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 7세 아동의 시연조건에 따른 지연 비단어따라말하기 능력 비교

        이석정(SeokJung Lee),하지완(JiWan Ha),구민모(MinMo Koo),황유미(YuMi Hwang),편성범(SungBom P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외현적 시연, 내현적 시연, 시연 억제의 상이한 시연조건들이 아동의 음운단기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연조건에 따른 지연 비단어따라말하기 수행력을 분석하고 말지각, 단기기억, 어휘량과 그 수행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6, 7세 일반아동 20명씩을 대상으로 외현적 시연, 내현적 시연, 시연 억제 조건에서 지연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정확도와 오류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음변별검사, 숫자 바로따라하기 검사, 표현어휘량을 측정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와 따라말하기 정확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6세 집단은 외현적 시연, 내현적 시연, 시연 억제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나타낸 반면, 7세 집단은 외현적 시연과 내현적 시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두 조건과 시연 억제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6세 집단은 시연 억제에서 무반응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지만, 외현적과 내현적 시연에서는 음소대치 오류가 증가하였다. 7세 집단은 모든 시연조건에서 음소대치를 가장 많이 보였다. 말지각, 단기기억, 표현어휘량은 모든 시연조건의 수행력과 상관이 유의하게 높거나 있었다. 외현적 시연에서는 숫자 바로따라하기, 내현적 시연에서는 자음변별, 시연 억제에서는 자음변별과 표현어휘량이 예측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시연활동은 아동의 음운단기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외현적 시연과 내현적 시연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음운단기기억 향상을 위해서는 연령별 다른 시연전략을 적용하여야 한다. Objectives: Among memory strategies, the one most closely related to short-term mem¬ory is rehearsal strategy.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influences of rehearsal conditions on th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Forty children age 6 to 7 performed delayed non-word repetition (dNWR) tasks according to re¬hearsal conditions (vocal rehearsal, subvocal rehearsal, rehearsal suppression). The accu¬racy and error types of three dNWR tasks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speech perception, digit forward, expressive vocabulary, and dNWR performances by each rehearsal condition were examined. Results: The 6-year-old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s in the order of vocal rehearsal, subvocal rehearsal, and rehearsal suppression, while the 7-year-old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ocal rehearsal subvocal re¬hearsal, showing a significance only between those two conditions and rehearsal suppres¬sion. In the 6-year-old group, a ‘no response’ was the most abundant error type in rehearsal suppression, but ‘phoneme substitution’ increased in rehearsal conditions. In the 7-year-old age group ‘phoneme substitution’ appeared most frequently of all error conditions. The variables with the most predictive power were digit forward in vocal rehearsal, speech per¬ception in subvocal rehearsal, and speech perception and expressive vocabulary in rehearsal suppression, respectively. Conclusion: dNWR performances with rehearsals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ose without rehearsal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between vocal rehearsal and subvocal rehears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