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Arctic Sea Ice in Autumn and Subsequent July Air Temperature over East Asia and the Western North Pacific

        최우갑,육심찬 한국기상학회 2022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58 No.2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tic sea ice area and the following year’s atmospheric temperature using reanalysis data.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July air temperature at 850 hPa, observed over East Asia (EA) and Western North Pacific (WNP), shows a strong correspondence to the Arctic sea-ice area during the previous year’s September–November period. This relation has been observed since 2007.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temperature and the Arctic sea ice is observed only when the sea ice area in autumn is smaller than approximately 6.3million km2. This threshold value coincides with the record reduction in the Arctic sea ice in the autumn of 2007.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the Northern Pacific also shows a similar correlation with the Arctic sea ice. The study of these correlations may provide a potential technique for seasonal prediction of July air temperature over EA and the WNP regions.

      • 북극의 가을철 해빙 감소와 한반도 지상 기온 연관성

        김영아,최우갑,육심찬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북극의 가을철 해빙 면적은 위성 관측 자료를 분석한 1979년 이후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2007년 급격한 감소를 겪은 이후 지금까지 이전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와 함께 최근 십여년간의 대기 상태의 관측 결과도 그 이전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그 연관성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의 가을철(9, 10, 11월) 해빙 면적 변화와 한반도 지상 기온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기상청에서 관측한 평균 지상 기온과 미국의 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에서 제공하는 북극의 해빙 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의 북극 가을철 해빙 면적과 약 9개월 후인 7월의 남한 평균 기온과의 연관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그 이전 기간인 1979-2006년 동안의 북극 가을철 해빙 면적과 한반도 지상 기온과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이며, 북극의 가을철 해빙 면적과 동아시아와 북서태평양의 850 hPa 기온과의 연관성이 7월에 가장 크게 나타났던 이전 연구 결과와 상응한다. 또, 해수면온도와의 연관성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7월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서 서로 관련이 있음을 추정하게 된다. 한편, 북극의 가을철 해빙 면적을 관측한 뒤 약 4개월 후인 2월의 한반도 지상 기온은 7월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2007년 이후의 기간에 그 이전 기간과 달리 북극의 가을철 해빙 면적과의 연관성이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런데 7월은 북극의 가을철 해빙 면적과 한반도 지상 기온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해빙이 감소하면 기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2월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북극의 해빙 면적 감소가 한반도 기온을 하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7월과는 다른 역학적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