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사교육 효과 검증

        이기종(Rhee, Kijo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논총 Vol.28 No.-

        대학진학에서 사교육의 효과성에 관해 여러 연구가 나름대로의 사실에 근거해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고 있다. 앞서의 이러한 연구에 기초해 설정된 가설은, 사교육은 수능과 대학입학에 영향을 미치며, 수능은 대학입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에서 2005년 대학에 진학한 1,269명 가운데 보호자가 부모인 6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된다. PRELIS 2.3을 통한 다연상관이 분석자료로 투입되고 LISREL 8.8의 최대가능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사교육이 대학입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며, 수능을 통한 간접적 영향만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수능을 매개로 한 사교육의 간접적 영향도 대학입학에서 그 비중은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는 사교육이 수능을 통해 대학입학을 설명하기는 하나 대학진학을 결정짓는 요인은 사교육의 영향을 받는 수능만이 아닌 다른 다양한 교육적 요인이 있으며 그 비중도 작지 않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 couple of hypotheses are established: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fect both student's school achievement represented as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college admittance; and student's school achievement affects college admittance. Hypotheses are verified throug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ased on polyserial correlations from 613 student' data with aids of PRELIS 2.3 and LISREL 8.8. Results show that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no direct effect on college admittance and do have indirect via student's school achievement on college admittance. It is implied that there are many ingredients that determine college admittance, except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s school achievement.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의 쟁점과 대안

        이기종(Ki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서 쟁점이 되는 사항은 평가목적, 평가대상, 평가과목, 평가시기, 채점관리 등이다. 무엇을 위한 평가인가의 논란에서 학교책무성과 학교서열화를 강조하는 입장이 서로 대립되어 있으나, 어떤 유형이건 교육평가는 기본적으로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가치매김의 정보를 다시 교육현장에의 환류를 통해 교육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도 이런 맥락에서 받아들여져야 하며, 자료미비로 인해 평가의 부작용을 논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판단이다. 학업성취도를 학생의 잠재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시간구조화의 원칙을 따라 평가대상은 학교급별 마지막 학년이 되어야 한다. 평가과목은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행해지는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쪽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평가시기는 보정교육을 감안할 때 1학기 말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채점은 학년담당교사가 채점하며 결과는 실시간으로 전산입력되어야 한다. In The National Large Scale Student Achievement Test, five areas to consider are the purpose, test taker, subject matter, test timing, and the scoring management. Over the issue of evaluation, the opin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and school ranking are opposed to each other. An educational evaluation is basically to develop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 information of processes and results. The National Large Scale Student Achievement Test must be understood as the same thing, and it is quite early to discuss the side-effects of it due to insufficient data. If it is seen with the perspective of latent growth of a student, senior students of any kind of school must be evaluated following the idea of time structuring. The subject matters must have those that are actually taught in schools. The time of evaluation should be the end of first semester considering additional remedial education of certain students. Finally, the scoring must be done by the home-room teacher of each grade, and the results must be entered electronically.

      • 고등교육 종료 후 교육지속성을 결정하는 배경요인 탐색

        이기종(Ki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교육지속성에 따른 과잉학력화 현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고 교육지속성을 보이는 이들이 학문적 탐구열정에서인지 또 다른 요인이 있는지 살펴보는데서 출발한다. 연구문제는 고등교육 종료 후 교육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을 탐색하고, 교육지속성 여부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육지속성을 결정짓는 배경변수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대학원 진학과 미진학의 종속변수와 다양한 독립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주어진 독립변수의 수준에서 종속변수인 대학원 진학과 미진학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출생변수 중에서는 나이변수, 가족의 문화적 변수 중에서는 부의 학력수준, 가족의 경제적 배경변수 중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수준에 대한 인식이 교육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widespread overeduc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inuation, and investigate whether those with such willingness to educational continuation are motivated by academic inquiry or other factors. The research question is defined in a way that explores the background determinants having an impact on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after completing higher education, and then search for an appropriate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about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educational continuation, the author undertook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explains about the relations among the dependent variable of entering a graduate school or not and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predict the value for dependent variable whether the subjects continue their graduate studies or not based upon the independent variables given in the model. The analysis yields that such factors as age among birth variables, negative educational history among family cultural variables, and the perception on socioeconomic status among family 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affected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분석

        이기종(KiJong Rhee),김은주(EunJoo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논총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기체 변인 중에서는 학업노력, 미시체계 변인 중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중간체계 변인 중에서는 학교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외체계 변인과 거시체계 변인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s to check out actual condition of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of youth, and to find out the impa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their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Study analysis data were using fourth data of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data,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ch organismic variables as study effort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youth’s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Second, as for microsystem variable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youth’s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Third, such meso-system variables as relationships with school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youth’s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Fourth, exo-system variables and macro-system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not influence on youth’s satisfactions to school lives.

      •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효과 패널분석

        곽수란(Sulan Kwaug),이기종(Ki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패널 데이터의 특성을 살려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이르는 과정에서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 하였다. 학습 변수는 학습방법, 수업태도, 공부시간, 과외시간, 과외도움, 과외비용이며 학업성취 변수는 9등급 학업성적 이다. 중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습의 관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이를 탐색할 수 있으며 또한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Using a sample from the KEEP,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between the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by using panel data ranging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longitudinally. To define the variables between the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 selected the family back ground(parents' school career, parents' attention, and income), learning (study skill, instruction or in school learning, study, and out-of-school learning or extracurricular work), and academic achievement(school record). Concretely, a panel analysis is conducted to assure what influence the learning has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 is believed to be useful to understand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MBTI 구인타당도 탐색

        윤혜경 ( Heakyung Yun ),이기종 ( Kijong Rhee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7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8 No.1

        본 연구는 MBTI 검사지의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도식화된 모형의 각 구인간의 영향력의 크기와 방향을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표본수는 905 명이며, 서울시 및 수도권에 있는 전문대와 4년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MBTI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모형평가는 χ² 값이 42.5, 자유도 14, p=.000으로 나타났으며, RMSEA값은 .047을 보여 모형이 정확합치의 관점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근사합치의 관점에서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사합치의 관점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에너지의 방향은 다른 3가지 선호경향인 인식기능, 판단기능, 삶의 양식과 부적인 상관을, 인식기능과 판단기능, 판단기능과 삶의 양식 그리고 인식기능과 삶의 양식은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각 잠재변인과 관찰변인간의 관계에서 각각의 잠재변인을 관찰할 수 있는 두개의 변인들의 회기값이 부적과 정적이 쌍을 이루는 서로 다른 방향의 값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MBTI 문항구성이 일차원적인 양극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써 서로 다른 양극의 경향을 측정하는 구인으로써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psychological types in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ze and direction of influence in each construct confirm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905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test around Seoul Metopolitan area has been analyzed with confirmatory factor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Statistical analysis of evaluation model shows χ²=42.5, degree of freedom 14, p=.000 and RMSEA .047, The model was considered unsuitable for accuracy congruence, but was considered suitable for approximation congruence. As for approximation congruence, the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of each factors under correct suitability of Model. First, in correlation relationship, direction of energy has negative correlation to three different factors including cognitive function, judgemental ability, and way of life. However,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judgemental ability, judgemental ability and wa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and way of life. Next, potential capability measurement shows an opposing relation of direct and indirect factor between potential variable and observation variable. This study proves the validity of the MBTI construct which the composition of question is set up to measure the two extremities in one dimension.

      •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사의 수업활동 그리고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곽수란(Sulan Kwaug),이기종(Ki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 요인은 내재적동기, 도구통제동기, 인지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 그리고 학습양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의 학습은 교사의 수업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을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으로 투입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사의 수업활동과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인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횡단 및 종단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설문에 응답한 5,822명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TATA와 LISREL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e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sisted of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control motivation, cognitive regulated strategies, action regulated strategies, and learning method. Since teachers' teaching has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tudents' learning, teachers' teaching factors were input as an exogenous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students' learning. While practic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gression analysis, We identifi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teachers' teaching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path analysis through SEM that identified the causes and effects between variables. The data for this analysis was panel data that consisted of 582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rograms for it were STATA and LISREL.

      • KCI등재

        유아영어학습에서의 교사 유형이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나인숙(Na InSook),이기종(Rhee Ki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서 교사유형에 따라 사전-사후, 세 집단 간에 유아학습자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 동기/태도, 자신감의 증진에 차별적 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원어민교사수업, 한국인교사수업, 코티칭(Co-teaching) 수업 간의 효과 차이를 분석했다. 연구기간은 11월3일부터 이듬해 2월 1일까지 주2회 12주 동안 총 24회 만 5-6세 30명을 대상으로, 교사유형에 따라 사전-사후 흥미, 동기/태도, 자신감의 증진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방법은 세 집단의 사전 사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교사 유형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첫째, 유아영어 학습자의 흥미는 세 수업 모두 증진되었으나, 코티칭 수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동기/태도는 모든 수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다. 셋째, 자신감은 원어민 교사 수업과 한국인 교사 수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으나, 코티칭 수업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검증되지 않았다. 끝으로 교사 유형별 세 집단 간에는 유아영어 학습자의 흥미, 동기/태도,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유아영어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 동기/태도, 자신감 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수업은 지적수행 외의 정의적 영역들에 대한 효과 또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if there is any change or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motivation/attitude, and confidence of young children before and after an English course on three different combination of teacher types; a class taught by a native English speaker, a class taught by a native Korean speaker and a co-teaching class taught by both. To conduct the research, 30 children, 5 and 6 year-old, were selected for classes held twice a week, 24 times in total within 12 weeks, from Nov. 3th to Feb. 1th of the following year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interest level, motivation/attitude, and confidence change in each class of different teacher types. To analyze the resul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before and after and ANOVA verification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types. First, the Interest level of the young children in all three classes has been increased but it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co-teaching class. Second, the motivation/attitude of the young children in all three classes has statistically been increased. Third, confidence level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two classes, the class taught by a native English speaker and the class taught by a native Korean speaker has been increased but not in the co-teaching class. Finally, any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motivation/attitude, and confidence of young children among those three classes taught by different types of teacher has not been observed. It shows that the interest level, motivation/attitude, and confidence of young children can be increased through English learning in their early age, therefore, besides intellectual activities, the influence of affective factors are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for their English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