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기 비만 여성의 운동 중재 효과

        윤선정(Sun-Jeong Yun), 김가은(Gae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국내 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 효과 등을 확인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방법 2022년 8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에 등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4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을 시행하였다. 문헌검색과정을 통해 총 1,252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4편의 RCT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선정된 문헌은 RevMan 5.4를 이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폐경기 비만 여성의 운동 중재의 효과크기는 체지방률 -8.96, 체질량지수 -1.5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외 수축기혈압 -6.91, 총 콜레스테롤 -5.30, 중성지방 -3.00, 저밀도지단백 -22.13, 고밀도지단백 2.26, 혈당 -10.66 으로 운동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1). 결론 현대 의학의 발달로 여성 평균 수명이 늘어나며 긴 시간 호르몬의 변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폐경 이후 비만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운동 중재 효과를 확인함으로 지역사회 현장에서 대상자들의 비만 예방 및 건강증진 운동에 대한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domestic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literatu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until August 2022. Th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our database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Medical Papers Database,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al 4 RCT papers were analyzed. For the selected literature,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RevMan 5.4.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xercise intervention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dy fat percentage -8.96 and body mass index -1.50. In addition, significant effects of exercise were found on systolic blood pressure -6.91, total cholesterol -5.30, triglyceride -3.00, low-density lipoprotein -22.13, high-density lipoprotein 2.26, and blood glucose -10.66. Conclusions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women is increasing, and the risk of obesity after menopause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long-term hormonal changes. Therefore, by confirming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on postmenopausal obese women, this researcher will be able to use it a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obesity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exercise for subjects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