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20-30년대 연해주 한인 민족교육의 특징과 성격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7 교육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공시성이란 관점에서 1920-30년대 연해주 한인민족교육의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당시 소비에트 정권이 추구하였던 일반적 교육개혁 목적은 교육에서 보편주의의 확립, 교육의 민주화, 종합기술교육으로 전환, 공산주의적 인간형의 완성이었다. 연해주 한인의 교육은 한편 당시 소련 사회의 보편적 교육에 근거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 민족의 독자성을 추구하여 무상, 의무, 보통교육, 반종교 교육, 문맹퇴치 교육, 종합기술교육, 프롤레타리아트 국제주의적 민족주의 교육 등의 민족교육의 특징과 성격이 발현되었다고 규정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national education in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at 1920s-1930s in the view of synchronism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t that time general objectives which the government of Soviet Union had pursued were establishment of universalism in education,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transformation to polytechnical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ommunist charac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national education in Maritime Provinces of Russian at 1920s-1930s were resulted from universalities of Soviet Union’s education and the particularities of the Russian-Koreans’ society and history. It may be concluded as followings: 1) free, compulsory, common education, 2) education of anti-religion, 3) education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4) the national education based on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 연해주 고려인에게 있어서 한국어의 의미와 교육

        이종원 ( Yi Jongwon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6 교육학논총 Vol.37 No.2

        본 연구는 연해주 고려인들이 러시아로의 이주와 정착,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연해주로 재이주 과정에서 강제된 러시아화와 자발적 러시아화 사이에서 민족어와 민족 교육에 대해 경험했던 것이 어떻게 현재의 민족어관에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러시아 당국의 혹독한 러시아화 요구에 대응하여 고려인들은 그 속에서 생존하기 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러시아화를 하였다. 그 결과 고려인들은 빠르고도 거의 완벽하게 민족어를 상실하게 되었다. 연해주 고려인들의 60%가 러시아어를 제1언어로, 32%정도가 고려말을 제1언어로 수용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학력, 성별, 조부모의 영향과는 무관하게 나타나나, 나이가 많을수록 고려말을, 적을수록 러시아어를 제1언어로 보고 있다. 75% 정도가 러시아어를, 11% 정도가 고려말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언어로 보고 있다. 여기에서도 나이가 많을수록 고려어를, 적을수록 러시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 80%가 러시아어를, 약 16%가 고려말을 가정에서 사용되는 말로 보고 있다. 이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연해주 고려인에게 고려말은 이미 제1언어의 지위를 러시아어에 양도했으며,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조차도 러시아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려말은 상속어의 지위마저도 확보하기 힘든 상태가 되었다. 연해주 고려인에게는 한국어는 근래에 새로 접하게 된 외국어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연해주 고려인에게 거의 민족어가 상실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민족어를 전승하고자 하는 의지는 매우 높게 나타난다. 자녀에게 가르치고 싶은 언어는 고려말이 아니라 한국어이며, 연령이 적을수록 한국어를 상속어로 보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s between forced and spontaneous russianization of immigrant Korean were realized in present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of Korean Russian in Maritime Territory, Russia. Russian government had required severe russianization to Koreans in Maritime Territory. In response to government`s force, Koreans in Maritime Territory accepted russianization spontaneously to survive in Russia. As result, the Koreans had lost national language as quickly and perfectively. The 60% of the Koreans accepts Russian as first language and 32% accepts Koryomar(고려말). The older Koreans tend to accept Koryomar as first language, the younger Koreans tend to accept Russian as first language. 75% has a good command of Russian, 11% has a good command of Koryomar. Also the older Korean Russians tend to has a good command of Koryomar, the younger Korean Russians tend to has a good command of Russian. The about 80% of Korean Russians uses Russian as home language and about 16% uses Russian as home language. Koryomar was lost the status as first language and was hard to keep status of heritage language because home language already was Russian. To Korean Russian, the Korean language is as same as a foreign language because they cannot have chances to use Korean language which was learned. But Korean Russian had great enthusiasm to transmit not Koryomar but Korean to next generation.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탈근대적 예술 지식의 의미와 역할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탈근대적 예술 지식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들과 교육 정책상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술적 지식보다는 수학과 언어, 과학과 같은 지식이 교육 내용에서 중심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것은 근대적 지식관에 기인한 바가 크다. 본 연구는 근대적 지식관이 현 상황에서 가지는 한계성을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예술적 지식의 특성을 탈근대적인 시각에서 재규정하였다. 이러한 예술적 지식은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존재론적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획일적 세계관을 극복한다는 점, 지식 통합을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술은 인간다운 삶의 질적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는 인식 전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주지교과 중심의 사고와 교육과정 운영 관행을 벗어나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예술교육의 교육 과정 내 균형을 찾고, 예술의 특성을 수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out the meaning and role of post-modern artistic knowledge in curriculum integration through formative of art. Until now, it has been considered that rational knowledge to be more important than artistic knowledge despite of research and education policy for cultivation of artistic education. In modern society, it has been understood that subjects of arts are not intellectual but emotional, and the emotion is inferior to intellect. This viewpoint is the result of modern thinking. According to post-modernistic thinking, art is a way of thinking as same as science. The meaning and role of post-modern artistic knowledge in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give insight into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life. artistic knowledge is ill-structured, using metaphors, and unified thinking.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represent life because its structure greatly resembles the properties of life. Second,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reject conformity and to value diversity. Using artistic metaphors leads to richness of intelligence. Finally, it provide a methodology to curriculum integration. Art is organizing center to combine emotion and intelligence, subject and object, process and result, individual and world. Art classes offer problematic situation of open question. When a man creates a work, he integrates knowledge, information, emotion and sense in a work. To construct one`s own meaning is a point of curriculum integration. Artistic knowledge is important not to assist absorption of another knowledge, but to be intrinsic worth. This study offer suggestion that is necessary to change recognition about the value of artistic knowledge.

      •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 있어서 종합기술교육의 의미와 한계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9 교육학논총 Vol.40 No.1

        10월 혁명 후 볼셰비키 정권은 학생들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 개혁을 하고자 하였다. 그 개혁의 방향은 통합노동학교와 종합기술교육이었다. 통합학교는 차별적 복선제 학교 체제를 단선제 학교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며, 노동학교는 학생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도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종합기술교육은 통합노동학교가 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서 종합기술교육이 나타난 특성과 한계성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접합, 학교 급에 따른 상이한 교육 내용, 통합교육과정, 국가 주도적 보급과 저항이다. After October Revolution, the Bolshevik attempted to revise educational system of Russia Soviet Federal Socialist Republic to recover workers as subject of labor. That ways of revolution are unified labor school and polytechnical education. Unified school means the transition of dual system to ladder system and labor school means to educate the students to be the subject of labor. That is institutional change of schools. Polytechnical education means the chang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to realize aims of unified labor school. The meanings and limits of polytechnical education may summarized as followings: conjunc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variance of contents of 1<sup>st</sup> and 2<sup>nd</sup> schools, integr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resistance of polytechnical education.

      • 한국 사회의 대안적 다문화사회 탐색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한국 사회의 체류 외국인의 수가 급격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OECD 국가 중 출산율 최저, 생산 연령 인구의 급속한 감소 때문에 이주노동자는 급격히 늘어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문제는 심각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된 것이다. 이 논의는 단일민족주의에 대한 회의와 자기반성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단인 민족 개념이 여전히 작동하여 외국인, 특히 저개발국 출신의 이주민에게 대해 더욱 차별적 태도를 유지하게 하였다.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나가는데 결정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단일민족 개념이며, 이것은 독특한 한국의 역사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이 상대적 배타성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우리보다 먼저 다문화를 경험한 나라의 프로그램을 참고로 우리 사회에 가장 적합한 다문화사회의 경험들은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데 한계성이 존재하며, 이 한계성을 넘어 우리 사회의 독특한 역사 사회적 맥락에 적합한 대안적 모형- 민족의 호혜 평등성에 근거한 모형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rapidly. In addition,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will increase rapidly in Korea due to the lowest ferti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and the rapid decline in the production age population. For this reason, multicultural issues have becom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is discussion can be seen as a result of skepticism and self-reflection on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This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concept still have operated, leading to a more discriminatory attitude towards foreigners, especially immigrant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It is the concept of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that acts as a decisive obstacle for our society to mov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is has occurred in a unique Korea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and this is operating in relative exclusivity. With reference to the programs of countries,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beyond this limitation, an alternative model suitable for the uniqu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our society, a model based on the equality of the reciprocity of the nation should be pursued.

      • 1920년-193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의 문맹 퇴치 운동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기대와는 달리 10월 혁명 후에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민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였기 때문에 볼셰비키 정권은 소수민족들의 문화적 발전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소수민족의 문화적 발전의 핵심은 현지화 정책이었고, 소수민족의 문맹 퇴치가 그 정책의 열쇠였다. 소비에트 정권은 문맹퇴치 법안을 만들고 문맹 퇴치 교육을 강력하게 실시하였다. 연해주 한인들은 현지화를 고려화로 칭하고, 다양한 문맹 퇴치 사업을 전개하였다. 연해주 한인들의 문맹 퇴치 사업은 국어를 정리하는 어문 정책과 실제 교육 실천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맹 퇴치기반 사업으로서의 어문 정책에는 한문 폐지, 국문의 라틴문자화, 국어 문법 통일에 대한 노력들이 있었고, 문맹 퇴치 교육 실천으로는 문맹 퇴치소 강령(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 및 보급 등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들에 의해 1930년대 중반에 연해주 한인들의 문맹 퇴치는 성공하였으나, 사회주의 혁명 개념이 일국 사회주의 관점으로 변화됨에 따라 민족어에 의한 문맹 퇴치 사업을 급격히 소멸되었고, 1937년 강제 이주 이후 거의 절멸되었다. On the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ethnic problem would be solved after he socialist revolution, it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solved urgently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So the Bolshevik, led by Lenin, sought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cultural improvement of the Soviet minority ethnic groups. The key to enabling the cultural improvement of ethnic minorities and their voluntary political participation was the localization policy of ethnic minorities(korenizatsiya: коренизация), and the core of this policy was to eradicate illiteracy among ethnic minorities. Accordingly, the Soviet regime created a bill to eradicate minority literacy and conducted a variety of education on literacy. In response to this policy, Koreans in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also referred to korenizatsiya as Goryeohwa and launched various literacy projects. It can be seen that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literacy project of Koreans in the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by dividing it into a language policy on the Korean language as basis of literacy education and an actual educational policies. The literacy policy implemented included efforts to abolish Chinese characters, Romanization of Korean letter, and oneness of Korean grammar terminology. And literacy education policies includ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literacy center program (curriculum) and textbooks. These efforts succeeded in eradicating illiteracy among Koreans in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in the mid-1930s. The literacy eradication project in pursuit of the cultural improvement of ethnic minorities was based on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based on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in the beginning of the Soviet regime. As the concept of socialist revolution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m in one country’, literacy project based on the national language was rapidly extinguished, and after Deportation of Koreans in the Soviet Union in 1937, it was almost extinct.

      • 192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 여성 교육 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 2021 교육학논총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연해주 한인 여성 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러시아 혁명 후 소비에트 여성의 지위와 역할 변화, 연해주 지역 한인 여성의 해방 운동, 여성해방을 위한 연해주 지역 한인 여성의 교육을 살펴보았다. 러시아 혁명 초기 볼셰비키들은 여성이 해방되면 가정은 서서히 해체되고 종국에는 심리적 연대만 남을 것이고, 부부가 동지애에 의거한 자유로운 연합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해방된 신여성을 위한 여성 정책은 여성 노동자와 여성 농민들이 신여성으로의 질적 변환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연해주 한인 여성들의 해방 운동은 우선 연해주 소비에트 사업에 참여하여 소비에트 사업을 완성하여야 하며, 연해주 소비에트 대표회의 결정이 여성 해방의 안내자 역할을 하였다. 연해주 한인 여성의 해방 운동은 여성의 인권 인정과 확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여성의 사회 참여의 확대, 이를 위한 여성의 인권에 대한 인식 계몽, 모성보호를 위한 제도와 시설의 설립, 여성의 능력과 인격 발달을 위한 교육·훈련 제도의 창출과 같은 실천이 실행되었다. 이러한 여성 해방 실천은 대체로 정치 의식 교육, 문맹 퇴치 교육, 학교 교육의 형태로 여성 해방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education of Korean-Russian women in Primorsky Krai in the 1920s. For this purpose, three issues were examined: the change of status and role of Soviet women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in Primorsky Krai, and education of Korean women in Primorsky Krai for women's liberation. When women are liberated, the family will be gradually dismantled, and in the end, only psychological solidarity will remain in the family. The Women's Policy for liberated New Women made an effort to emphasize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female workers and female peasants into New Women. For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in Primorsky Krai, they might first participate in the Primorsky Soviet project and complete the Soviet project. The movements for the liberation of Korean women in Primorsky Krai were movement to recognize and expand women's human rights, to expand women's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 for soviet construction, to raise awareness of women's human rights for this purpose, to establish systems and facilities to protect maternity, and to establish women's abilities and character. Practices such as the cre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for development were implemented. In general, women's education for the liberation of Korean women in Primorsky Krai can be divided into political consciousness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 속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의 성과를 살펴보고,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에 여전히 잔재해 있는 분과주의적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탐색으로 교과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통합교과 통합을 위한 원리와 지향점을 규정하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015개정에서도 주제별 교과서는 바·슬·즐 세 교과의 합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직 진정한 탈학문적통합이라 이르기 어렵다. 교과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에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이란 세 통합교과는 필요에 의해 그 구분을 벗고 단일화가 가능하다. 세 교과가 하나로 통합된 새로운 통합교과는 분과적 지식이 추구하는 `앎`의 습득이 아니라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존재론적 교육이어야 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단계의 특성과 배움의 방식에만 맞는 것이 아니다. 1,2학년의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는 외국의 활동학습(Classroom activity)의 형태처럼 모든 학년에 적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향후 `통합 교과`의 궁극적 목적은 전 교과를 풀어헤쳐 통합할 것은 통합하고 분과로 가르칠 것은 분과로 가르치는 서로 상보적인 이중적 구조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슬·즐이라는 교과명이 남아있는 한 통합교과는 저학년만의 교과라는 인식을 넘어서기 힘들다. 따라서 세 교과를 통합하는 일은 통합교과로서 그 성격을 명료히 하는 일이며, 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integrated subjects in light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s, and verified the tendency of departmentalism that persists within integrated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day. To overcome this tendency, the meaning of “subject” was theoretically explored, and the principles of and purposes for unifying the integrated subjects sought. The results revealed that following the 2015 reform, the textbooks comprised three integrated subjects―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creating difficulty in referring to them as integrated beyond the subject matter. Since subjects are not fixed according to universality of truth or social consultation, it is possible to overlook their distinctiveness and integrate the three subjects as needed. A new integrated subject that combines these three subjects should form existential education, aimed at the practice of “living” and not the simple attainment of “knowledge” as pursued by departmentalism.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ntegrated subjects not only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learning styl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but, based on the same them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all grades, which resembles the classroom activities in other countries. The ultimate goal is that “integrated subjects” accomplish a complementary dual structure alongside departmentalism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dismantling the entire curriculum and integrating and departmentalizing subjects as each require. However, as long as titles such as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are retained, it will be difficult to overcome the idea that integrated subjects are for the lower grades only. Therefore, combining these three subjects will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ubjects and extend the educational target and scope.

      • 1920-3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 교사 교육의 성격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8 교육학논총 Vol.39 No.2

        해방 후 지금까지 남북한 사이의 정치적 대립 때문에 남북한의 연구자들은 독립운동사 연구에 불가결한 러시아 연해주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외면했다. 남한에서는 최근 들어 이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한반도 중심적 관점에서 연구되는 경향이 있다. 학교 교육은 지배적 집단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규정된다는 관점에서 연해주 한인학교 민족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면 다음과 같다. 이주 초기부터 1920년 전까지 연해주의 민족교육은 러시아화에 대한 저항, 애국계몽 운동, 민족자치, 일제의 식민동화교육으로 규정할 수 있다. 1920-30년대는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한인학교에 민족교육이 실시되었고, 고려 교육전문학교의 교육도 동일한 관점에서 실시되었다. 그 교육내용은 한인 학생들이 소비에트 공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게 교육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ny studies of Primorskiy region of Russia as a base of Korean Independence War were ignored because of political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recent time, the amount of the studies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but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viewpoint of Korean peninsula in disregard of Russian-Koreans’ own identity. The nature of schooling i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t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society. The nature of Korean education of Primorskiy region of Russia from the period of immigration to Russia to deportation of Koreans in the Soviet Union may be characterized as ‘the Resistance to Russianizatio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utonomism’, and ‘Colonial assimilationism of Japanese Imperialism’. Korean primary schools and Korean pedagogical technical college of Primorskiy region of Russia and in 1920s-1930s had educated their students by the point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S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pedagogical technical college had been constructed to prepare the teachers who could educate the students as citizen of Soviet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