 기업의 중국진출과 지식재산

        이헌희,Lee, Heon-Hui 한국발명진흥회 2012 發明特許 Vol.37 No.9

        앞으로 체결될 한중FTA에서 지재관련 분야의 협상을 통해서 제도적 조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도의 부지 혹은 상이함으로 인해 우리 기업이 곤란을 겪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하게 된다. 중국과 우리나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지식재산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기에 특허 상표 및 디자인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양국 간 제도적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FTA에서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 논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이헌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17 産業財産權 Vol.- No.52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의 보호에 대해서는 이를 보유하고 있는 측과 이를 이용하는 측의 이해관계가 대립된 분야이다. 즉, 선진국이 주를 이루는 이용자 측은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을 종래에 대가 없이 이용하면서 발명이나 유전자원의 변형개발 등으로 커다란 경제적 수익을 얻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왔고, 이에 반해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제공자 측은 자원의 보유를 근간으로 경제적 가치를 빼앗기지 않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보호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해왔다. 이러한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의 보호문제는 국제적 논의뿐만 아니라 양자 및 다자간 FTA에서까지 논의가 되고 있어 협상의 진전을 어렵게 하는 민감이슈에 포함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러한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의 보호에 관해 최근 우리나라가 서명한 나고야 의정서, 이를 이행하기 위한 국내 입법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으며, 향후 FTA 협상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의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여건을 조성 중인 브라질 등 자원 부국이 포함되어 있는 MERCOSUR 등과의 협상을 위해서는 더더욱 정밀한 협상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한 국제적 논의, 기체결 FTA 논의,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관한 국내 이행입법을 살펴본 후 향후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해 협상에 있어 어떠한 점을 유의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is a field in which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ose who hold them and those who use them. In other words, the users from mainly developed countries have taken the advantage of obtaining huge economic profit by using inventions or modification of GRTK without any compensation and they have taken it for granted, on the other hand, the providers from mainly developing countries who have GRTK advocate the establishment of a new protection system to protect them without depriving of economic value based on the possession of resources. These discussions continue to be controversial in FTA negotiations. South Korea has signed the Nagoya Protocol and prepared legislation to implement it. The legislation provides access, use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and genetic resources related to traditional knowledge. Therefore new negotiation strategies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공유특허의 법적 성격 및 지분분할에 관한 고찰

        이헌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15 産業財産權 Vol.- No.47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n a jointly-owned patent right. Except for the case of working the patent invention by himself/herself, each joint owner is required to have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owners in order to shares transfer,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exclusive license and non-exclusive license, registration of extension of term and adjudication request. In addition, where a trial is requested against any of the joint owners of a patent right, all the joint owners must be made defendants. These limitations are due to the fact that a patent right is a right to intangible property.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a joint-ownership of a patent right has been understood as a type of partnership-ownership. However, according to the recent court’s ruling, it is possible for a joint owner of a patent right to claim for auction and segmentation. That is, joint-owners of a patent right such as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who lack capacity to work the patent invention by themselves, may pursue claim for segmentation of their rights. This may result in a serious damage to the other joint-owners of the patent rights such as companies. If one of the joint-owners of a patent pursue claim for segmentation, that may result in disposition of the patent by auction, infringing upon other joint-owners’ rights to work that patent. Therefore, an amendment to the Patent Act is necessary in order to alleviate such potential damages to the other joint-owners and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IPO)’s proposal for an amendment to the Patent Act seems timely. Yet, there are certain concerns over the KIPO’s amendment proposal regarding the jointly-owned patent rights. In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resulting from the recent court’s decision, the amendment could undermine the legal certainty or the rationality of the institution as a whole. That is, when a jointly-owned patent right is disposed by auction as in the court case, the other joint-owners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by setting an onerous statutory non-exclusive license instead of what the current amendment proposes. In addition to the statutory non-exclusive license, granting redemption of shares to the joint-owners can also prevent the unintended dispose of the jointly-owned patent rights. Therefore, these two alternatives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amendment.

      • KCI등재

        지리적 표시 리스트 방식의 보호에 관한 소고

        이헌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21 産業財産權 Vol.- No.67

        지리적 표시의 보호는 구대륙으로 대표되는 EU가 가장 강력하게 보 호하려는 지식재산 중에 하나이다. 이에 EU는 국제조약뿐만 아니라 많은 FTA를 체결함에 있어 지리적 표시의 보호를 강조하고 있다. 때문 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최근 EU가 체결한 중미, 일본 및 멕시코와의 FTA에서도 강력한 지리적 표시의 보호를 요구하였고, 협상을 통해 보 호를 약속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EU와의 FTA협상에서 지리적 표 시의 강력한 보호와 함께 한EU FTA 발효 후 지리적 표시를 추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EU의 요구에 따라 지리적 표시를 추가 해달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 그런데 지리적 표시를 보호함에 있어 FTA를 통해 리스트로 보호하는 지리적 표시는 상표법뿐만 아니라 부정경쟁방지법을 통해 높은 수준의 보호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현 보호체계인 부정경쟁방지법 상 의 지리적 표시 보호에 관한 조항의 높은 수준의 보호보다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상 지리적표시로 보호규정을 통일함으로써 원활한 지리적 표시의 보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리적 표시의 이의제기 절차 에 있어 현재와 같이 산업통상자원부에 예규가 아닌 법률 수준의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시행령 내지는 시행규칙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선행상표의 사용 혹은 상표나 지리적 표시 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가 FTA를 통한 지리적 표시의 보호에 따른 불이익을 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지리적 표시 분야에 있어 EU, 일본, 중국 등 기타 선진국 에 비교하여 보호의 필요성이 있는 지리적 표시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 다. 이에 반해 EU는 자국의 지리적 표시의 보호를 위해 국제조약 및 FTA를 통해서 보호를 확대해 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해 다른 여러 나라 도 EU의 지리적 표시의 보호를 강화하는 FTA협상이 발효되었다. 이에 앞으로도 EU는 지속적으로 지리적 표시를 추가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응해 국내 법제도 정비가 필요해 보인다. Geographic Indications are one of the most strongly protected intellectual property (IP) of the EU, which is represented by the Old Continent. Accordingly, the EU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GI in signing international treaties as well as many Free Trade Agreements. Therefore, the EU demanded strong protection of GI not only Korea but also Central America, Japan, and Mexico, which have recently signed FTA with the EU. Along with the strong protec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Korea has come up with an institutional system that can add list of GI after the Korea-EU FTA entered into force. However, GI protected by the list through the FTA are stipulated to provide a high level of protection through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s well as the Trademark Ac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GI will be protected by unifying the regulations under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rather than protected under the curren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addition, in the procedure for appealing to GI,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hould have an enforcement decree or an enforcement rule that can specify the provisions of a legal level rather than a preliminary rul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user of the preceding trademark or a person who wants to use the trademark or GI will be able to avoid the disadvantage of protecting the GI under the FTA. It is true that Korea lacks GI that require protection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GI. On the other hand, the EU is expanding its protection through international treaties and FTAs ​​to further protect its GI. The EU is expected to demand the addition of GI, and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domestic legal system in response.

      • KCI등재

        한류편승 외국계 기업 영업행위의 법적문제에 관한 소고

        이헌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19 産業財産權 Vol.- No.59

        MUMUSO is a Chinese company but operates as if it were a Korean company using Korean products, Korean image, and Korean credibi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 distributed product in the business is not from Korea, MUMUSO makes it look like Korean companies and Korean products through actions such as selling goods and using signboards in Korean. And MUMUSO established Mugunghwa Life in Korea and applied for the trademark that reminds the consumer that it is a Korean company such as including kr in the name of the company. By doing so, MUMUSO is making it look like a South Korean-based company. MUMUSO hired a Korean designer and makes the product look like it was designed in Korea. However, MUMUSO sells products using the same design or character as those sold in Korea, and products that are not even sold in Korea are sold as if they were made in Korea. MUMUSO is even expanding its business and products to Thailand, Vietnam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China. Therefore, damage is likely to occur in the Korean companies. In this paper, domestic laws that could be applied if a company like MUMUSO operates in Korea were examined such as the Trademark Act, the Anti-competition Act, the Consumer Protection Act, the Advertising Act, etc. Further, the remedies through the WTO/TRIPs regulations as well as domestic laws and FTA agreements with countries were reviewed. MUMUSO는 중국기업이지만 한국의 제품, 한국의 이미지, 한국의신뢰도를 등을 이용해 한국의 기업인 것처럼 영업을 하고 있다. 영업을 함에 있어 유통하는 제품이 한국 제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왔어요.’ 라고 한다거나 한복을 입은 점원이 물건을 판매한다거나, 한국어로 된 간판을 사용하는 등의 행동을 통해 한국기업, 한국제품인 것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MUMUSO는 이러한 영업형태의 차용뿐만 아니라 MUMUSO라는 지식재산 분야에 있어서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즉, MUMUSO는 서울에 무궁화라이프(주)를 설립하고해당 업체 명의로 기업명칭에 kr을 포함하여 한국기업임을 연상케하는 상표권을 출원하는 등 MUMUSO를 한국에 기반을 둔 기업인것처럼 보이게 하고 있으며, 한국인 디자이너를 영입해 MUMUSO에서 유통 중인 제품을 한국에서 디자인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판매하는 제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 혹은캐릭터를 이용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판매하지도 않는 제품이 마치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인 것처럼 판매하는 등 우리나라와 관련이 없는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심지어 이러한 제품이 중국뿐만 아니라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지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우리나라 혹은 우리기업의 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MUMUSO와 같은 한류편승 기업이 우리나라로 진출하는 경우 어떠한 국내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대해서 살펴보았다. 즉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소비자보호법 내지 는 표시광고법 등에 대해서 검토를 하였으며, 국내법뿐만 아니라WTO/TRIPs 규정 및 각국과의 FTA협정문을 통한 구제방안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FTA에서 지리적 표시보호에 관한 고찰

        이헌희 ( Lee Heonhui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1

        지리적 표시는 전통적으로 구대륙에 속하는 유럽이나 포도주 및 증류주의 생산이 많은 나라에서 강력한 보호를 요구해온 이슈이다. 때문에 TRIPs에서도 지리적 표시를 보호하는 제22조 규정 이외에도 23조 규정을 두어 높은 수준의 보호를 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표시의 다자 내지 양자 FTA를 통한 보호방법은 상표법 내지는 독자적인 법률로 보호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및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을 통해서 다각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FTA에서 지리적 표시 보호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지리적 표시를 리스트 교환방식으로 보호를 하는 경우 해당 리스트에 대해 높은 수준으로 보호를 해야하는 문제, 우리나라 상표법상 등록이 불가능한 지리적 표시의 보호, 신구대륙간 지리적 명칭의 충돌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향후 FTA협상에서 지리적 표시의 보호에 관해 협상하는 경우 일정한 보호 예외사유를 두어 보호의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호의 수준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특히 신경을 써야하는 것이 상대국과의 교역에 있어서 우리나라 지리적표시제품의 수출입 등 실리를 따진 후 어떠한 지리적 표시가 보호되어야하고 보호되지 말아야 하는지를 판단해야할 것이다. Strong protec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GI) is an issue that has been traditionally demanded by Europe and many countries, where wine and spirits are produced. Hence, in addition to Article 22 that stipulates the protection of GI, TRIPs also provided a higher level of protection under Article 23. Regulations of GI protection are provided by trademark law and/or sui generis law, which are enacted through multilateral or bilateral FTA. Consequently, GI is protected under various regulations including trademark law,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quality management law, etc. in Korea. Of particular concerns with the protection of GI in FTAs are that the problems occurring when the GI protected by means of a list exchange method should be protected at a high level, when a GI that cannot be registered under the Korean trademark law, when there are collision of GI names between old and new continents, etc. In order to solve these concern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of protection by making exceptions for protection of GI in future FTA negotiations, and the such level should be decided by considering the volume of trade with FTA negotiating country.

      • 한중일FTA에 있어서 디자인제도 통일화를 위한 일고찰

        이헌희(Lee, Heonhui) 세창출판사 2013 창작과 권리 Vol.- No.70

        If the Korea-China-Japan Free Trade Agreement comes to a settlement and a ratification, a cooperation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will strengthen and a certain field's cooperation such as a intellectual property will build up caused by this FTA. In other words, 3 countries will maintain and reinforce through various channels, e.g. a cooperation on examinations, a system unification, a representation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according to this, the fields of the patent, trademark, copyright will significantly standardize. Nevertheless, design areas will be barriers to this unification because 3 nations have the divergent system from the design protection of legal system, the protection object, to the examination system(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non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 and so on. The unification of the design protection system is the urgent issue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From among these, the right will be registered through the non-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 exercised this right and the legal dispute related to design will be increased and our enterprises are hit by this dispute directly. The problems are on the rise as the a settlement, ratification of FTA. So this issue needs to get solved.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design field have examined closely among 3 countries.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design protection system as carrying forward FTA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 KCI등재

        BitTorrent의 저작권법상 책임에 관한 고찰* 49) -OSP 책임을 중심으로-

        이헌희(Lee, Heonhui),김미옥(Kim, Miok) 한국정보법학회 2012 정보법학 Vol.16 No.3

        AThis paper investigates what is the definition of the BitTorrent, how to serves by certain compositions and determines the liability of several users in the copyright law. In other words, BitTorrent is both the protocol and the program which was made to observe this protocol at the same time. Although this program is also based on the P2P technology, it is distinct from the existing P2P technology that shares the copyrighted works directly and permits to share files contained the information of the copyrighted works under the name of ‘.torrent’. For this reason, the particular space must create to share .torrent files through the separate program and the webpage where doesn’t search the copyrighted works directly. This feature makes to break the premises that program providers earn a profit by the relevant program. Namely, it has structured this mechanism that program providers don’t make a profit based on the copyrighted works of others but system operators to administrate the website sharing the .torrent files through the specific program of BitTorrent client earn a profit.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sharing the .torrent makes to raise complicated issues whether to obtain the scope of the copyright infringement or not and the liability issues of the seeder to create the first file and the available person to download and then to upload newly. In addition, the change of sharing file structures by the BitTorrent restructures from the trilateral composition related to the liability of the direct infringers, the OSP and the copyright owners to the quadriliteral composition related to the liability of the direct infringers, the providers of BitTorrent client, website administrators and the copyright owners and it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our copyright law regulates that the OSP to obtain commercial benefits by the P2P defines to the particular type of the OSP. So the treatment of BitTorrent deals with the existing OSP based on the P2P differently because it exists to the particular type to provide the specific program without the commercial benefit. As far as here to take the circumstances into this structural feature, the legal nature of the .torrent files is similar to the link’s and this paper examines the liability related the provided program and the OSP’s liability by operating a website. BitTorrent는 하나의 규약임과 동시에 이러한 규약을 지키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다. 그런데 BitTorrent는 기존의 P2P프로그램과는 달리 저작물을 직접 공유하지 않고 .torrent라는 저작물의 정보를 담은 파일만을 공유하도록 하고 있어 차이점이 존재한 다. 때문에 직접 저작물을 검색하지 않고 프로그램과 별도의 웹페이지를 통해서 .torrent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상업적 이익을 얻는 자들이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BitTorrent구조에 따른 기존 OSP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각각의 행위들을 기초로 어떠한 책임을 지게 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