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흡연, 음주, 정신건강 분석 : 제 14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자료 이용

        윤경순(Kyoungsun Yun),이유진(Yu-Ji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 청소년과 양부모 가정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흡연 및 음주,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제 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 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54,1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가족구조와 성별에 따른 흡연요인, 음주요인, 정신건강요인의 차이는 Rao-Scott chi-square 검정을 하였으며, 가족구조 및 성별에 따른 흡연요인 및 음주요인, 정신건강요인의 영향요인은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남학생, 여학생)은 양부모 가정의 청소년(남학생, 여학생)보다 흡연경험과 음주경험(p <.001), 스트레스(p <.001), 슬픔 및 절망감(p <.05), 자살생각(p <.001)의 경험이 많았다. 한부모 가정 남학생은 흡연경험(p <.001)과 음주경험(p <.001)이 많았고 여학생은 스트레스(p <.001), 슬픔 및 절망감(p <.001), 자살생각(p <.001)의 경험이 높았다. 이처럼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은 성별에 따라 건강행태행위에 차이가 있기에 가정과 학교는 남학생은 금연ㆍ금주, 여학생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해야 하겠다.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factors influencing smoking, drinking,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A total of 54,133 adolesc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14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KYRBS) data. The Rao-Scott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factors, smoking factors, drinking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of family structure and gender. The influencers of smoking factors, drinking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taken individually,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and gender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olescents (both genders) from single-parent families had more experience of smoking and drinking (p <.001), stress (p <.001), depression (p <.05), and suicidal ideation (p <.001) than adolescents (both genders) from two-parent families. In the case of single-parent families, boys had more smoking (p <.001) and drinking (p <.001) experiences, while girls had more experiences of stress (p <.001), depression (p <.001), and suicidal ideation (p <.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evention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 KCI등재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

        박미란(Mi-Ran Park),윤경순(Kyoungsu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정도와 음주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제17차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764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 건강행동특성의 차이 및 음주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동특성의 차이는 Rao-Scott chi-square검정을 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은 복합표본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한부모가구 여학생 330명, 남학생43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부모가구의 여학생 53.3%, 남학생 52.3%은 음주를 하고 있었다. 여학생은 음주 유무에 따라 흡연과 성경험에서, 남학생은 현재 흡연과 성경험, 스트레스 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부모가구 여학생의 음주 영향 요인은 현재 흡연으로 비흡연 여학생보다 5.89배 음주할 가능성이 있었다. 한부모가구 남학생의 음주영향요인은 주관적 체형인지, 현재 흡연, 성경험으로 보통 체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마르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이 0.75배, 현재 흡연하는 경우가 비흡연 경우보다 4.92배, 성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2.41배 음주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 요인의 차이를 인식하고 성별에 맞는 차별화된 금주교육이 필요하며, 한부모가구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rinking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Methods A total of 764 adolesc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17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Rao-Scott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rinking, and health risk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of single parent household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health risk behavior according to drinking.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factors affecting drinking according to gender.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330 female students and 434 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53.3% of female students and 52.3% of male students in single-parent households were drinking. The factor influencing drinking among fe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was current smoking, which was 5.89 times more likely to drink than non-smoker female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among ma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were subjective body type, current smoking, and sexual experience. Male student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be thin drank 0.75 times more than male students who considered themselves normal, smokers 4.92 times more than non-smokers, and students with sexual experience 2.41 times more than non-sexual exper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is needed, and continuous attention from home and school is needed so that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can grow up healthy.

      • KCI등재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관계 : 제 17차 청소년건강행태(2021) 조사자료 이용

        이유진(Yu-Jin Lee),윤경순(Kyoungsun 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 왜곡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제 17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52,21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체질량 지수와 주관적 체형인지 문항을 통해 유무로 구분하였다. 체질량 지수군(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및 신체이미지 왜곡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의 차이는 Rao-Scott chi-square 검정을 하였으며, 신체이미지 왜곡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복합표본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의 차이에서는 학급군,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체형 인지, 체중조절행위, 스트레스 인지, 우울, 자살시도, 외로움, 불안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이미지 왜곡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의 차이에서는 학급군,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체형 인지, 체중조절행위, 우울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신체이미지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청소년에 비해 신체이미지를 왜곡하는 청소년의 우울은 1.06배(p = .019), 자살시도는 1.24배(p = .007), 불안은 0.93배(p = .001) 이었다. 신체이미지 왜곡은 우울, 자살시도, 불안에 영향을 주기에 청소년이 올바른 체형인식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의 꾸준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겠다. This descriptiv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dolescent body image distortion on mental health using the data of 52,219 adolescents included in the 17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was classified using body mass indices and responses to perceived body image questions. The Rao-Scott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differences according to body mass indices and body image distortion.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body image distortion. Grade,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status, perceived body image, weight control behavior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suicide attempt, loneliness, and anxi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differences, as were health, underweightedness, overweightedness, and obesity. Several factors impact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body image distortion. Adolescents with a distorted body image had experienced depression, suicide attempts, and anxiety 1.06 (p = .019), 1.24 (p = .007), and 0.93 times (p = .001) more, respectively, than those with healthy body images. Focus and education at school and home are required to enable adolescents to grow up with healthy body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