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루크와 피치니의 ≪토리드의 이피제니≫: ‘비극’과 ‘드라마’의 교차점

        이남재 ( Namjai Lee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음악이론포럼 Vol.27 No.2

        글루크와 피치니의 ≪토리드의 이피제니≫는 “글루크파와 피치니파의 논쟁”의 최종 판정을 끌어낸 작품들이었다. 이 두 작곡가 중 누가 더 우월하냐는 것을 놓고 오랫동안 벌어졌던 논쟁의 결론이 이들의 ≪토리드의 이피제니≫로 인해 마침내 글루크 쪽으로 기울었다. 그러나 이러한 판정의 기준 또한 혼란스럽다. 일반적으로 글루크파들이 내세우는 기준이 대본의 극적 우수성을 잘 살린 음악에 있었던 반면, 피치니를 옹호했던 사람들은 “주기적 노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주장을 펼쳤다. 비록 글루크와 피치니 두 작곡가 모두 “프랑스어 대본에 이탈리아식 음악”을 붙인 오페라를 만든다는 목표는 공유했지만, 이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하느냐는 데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글루크와 그의 대본작가 기야르가 그리스 비극을 본보기로 삼았던 반면 피치니와 그의 대본작가 뒤브뢰유는 새로운 드라마를 본보기로 삼았다는 데 기인한다. 이 논쟁이 벌어질 무렵에는 이미 드라마가 비극을 대치하는 과정 중에 있었기 때문에, 글루크와 피치니의 ≪토리드의 이피제니≫는 이 두 장르의 교차점에 있었던 작품들로 특징지을 수 있다. Iphigénie en Taurides of Gluck and Piccinni are the focal points of the Querelle des Gluckistes et des Piccinnistes. Although the comparative merit of the two composers has been disputed extensively, their Iphigénie en Taurides settled the debate in favor of Gluck. The criteria for such decision, however, are also contradictory. In general, the criterion of the Gluckists is the dramatic quality of the libretto and its musical realization. The argument for Piccinni, on the other hand, is based on the concept of “chant périodique.” Although the final goal of both Gluck and Piccinni was the creation of the opera based on the French libretto with Italianated music, there is discrepancy in terms of how to accomplish this common object. The difference is due to their respective models: Guillard and Gluck retain the elements of Greek tragedy while Dubreuil and Piccinni took the modern drama as its dramatic model. Since the drama was in the process of replacing court-based tragedy during the time of this quarrel, Iphigénie en Taurides of Gluck and Piccinni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ntersection of the two genres.

      • KCI등재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음악의 헌정」을 보는 여러 시각들

        이남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이화음악논집 Vol.12 No.1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음악의 헌정」에 대해서는 슈피타의 획기적인 연구서 이래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한스 데이빗의 책은 출간 당시 그때까지의 연구 성과를 총망라한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크리스토프 볼프의 원자료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논문 이래 잠복되어왔던 문제들이 다시금 표면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볼프의 관심은 주로 「음악의 헌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어떻게 배열하느냐 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전념한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열과 관련된 커켄데일 부부의 논문들은 특히 주목할 만 하다. 고전 수사학의 철저한 연구에 바탕을 둔 이 연구들은,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내린 결론에 동의하느냐의 여부와 상관없이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음악의 헌정」에 대한 또 하나의 두드러진 접근법은 소위 "신 음악학"이다. 이어슬리의 『바흐와 대위법의 의미들』은 이러한 접근법을 대표하는 저서이다. 심도 있는 지적 자극을 제공하는 여섯 장들 가운데 "「음악의 헌정」의 권위주의적 정권들"이라는 제목의 장에서 이 작품을 논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헌정자와 헌정대상자와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석학적 접근은 음악과 정치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도록 이끈다. 역사상의 두드러진 예로는 히틀러가 프레데릭 대왕을 우상화 한 것과 린든 라루쉬의 극우 정치 운동을 들 수 있다. 넓게 보면, 「음악의 헌정」에 대한 여러 시각들을 살펴본다는 것은 결국 "음악의 아버지"라는 바흐의 별칭의 의미에 대해 깊이 숙고해 보는 기회가 된다. There has been numerous studies on J. S. Bach's Musical Offering since Spitta's epoch making books. Hans David's book must have been considered to be the culmin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Since the appearance of Christoph Wolff's seminal article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the dormant problem became alive once and for all. Wolff's attention is payed mainly on the problem of properly arrang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Musical Offering, Despite of the scrutiny of several dedicated scholars, there seems to be no hope to settle this problem definitely. It is noteworthy to pay special attention on the articles of Kirkendales concerning the arrangement of the work. Based on their exhaustive study on the classical rhetorics, these articles are not only informative but also thoroughly enjoyable whether one agrees with their conclusions or not. Another distinctive approach to the Musical Offering is so call "New Musicology." The main study is Yearsley's Bach and the Meanings of Counterpoint. Among the six very intellectually stimulating chapters, Yearsley deals with this work in a chapter entitled "The Autocratic Regimes of A Musical Offering" Here h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he dedicator and the dedicatee from diverse perspectives. Such hermeneutical approach leads us into th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politics. Prominent historical examples are ranging from Hitler's idolization of Frederick the Great as well as the ultra-rightest political movement of Lyndon Larouche. As a whole, surveying the various viewpoints concerning Musical Offering provides us a chance to contemplate on the true meaning of Bach's nickname, 'the Father of Music."

      • KCI등재

        다 카포 아리아와 소나타 형식 : 로젠의 소나타 형식들 중 “아리아” 장 읽기

        이남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1 이화음악논집 Vol.15 No.2

        Sonata form has been extolled as a culmination of Viennese Classical Style. It has served the cause of nationalistic German Romantic musical discourse as a proof of the superiority of purely instrumental music. Such a discourse can be justified as far as goes. It is over the limit when such an exertion resulted in historical distortion. An episode concerning so called “Mannheim School” is a good example. Riemann, in his endeavor to reorganize music history in line with such an ideology, tried to establish pure instrumental music of Mannheim School as a sole precursor of Viennese Classical masterworks. Rosen’s inclusion of “aria” chapter can be read as an antidote for such an attitudinal discourse. The gist of this chapter is that the slow-movement sonata form was derived from the A section of the full da capo aria. Since the same composer tried to solve the same problem of tonal structure in both forms, there must have been interaction between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Such a view is not new at all. Dent, as early as 1913, wrote an article claiming the influence of Italian opera seria on Viennese Classics. The “revisionism” of Rosen’s book also influenced the later writing on sonata form such as Webster and Hepokoski. Perhaps the most profound contribution of Rosen’s book is that it emancipate the discourse on sonata form from monolithic conventional wisdom of “The Ideology of Absolute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