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실습생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 분석

        윤희경 ( Hee Kyung Youn ) 영유아교육학회 2007 영유아교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보육실습 동안 실습생이 경험한 갈등과 그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과 실습기관이 협력 관계를 유지하여 보육실습을 내실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50명의 전문대학 3학년 학생들이었다. 연구도구는 질문지와 반성적 저널쓰기가 사용되었다. 질문지는 보육실습 종료 후 실시하여 양적 분석하였고, 반성적 저널쓰기는 보육실습 중 매주 기술한 갈등사례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습생 갈등은 유아와의 갈등, 자신과의 갈등, 실습생 업무갈등, 기관과의 갈등, 지도교사와의 갈등, 동료실습생과의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실습의 갈등은 교육실습의 갈등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실습 전 영유아를 가르쳐보는 실제 경험, 보육실습에 대한 구체적 안내와 지침, 실습생에 대한 정서적 배려와 전문적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and the kinds of conflicts experienced by student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and aimed at enriching the substanc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and the child care center. Participants were 259 third year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rolled in regular course of college level in 2005 and 2006.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fter completion of teaching practice, and analysed quantitatively. Reflective journal writings on student teacher`s conflic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a variety of conflicts from young children, themselves, daily works, child care center, and supervisors. Second, 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e-teaching experience was important to student teachers, and supervisor`s instruction and affective consideration to the student teachers would be given.

      • KCI등재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윤희경 ( Youn Hee-ky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사가 첫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안정적으로 교직에 적응해 갈 수 있는 지원방법을 모색해 보려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D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이다. 연구자료는 초임교사에게 가장 의미있는 존재인 동료교사, 유아,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 경험하고 느낀 에피소드를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저널과 심층면담, 반구조화된 설문지이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는 명령하달의 수직적 관계, 눈치껏 호흡맞추기, 개인적 친밀감과 관계의 형성, 초임교사의 모델링이 되는 선배교사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와의 인간관계에서는 정체성 갈등, 초임교사에게 힘을 주는 유아들, 교사로서 느끼는 작은 성취감과 기쁨이 셋째,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는 선배교사의 그늘에 가려진 작은 존재, 자녀의 반응에 좌우되는 학부모 태도, 최 일선에서 학부모를 만나는 원의 막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교사 교직생활에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가 가장 영향력이 크므로, 직장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원 간 공식적·비공식적 교류 프로그램을 통한 협력적 조직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ways that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better supported for a more stable school life by deeply understand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us, this study was done on 5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eachers` diary journal writings on their episodes experienc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or between colleag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had a vertical commanding structure, reading between the lines, development of intimacy, and choosing senior teachers as role models.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was revealed as a conflict of identity,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as a teacher. Thir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was perceived as a powerless teacher overshadowed by senior teachers, parents` attitudes dominated by children`s responses and a frontline person to deal with the par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ould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supporting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eded by develop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formal or informal interactive programs at work.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그림그리기에 나타난 유아교사 이미지

        윤희경 ( Youn Hee Kyung ),허정애 ( Her Joung Ae ),허정민 ( Heo Jung Mi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바라는 유아교사 이미지와 학년에 따라 교사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4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 18명(1학년 5명, 2학년 6명, 3학년 4명, 4학년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는 예비교사들의 그림그리기와 그림에 대한 설명, 집단 면접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외적이미지로 단정한 외모, 밝고 사랑이 담긴 표정, 활동적이고 즐거운 교실, 내적 이미지로 긍정적 정서와 사고, 상호작용적 관계, 전문성 이미지로 사랑으로 가르치는 교사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학년에 따라 큰 차이 없이 사랑과 돌봄의 정의적 교사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적 이미지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표현의 차이는 있지만 유아에게 도움을 주는 훌륭한 교사가 되고 싶은 공통적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which was caused by the grades of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 stud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university, consisting of 5 in 1st, 6 in 2nd, 4 in 3rd, and 3 in 4th grade. Data was collected from drawing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anation to the meaning of their drawings perform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consisted of group interview. This study has found: Firs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external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ch as decent appearance, cheerful and affectionate expression, internal images such as cheerful emotion, interaction relationships and posi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 image as affectionate teacher’s attitude.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the strong aff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grades of them. But as they go to the higher grades, their perception was changed that it became more professional which involved multipl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of this study had public images which would be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descriptions.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연구

        윤희경 ( Youn Hee-ky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생활과 그들이 처한 교직현실을 분석해 봄으로써 유치원 교직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발전방향을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은 유치원 교직문화의 환경적 변인에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유치원 교직환경은 안정적이라기보다 임시적이고 불안정한 조직이었다.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립기관, 20대 여성교사 집단, 짧은 교직주기, 가르침과 보살핌에 대한 평가절하, 강한 심리학적 배경, 긴박하게 돌아가는 하루, 가족적 인간관계, 열약한 사회경제적 신분보장, 교직에 대한 높은 사명감과 자발적 노력집단, 고객으로서의 학부모로 특징지을 수 있다. 유치원 교직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을 위해서는 가르침과 보살핌을 결합한 텍스트로 이해하기, 안정적 처우개선, 교육의 철학적 접근, 능동적 학습을 통한 직무수행능력 증진, 학부모와의 동반자 관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eaching culture in kindergarten and furth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al teaching culture of kindergarten, by analyzing the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realities. Analysis focuses on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teaching culture of the kindergarte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 of teaching culture was temporal and unstable system rather than stable one. The teaching culture in kindergarten was characterized by private institute working on a small scale, teachers group of twenties ladies, short teaching experience and underestimated caring, strong stress in psychological background, tight scheduled life, familial relationship, poor working conditions and uncertainty of teacher’s status, group of teachers’ high duty and active teaching, and parents of students as patr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ultu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such as understanding of text combining teaching and caring, steady improvement of teaching conditions, philosophical access to instruction, improvement of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active in-service, and construction of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

        유아들의 관점에서 본 좋은 교사

        윤희경(Youn He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삶과 경험을 통해 본 좋은 교사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색해 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62개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25명으로, 담임교사와의 놀이활동과 경험, 관계를 통해 좋 은 교사라고 느꼈던 장면이나 생각을 그림으로 그리고 그림에 대해 나눈 이야기 내용을 본 연구의 자료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주 동안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교사는 네 가지 범 주로 나타났다. 첫째, 함께하며 놀아주는 교사로, 친구가 되어 주고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둘째, 사랑으로 돌봐주는 교사로, 유아와 교감하며 적절한 도움을 주는 교사 셋째, 잘 가르쳐주는 교사로, 재미있게 알려주고 모르는 것을 가르쳐주는 교사 넷째, 소속감을 주는 교사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의 본질인 아동중심과 놀이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유아교육현장의 실제를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good teacher from young children’s perspectives by seeking the children’s daily routine experiences in early children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25 young children of 4-5 years old in 62 different D city kindergartens. In order to access children’s perceptions of good teach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during the free choice play time for two weeks on May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four categories that comprise perceptions of good teacher: first, a teacher who plays with children, becomes their friends, and supports them; second, one who teaches with love, communicates with them, and gives them a proper support; third, one who teaches them well and what they don’t know, and finally, one having sense of belong.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ild-centered educatio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related to essenti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mprove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KCI등재후보

        좋은 교사에 대한 유아, 경력교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윤희경 ( Youn Hee Ky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 경력교사, 예비유아교사들이 좋은 교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비교·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134명, 담임교사 68명, 유아교육과 1학년 재학생 87명이다. 연구자료는 참여자들이 개인적으로 경험하고 느꼈던 좋은 교사의 모습이나 장면에 대한 그림그리기, 그림에 대한 설명과 대화 내용이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교사에 대한 공통적 인식은 첫째, 사랑을 많이 주는 교사 둘째, 유아의 요구에 민감한 교사 셋째, 공감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반면 참여자간 차이를 보였는데, 유아는 ‘함께하며 놀아주는 교사’와 ‘잘 가르쳐주는 교사’, 경력교사는 ‘성찰하고 연구하는 교사’와 ‘유아의 다름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교사’, 예비교사는 ‘동심을 가진 에너자이저’와 ‘다재다능한 교사’를 좋은 교사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중심, 놀이중심의 교육실제를 개선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nings of ‘a good teacher’ perceived by young children and in- 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34 young children aged 4-5 attending kindergartens, 68 kindergarten teachers, and 87 college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a data collection procedure, their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a good teacher’ were gathered. The stories shared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features of ‘a good teacher’ were commonly recognized as ‘a teacher giving a lots of love to the child.’ ‘being sensitive to the needs of the children,’ and ‘being easy to sympathized with the children.’ However, some responds were comparable among the groups. While the young children perceived ‘having some fun with the children’ and ‘teaching well’ as the qualities of ‘a good teacher,’ the in-service teachers thought ‘reflective thinking and research’ and ‘acknowledging and supporting children’s differences’ to be the requirements of ‘a good teacher.’ Besides,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childlike energizer’ and ‘having a lots of talents’ as the features of ‘a good teacher.’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both chil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원의 직급별 자격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윤희경(Youn hee 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교원중심의 자격연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유치원 1정, 원감, 원장 자격연수에 참여한 연수자를 대상으로 직급별 자격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58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1정연수는 전공, 원감연수는 교직, 원장연수는 교양과정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교육과정이 교원의 전문적 자질향상에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model development of a faculty oriented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nd executed a survey to 584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grade 1 teachers, vice-principal and principal course in order to inquire the satisfaction on the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grades. Results showed that for grade 1 training course, trainees were satisfied with major subjects, for vice-principal training course, teaching curriculum and for principal training course, the satisfaction on cultural areas were high. Consequently it showed that the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was not satisfactory level for trainee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teaching experti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정서신념 유형 분석

        양승희 ( Yang Seung Hee ),윤희경 ( Youn Hee Ky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와 정서신념 유형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유아교사 812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자가평정에 의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Katz(1995)가 제시한 유아교사 발달단계를 1문항으로 구성하여, 유아교사가 자가진단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발달단계를 규정하도록 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신념 유형은 Hyson과 Lee(1996)이 개발한 유아교사 정서신념 평정척도를 요인분석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적용하는 정서신념 유형은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표현, 모델링, 조절을 나타내는 정서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정서신념 유형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 styles and employment of them in relation to teacher developmental phase. To meet this purpose, teachers’ developmental phases consisted of items drawn from Katz(1995)’s four developmental stages, which were prescribed by teacher’s self-assessment repor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12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Teachers’emotion beliefs were constructed based on a rating scale by Hyson & Lee(1996).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style employments of emotion beliefs in expression, modeling, and control according to developmental phase. However, result showed that teachers’ emotion styles were employed similarly by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working places.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행동변화

        나은숙(Na Eun Suck),윤희경(Youn Hee 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교육을 거치면서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인식과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만 3, 4세 학급 담당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3월 10일~2007년 1월 10일이며 이 기간 동안 교사가 쓴 저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주제 선정 시 유아들의 흥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때, 유아들이 주제와 상관없는 말을 할 때, 교사의 의도대로 유아가 따라오지 않는다고 느낄 때 등등 프로젝트 활동에 대하여 어려운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교육 이후에는 교사의 반성적인 사고의 중요성, 관찰을 통한 유아 흥미의 파악과 유아 능력의 발견, 제한된 환경에서 벗어난 자료의 무한한 가능성, 지식탐색 후 실제 생활에의 적용가능성 들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함께 행동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교사들이 프로젝트 활동을 실행할 때 당면하는 어려운 점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프로젝트와 관련된 교사교육을 실시하려는 교육자들과 교사들에게도 실천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oject activity while two teachers implemented the project approach in a child-care classroom. Research methodologies used autobiographical methods based on Heidegger"s hermeneutic Phenomen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s" journal writings and informal interviews. Analyses followed by Manen"s procedure, which was revis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difficulty in the selection and web mapping of subject,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periods of activity and deficiency of activity materials.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on the project activity improved in their reflective thoughts, selection of subject through observation, use of materials, application to the real life and confidence after teachers"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teachers with an understanding of confrontin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project class, and give a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project to the educators an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