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오류가능성과 개념의 수정가능성

        이병덕(Byeong-Deok Lee) 한국철학회 2009 哲學 Vol.0 No.99

        ‘물은 H₂O이다’라는 명제는 필연적으로 참인 명제이기 때문에, 물이 H₂O가 아닌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 물이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지는 상황도 충분히 상상가능하다. 그렇다면 ‘물은 H₂O가 아닌 것은 불가능하다’와 같은 필연성 주장과 ‘물이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수도 있다’와 같은 오류가능성 주장은 어떻게 양립될 수 있는가? 「필연성과 오류가능성」라는 논문에서 필자는 이 문제에 대한 크립키와 차머즈의 이론들을 비판하고, 추론주의 의미론이 이 문제에 대해 성공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선우환 교수는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은 어떻게 양립가능한가?」라는 논문에서 여러 가지 심각해 보이는 비판 들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 비판들은 실제로는 추론주의 의미론과 필자의 견해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이 논문에서 필지는 선우환 교수의 비판들이 필자의 견해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즉 크립키와 차머즈에 대한 필자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며, 또한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을 양립시키기 위한 필자 자신의 제안도 여전히 유효하다. 'Water is H₂O' is a necessary proposition, so that it is impossible that water isn't H₂O'. But it is conceivable that water turns out not to be H₂O. How can a necessity sentence 'it is impossible that water isn't H₂O' be compatible with a fallibility sentence 'water could tum out not to be H₂O'? In my previous article "Necessity and Fallibility" published in this journal (Autumn 2008), I criticized both Kripke's and Chalmers' views, and offered a new solution based on a version of Inferential Semantics. But Prof. Sunwoo raised various objections to my view in his article "Necessity and Fallibility: What Makes Them Compatible?" published also in this journal (Winter 2008). In this paper I argue that Prof. Sun woo's objections are based on h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my view to the effect that they don't pose any serious problem for my view. That is, my objections to Kripke and Chalmers stay intact, and my own proposal for reconciling necessity with fallibility does as well.

      • KCI등재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 설명과 송하석 교수의 반론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필자는 『철학적 분석』 17호에 게재한 논문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설명”에서 직설법적 조건문 ‘A→C’는 질료적 조건문 ‘A⊃C’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는 이른바 ‘논란 없는’ 원리와 ‘A⊃C’는 ‘A→C’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는 이행 원리가 성립하지 않음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송하석 교수는 『철학적 분석』 18호에 게재한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론: 성향적 분석과 추론주의적 설명에 관하여”에서 필자의 주장을 비판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송하석 교수의 반론이 필자의 주장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지적한다. 특히 ‘A’부터 ‘C’로의 추론이 귀납적으로 정당하기 때문에 ‘A→C’가 성립할 수 있음을 간과한 반론임을 지적한다. In my previous article "An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published in this journal (Summer 2008), I argued that the uncontested principle does not hold, nor does the passage principle. According to the uncontested principle, an indicative conditional 'A→C' logically implies a material conditional 'A⊃C'.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assage principle, 'A⊃C' logically implies 'A→C'. Hasuk Song objects to my claim in his article "Semantics of Indicative Conditionals-On the Dispositional Analysis and the Inferentialist Account" published also in this journal (Winter 2008). In this paper I argue that Song's objections are based on h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my view. I point out, in particular, that he fails to note that' A→C' might hold by virtue of the fact that 'A ∴ C' is an inductively warranted argument.

      • KCI등재

        공학인을 위한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공학인을 위한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필자는 크게 네 가지를 논증한다. 첫째, 윤리적 논증의 타당성은 도구적 원리에 토대를 둔다. 둘째, 도구적 원리는 단지 목적과 수단 사이의 관계에 관한 원리이기 때문에 윤리적 정당화는 절대적으로 합당한 윤리적 목적에 의존한다. 셋째, 절대적으로 합당한 윤리적 목적은 인류 공동체의 존속과 번영이다. 끝으로, 필자가 제시하는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는 동기주의 윤리학과 결과주의 윤리학의 통찰을 정합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offer the logic of ethical justification for engineers. For this purpose, I argue four things. First of all, the validity of ethical argument is based on the instrumental principle. Secondly, since the instrumental principle is concerned with the means-ends relation, the ultimate ethical justification depends on the categorically reasonable ethical goal. Thirdly, the categorically reasonable ethical goal is the continuation and general welfare of the human community. Finally, my logic of ethical justification can accommodate the key intuitions of motivational ethics and those of consequentialist ethics simultaneously.

      • KCI등재

        인식적 분석성에 의한 선험적 정당화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마이클 데빗은 콰인의 입증 전체론에 호소하여 선험적 정당화를 부정한다. 그는 전체론적으로 경험적인 방법과 그렇지 않은 방법을 원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또한 통상적으로 선험적으로 정당화되는 지식으로 간주되는 논리학, 수학 등의 지식들도, 비록 직접적으로 경험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전체론적 방식으로, 즉 간접적으로 경험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폴 보고시안이 제시한 ‘인식적 분석성’ 개념을 이용하여 선험성에 대한 분석적 설명을 옹호한다. 특히, 언어규칙을 규정하는 메타언어 문장과 경험적 사실을 기술하는 대상언어 문장은 범주적으로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선험적 정당화와 후험적 정당화 사이에 원리적 구분이 있음을 주장한다. Michael Devitt denies a priori jus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Quinean confirmation holism. He claims that there is no principled basis on which to draw a line between what can be known in the holistic empirical way and what cannot be so known. He also claims that what is normally taken to be justified a priori, such as our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logic, is justified in the indirect empirical way within this holistic picture. In this paper I defend the analytic explanation of the a priori on the basis of what Paul Boghossian calls 'epistemic analyticity'. I argue, in particular, that we can draw a principled distinction between a priori justification and a posteriori jus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categorical distinction between what is justified by virtue of language rules and what is justified by virtue of empirical facts.

      • KCI등재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과 보겔의 반회의론 논증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2

        조나산 보겔은 최선의 설명에로의 주론에 호소하여 회의론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에 따르면, 주어진 관찰 현상에 대해 서로 경쟁하는 가설들 중 더 나은 설명을 받아들이는 것이 인식적으로 합리적이다. 보겔에 따르면, 회의론 가설과 비교할 때 정상세계 가설은 우리의 경힘에 대해 더 단순한 설명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인식적으로 합리적이다. 또한 그에 따르면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에 대해 회의론자가 되면 모든 종류의 귀납에 대해 회의론자가 돼야 하는 부조리한 결과에 직면하기 때문에,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의 정당성을 의심하는 ‘과격한’ 회의론은 무시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두 가지를 주장한다. 첫째, 정상세계 기설이 회의론 가설에 비해 더 단순한 설명이라는 사실은 전자가 참일 개연성이 높음을 보여주지 않다. 둘째,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을 정당화할 것을 요구하는 회의론자의 요구는 부당한 요구가 아니다. 따라서 단순한 설명이 참일 개연성이 높다는 것을 정당화하지 못하는 한에서 보겔의 반회의론 논증은 성공적이지 않다. Jonathan Vogel argues that we can avoid skepticism on the basis of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ccording to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it is epistemically rational for us to accept the best explanation among competing explanations about a relevant body of facts. According to Vogel, it is epistemically rational for us to accept the real world hypothesis instead of the skeptical hypothesis, because the former provides a simpler explanation for the character of our experience than the latter. In addition, on his view, we can ignore exotic skepticism which challenges the legitimacy of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because a skeptic about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has to be also a skeptic about induction of all kinds. In this paper, I argue two things. In the first place, the fact that the real world hypothesis is simpler than the skeptical hypothesis does not show that the real world hypothesis is true-conducive. In the second place, the skeptic has every right to challenge the legitimacy of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nd so Vogel's anti-skeptical argument based on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is not successful unless he shows that a simpler explanation is truth-conduc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덕법칙의 보편성과 인간가치체계의 상대성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8 철학적 분석 Vol.0 No.39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도덕규칙과 도덕적 가치는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실천이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도덕규칙의 객관성과 보편성을 실천이성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해명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덕적 규범성의 원천은 어떤 특정한 행위자가 아니라, 이성적 행위자 일반에 토대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롤즈와 코스가드가 이러한 의미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옹호한다. 그런데 흄적 구성주의자들, 특히 섀런 스트리트에 따르면, 특정 행위자의 가치체계는 그의 사회적, 역사적, 생물학적 우연성을 반영하는 평가적 관점에 의존한다. 따라서 모든 이성적 행위자가 예외 없이 따라야만 하는, 이른바 ‘보편적인 도덕규칙’이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도덕적 진리의 본성에 관한 상대주의적 설명에 입각하여 칸트적 구성주의를 비판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대표적인 흄적 구성주의자인 스트리트가 제기하는 비판들로부터 칸트적 구성주의를 옹호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Kantian moral constructivism, moral rules and moral values are not things which we can discover, but rather things which are constructed by our practical reason. Thus, we can explain why moral rule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y elucidating the requirements of our practical reason. In addition, the source of moral normativity lies in our rational agency in general, rather than in a particular agent. Notably, Rawls and Korsgaard advocate Kantian constructivism in this sense. However, according to Humean constructivists, especially Sharon Street, the value system of a particular agent depends on an evaluative perspective which reflects his or her social, historical and biological contingencies. Accordingly, on their views, there are no universal moral rules which bind all rational agents without any exception. Therefore, they criticize Kantian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their relativistic accounts of the nature of moral truth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Kantian constructivism can be defended against such criticisms raised especially by Sharon Street.

      • KCI등재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설명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7

        셀라스-브랜덤 주론주의에 의하면 ‘만일 A이면 C이다’ 형태의 직설법적 조건문은 ‘A’와 ‘C’ 사이에 정당한 추론관계가 성립함을 명시적으로 표현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에 관한 이와 같은 추론주의적 견해를 옹호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직설법적 조건문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만일 A이면 C이다’를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경우는 ‘A. 그러므로 C.’가 정당한 논증인 경우이다. 다시 말하면, ‘A→C’는 ‘A’가 성립한다는 조건하에서 ‘C’를 주장할 수 있는 경우에 주장할 수 있는 조건적 주장이다. 그리고 정당화의 개념은 ‘정당화를 요구하고 이에 응답하는 우리의 사회적 실천’을 배경으로 발전되어 온 간주관적 개념이기 때문에, 이것을 주관적 확률이 아니라 간주관적인 사회 실천 모형에 따라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어떤 것을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경우는 그것에 대한 주관적 확률이 높은 경우가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실천 속에서 그것을 간주관적으로 옹호할 수 있는 경우이다. 더 나아가, 이 논문은 이러한 설명이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에 관한 기존 해석들의 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보다 만족스러운 분석임을 주장한다. According to Sellars-Brandom version of Inferential Semantics, the function of an indicative conditional 'if A, then C' is to make it explicit that a valid or warranted inferential relation holds between 'A' and '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end and develop this inferentialist view. I argue that indicative conditionals can be analyzed as follows: 'A→C' is warrantedly assertable just in case 'A. ∴ C.' is a warranted argument. That is, one is warranted in asserting a conditional claim 'A→C' just in case one is warranted in asserting 'C' on the condition that 'A' is true. And since our notion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against our social practice of demanding justification and responding to such demands, we should understand it in accordance with this sort of intersubjective social practice model rather than subjective probability. In other words, one is warranted in asserting something just in case one can defend it in such social practice, rather than when one's subjective probability of it is high. I argue, moreover, that my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is much more satisfactory than the previous accounts of them in that it can avoid problems with those previous accounts.

      • KCI등재

        허구적 이름에 대한 추론주의 의미론과 김세화 교수의 반론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7

        필자는 『철학적 분석』 13호 (2006 여름)에 게재한 논문 「허구적 이름에 대한 밀주의 이론과 주론주의 의미론」에서 추론주의 의미론이 허구적 이름에 대한 가장 적절한 의미론임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김세화 교수는 『철학적 분석』 16호 (2007 겨울)에 게재한 논문 「허구적 이름에 대한 (아직은) 불완전한 주론주의 의미론」에서 두 가지 반론을 제기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김세화 교수의 반론들은 추론주의 의미론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임을 지적한다. In my previous article "Millian Theories of Fictional Names and Inferential Semantics" published in this journal (Summer 2006), I argued that a version of inferential semantics I defend can provide the most satisfactory semantics for fictional names. Against this claim, Seahwa Kim raised two objections in her article "(Yet) Incomplete Inferential Semantics for Fictional Names" published also in this journal (Winter 2007). In this paper I argue that Kim's objections are based on her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inferential semantics so that they don't pose a serious problem for my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