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봉서원과 마애각석

        이순령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19 No.-

        Dobongseowon (5宣화書봄,書K: a Confucian academy and shrine) was builtin Mountain Dobongsan in 1573 to remember Jo Gwang-jo 1482 〜 1519). Jo Gwang-jo, activ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mainConfucian school and its branches, thus making him very important for Confucianschools. And, as conflicts were sharpened between Confiician scholar powers overtime, Jo Gwang-jo gradually gained legitimate practical authority. In addition, such typical incident is the argument over Song Si-yeol (_寺界!,1607 — 1689) joining Dobongseowon. In particular, Song Si-yeol attached importanceto Dobongseowon which was dedicated to the remembrance of Jo Gwang-jo, andwhile Song Si-yeol lived, he visited the shrine and positively expressed his identity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such pursuit was left through his calligraphiesrock-carved in Dobong Valley. Left in Dobong Valley centered in Dobongseowon were not only Song Si-yeol’srock-carved calligraphy, but also rock-carved writings that important figures in themid and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borrowed from scriptures. Such figures, asconfirmed by their writings, include Song Jun-gil (처受舍、 1606 〜 1672), KimSu-jeung (술管, 1624 〜 1701), Gwon Sang-ha (■!현夏:, 1641 〜 1721), and Yi Jae(추I幸,1680〜 1746), and they are all related to Song Si-yeol’s school, and to politicalfactions such as Seoin (S人) and Noron (병I命).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during which these figures were active was the time when the collapsed socialorder was being reconstructed and when the impoverished cultural capabilities werebeing restored. It was also a time when political and cultural tension and easingalternately occurred from the strained relations with the Qing such as Song Si-yeol’scause of respecting the Ming dynasty and his insistence on conquering the Qing Dobongseowon (5宣화書봄,書K: a Confucian academy and shrine) was builtin Mountain Dobongsan in 1573 to remember Jo Gwang-jo 1482 〜 1519). Jo Gwang-jo, activ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mainConfucian school and its branches, thus making him very important for Confucianschools. And, as conflicts were sharpened between Confiician scholar powers overtime, Jo Gwang-jo gradually gained legitimate practical authority. In addition, such typical incident is the argument over Song Si-yeol (_寺界!,1607 — 1689) joining Dobongseowon. In particular, Song Si-yeol attached importanceto Dobongseowon which was dedicated to the remembrance of Jo Gwang-jo, andwhile Song Si-yeol lived, he visited the shrine and positively expressed his identity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such pursuit was left through his calligraphiesrock-carved in Dobong Valley. Left in Dobong Valley centered in Dobongseowon were not only Song Si-yeol’srock-carved calligraphy, but also rock-carved writings that important figures in themid and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borrowed from scriptures. Such figures, asconfirmed by their writings, include Song Jun-gil (처受舍、 1606 〜 1672), KimSu-jeung (술管, 1624 〜 1701), Gwon Sang-ha (■!현夏:, 1641 〜 1721), and Yi Jae(추I幸,1680〜 1746), and they are all related to Song Si-yeol’s school, and to politicalfactions such as Seoin (S人) and Noron (병I命).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during which these figures were active was the time when the collapsed socialorder was being reconstructed and when the impoverished cultural capabilities werebeing restored. It was also a time when political and cultural tension and easingalternately occurred from the strained relations with the Qing such as Song Si-yeol’scause of respecting the Ming dynasty and his insistence on conquering the Qing 도봉서원은 起光祖(1482〜 1519)를 配李한 서원으로 1573년 도봉산에 건립되어사액되었다. 조광조는 조선 중기 이후 조선 사회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士林의 본원과 지향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士林에게 그의 존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조광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화되는 사림 세력들 간에 첨예한 대립이 발생하게 되면서, 점차로 정통성을 상징하는 실질적인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을 잘 보여준 사건이 송시열의 도봉서원 入李과 관련하여 벌어 진 논쟁이 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송시 열은 조광조가 배향된 도봉서원에 많은 의미를 부여했으며,생존 시에는 도봉서원을 방문하여 주자학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명하였다. 그리고 그 흔적이 도봉계곡의 마애각석을 통해 남겨져 있다. 이렇게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한 도봉계곡 일대에는 송시열이 제작한 마애각석 외에도 조선 중 • 후기의 주요한 인물들이 經典의 구문을 빌어 자신의 지향을 남기고았는데, 여러 기록을 통해 書者로 확인되는 이들은 朱俊吉(1606~1672),金壽增(1624〜1701),權尙夏(1641 〜1721),李雜(1680〜L746) 등이다. 이들은 혈연,학통으로 송시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西人에서 老論으로 이어지는 붕당의 분화 속에서 서로직 • 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이들이 활동했던 雨亂이후 조선후기에 이르는 기간은 붕괴된 사회 질서의 재건과피폐한 문화적 역량을 회복해 나갔던 시기이며, 한편으로는 송시열의 尊周大義와 북벌론 등의 경색된 對淸 관계로부터 北學와 등장에 이르기까지 정치적,문화적인 긴장과 이완이 빈번히 교차했던 시기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이 도봉계곡의마애각석에도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봉서원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마애각석들의 성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書體는 諫書,指書,行書,草書 등으로 다양하지만, 내용과 주제는 朱慕를 중심으로 하는성리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풍 상으로는 조선 중기 書壇에 강력 한 영향력을 미쳤던 한석봉 서풍에 대한 수용과 극복이 라는 조선 후기 서단의 여러 흐름 가운데에, 석봉 서풍을 수용 발전시키고 ‘表現’보다는 ‘表明’에 보다 초점을 두었던. 경 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한석봉와 영향력을 극복하고 왕화지 서풍으로의 회귀를 추구하였던 少論과 南人을 중심으로 성립된 東國眞體의 거침없고 자유로운 예술적인 미감을 추구하는 지향과는 相異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산재되어 았는 마애각석들은 시대적 상황과 그 시대를 주도해 나갔던 사대부의 지향 및 미감의 일면을 파악하고, 조선 서단의 다양한흐름을 학통과 붕당이라는 틀 안에서 시간적,공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단초를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안진경(顔眞卿) 서(書)에 대한 인식(認識)의 추이(推移)와 의의(意義)

        이순령 ( Soon Ryeoung Yi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唐代의 인물인 顔眞卿은 서예사상에서 王羲之에 버금가는 높은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서에 대한 평가는 왕희지의 서에 대한 평가와는 다른 義와 忠과 같은 도덕적 가치 기준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치 기준에 근거하여 안진경의 위상을 현재와 같은 지점에 확립시킨 이들은 歐陽脩, 蘇軾, 黃庭堅 그리고 米비과 같은 北宋시기의 등장한 신진 士大夫들이다. 그러나 그 동안의 연구에서는 이들의 평가에 대해서만 초점이 맞추어져, 이들 북송 사대부들이 그러한 관점에서 안진경을 평가하게 된 배경과 요인에 대해서는 논의가 미진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顔魯公集』, 『顔魯公文集』 중에 書藝와 관련하여 안진경의 자술적 성격을 가진 기록들을 살펴보고, 안진경이 서예가로서 자신과 자신의 書作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그 一端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왕희지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가치 평가가 견지되는 唐代에서 五代로 이어지는 안진경 평가의 흐름과 도덕적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북송 사대부들의 관점이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 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더불어 이들 소식, 황정견, 미불 등, 이 시기 書壇에 주요한 인물들 간에 안진경 인식을 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동안 다소 일원화되어있었던 안진경의 서에 대한 논의를 보다 입체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Yan Zhenqing(顔眞卿) was a leading Chinese calligrapher in the Tang Dynasty comparable to Wang Xizhi(王羲之) in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But the evaluation of Yan Zhenqing was largely based on his et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 right conduct or loyalty. Those who put him on current reputed position based on these values were the advanced scholars who newly appeared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such as Ouyang Xiu(歐陽脩), Su Shi(蘇軾), Huang Tingjian(黃庭堅) and Mi Fu(米비).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focus has been done on the evaluations of Yan Zhenqing made by these scholars. However, up to now, the study was not made enough on why Yan Zhenqing was evaluated by newly grown scholars in Northern Song Dynasty from that perspectives only. So, in this paper, it tried to find out the self described characteristics of Yan Zhenqing focusing on calligraphy described in his books of "Yanlugongji『顔魯公集』" and "Yanlugongwenji『顔魯公文集』" and how he recognized himself and his calligraphy. By observing the trend on the recognition of Yan Zhenqing in the period when Wang Xizhi was the leader in the value evaluation ranging from Tang Dynasty to Wudai Period(五代), I tried to find out how the perspective of scholars in Northern Song Dynasty changed in detail. In addition, I researched on the recognition of Yan Zhenqing by Su Shi, Huang Tingjian and Mi Fu in detail and expanded the discussion on the calligraphy of Yan Zhenqing to higher level.

      • KCI등재

        <기획논문> 도봉서원과 마애각석

        이순령 ( Yi Soon-ryeo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19 No.-

        도봉서원은 趙光祖(1482~1519)를 配享한 서원으로 1573년 도봉산에 건립되어 사액되었다. 조광조는 조선 중기 이후 조선 사회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士林의 본원과 지향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士林에게 그의 존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조광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화되는 사림 세력들 간에 첨예한 대립이 발생하게 되면서, 점차로 정통성을 상징하는 실질적인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을 잘 보여준 사건이 송시열의 도봉서원 入享과 관련하여 벌어진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송시열은 조광조가 배향된 도봉서원에 많은 의미를 부여했으며, 생존 시에는 도봉서원을 방문하여 주자학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명하였다. 그리고 그 흔적이 도봉계곡의 마애각석을 통해 남겨져 있다. 이렇게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한 도봉계곡 일대에는 송시열이 제작한 마애각석 외에도 조선 중 · 후기의 주요한 인물들이 經典의 구문을 빌어 자신의 지향을 남기고 있는데, 여러 기록을 통해 書者로 확인되는 이들은 宋浚吉(1606~1672), 金壽增(1624~1701), 權尙夏(1641~1721), 李縡(1680~1746) 등이다. 이들은 혈연, 학통으로 송시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西人에서 老論으로 이어지는 붕당의 분화 속에서 서로 직 · 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이들이 활동했던 兩亂이후 조선후기에 이르는 기간은 붕괴된 사회 질서의 재건과 피폐한 문화적 역량을 회복해 나갔던 시기이며, 한편으로는 송시열의 尊周大義와 북벌론 등의 경색된 對淸 관계로부터 北學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문화적인 긴장과 이완이 빈번히 교차했던 시기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이 도봉계곡의 마애각석에도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봉서원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마애각석들의 성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書體는 隸書, 楷書, 行書, 草書 등으로 다양하지만, 내용과 주제는 朱熹를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풍 상으로는 조선 중기 書壇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쳤던 한석봉 서풍에 대한 수용과 극복이라는 조선 후기 서단의 여러 흐름 가운데에,석봉 서풍을 수용 발전시키고 ‘表現’보다는 ‘表明’에 보다 초점을 두었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한석봉와 영향력을 극복하고 왕화지 서풍으로의 회귀를 추구하였던 少論과 南人을 중심으로 성립된 東國眞體의 거침없고 자유로운 예술적인 미감을 추구하는 지향과는 相異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산재되어 있는 마애각석들은 시대적 상황과 그 시대를 주도해 나갔던 사대부의 지향 및 미감의 일면을 파악하고, 조선 서단의 다양한 흐름을 학통과 붕당이라는 틀 안에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obongseowon (道峯書院, 書院: a Confucian academy and shrine) was built in Mountain Dobongsan in 1573 to remember Jo Gwang-jo (趙光祖, 1482~1519). Jo Gwang-jo, activ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main Confucian school and its branches, thus making him very important for Confucian schools. And, as conflicts were sharpened between Confucian scholar powers over time, Jo Gwang-jo gradually gained legitimate practical authority. In addition, such typical incident is the argument over Song Si-yeol (宋時烈, 1607~1689) joining Dobongseowon. In particular, Song Si-yeol attached importance to Dobongseowon which was dedicated to the remembrance of Jo Gwang-jo, and while Song Si-yeol lived, he visited the shrine and positively expressed his identity 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such pursuit was left through his calligraphies rock-carved in Dobong Valley. Left in Dobong Valley centered in Dobongseowon were not only Song Si-yeol’s rock-carved calligraphy, but also rock-carved writings that important figures in the mid and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borrowed from scriptures. Such figures, as confirmed by their writings, include Song Jun-gil (宋浚吉, 1606~1672), Kim Su-jeung (金壽增, 1624~1701), Gwon Sang-ha (權尙夏, 1641~1721), and Yi Jae (李縡, 1680~1746), and they are ail related to Song Si-yeol’s school, and to political factions such as Seoin (西人)and Noron (老論).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during which these figures were active was the time when the collapsed social order was being reconstructed and when the impoverished cultural capabilities were being restored. It was also a time when political and cultural tension and easing alternately occurred from the strained relations with the Qing such as Song Si-yeol’s cause of respecting the Ming dynasty and his insistence on conquering the Qing dynasty to the appearance of Bukhak (北學, northern school). Such times’ changes were reflected in rock-carved calligraphies in Dobong Valley. Rock-carved calligraphies in the surroundings of Dobongseowon include various types of writings such as Yeoseo (隸書), Haeseo (楷書), Haengseo (行書), and Choseo (草書), but their contents and themes focus on Neo-Confucianism based on Zhu Xi (朱熹, 1130~1200). Also, amid second-half Joseon acceptance and overcoming of the powerfully influential mid-Joseon writing style of Han Seok-bong (韓石峯, 1543~1605) figures of political factions of Soron (少論)and Namin (南人), who tried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Han Seok-bong and to restore Wang Hui-ji’ (王羲之), s writing style, pursued Dongukjinche (東國眞體)which means the inclination to pursue liberal artistic aesthetics, while inclinations occurred to accept the writing style of Seok-bong, and to focus on delivery rather than on expression, centering on scholarly tradition and household teaching. Identified through rock-carved calligraphies in Dobongseowon were the pursuit by the nobility who led then times, and part of nobility’s aesthetic tastes. Such rock-carved calligraphies provid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Joseon’s varieties of calligraphy in the frame of schools and political factions.

      • KCI등재

        Flyback Inverter Using Voltage Sensorless MPPT for Photovoltaic AC Modules

        류동근,최봉연,이순령,김영호,원충연 전력전자학회 2014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14 No.6

        A flyback inverter using voltage sensorless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for photovoltaic (PV) AC modules ispresented. PV AC modules for a power rating from 150 W to 300 W are generally required for their small size and low pricebecause of the installation on the back side of PV modules. In the conventional MPPT technique for PV AC modules, sensors fordetecting PV voltage and PV current are required to calculate the PV output power. However, system size and cost increase whenthe voltage sensor and current sensor are used because of the addition of the auxiliary circuit for the sensors. The proposed methoduses only the current sensor to track the MPP point. Therefore, the proposed control method overcomes drawbacks of theconventional control method. Theoretical analysis, simulation, and experiment are performed to verify the proposed contro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