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유영림(You, Yong-Lim),최윤지(Choi, Yo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과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사회복지실천가 4명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방법의 개별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인터뷰한 4 사례를 Stake(1995)가 제시한 범주적 집합(categorical aggregation) 분석절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인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인성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 문제를 통찰하고 해결하는 실천기술역량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기관과 동료와 소통하고 협업하는 리더쉽 있는 전문행정역량” 이 도출되었고 둘째,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간을 존중하고 자존감을 높이며 자기를 개발하여 다양한 실천경험을 쌓는 열정”이 주제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는 자아를 성찰하여 인성, 전문적 실천역량, 행정역량을 스스로 개발함과 동시에 교육기관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도 사회복지사 역량강화를 위한 인성역량, 사회복지실천역량, 사회복지행정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제도와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workers competency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t conducted a stud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suggest alternative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ocial workers. Methods The research took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four social work practition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10 years in social work fields. Result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competencies needed for social worker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social work practical competence to assess and solve client’s problems showing respect to them and caring for human rights, and the professional administrative competence with leadership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institutions and colleagues to practice them” was derived. Second,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passion to respect human beings, raise self-esteem, develop oneself and build various practical experiences” was drawn. Conclusion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workers should develop their own good personality, professionality in social work practices, and administrative capacity reflecting on self-insight. Also,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schools should organise systems and programs to empower good personality, social work practice skills and professional administrative capacity of social workers.

      • 사회복지 슈퍼비전 실행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에 대한 이해 - 노인생활시설의 슈퍼바이저, 슈퍼바이지 시각으로 -

        유영림 ( Yong-lim You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16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노인생활시설의 슈퍼바이저, 슈퍼바이지, 총 6사례를 개별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슈퍼비전 실행의 장애요인의 상위주제, `준비되지 못한 슈퍼비전 환경`가 도출되고 이 상위주제의 하위범주로, `슈퍼바이저의 자신감을 결여시키는 부족한 지식과 기관`과 `슈퍼비전 실행을 위한 시간부족과 제한된 업무환경`들이 구성되었다. 슈퍼비전 실행의 성공요인의 상위주제로는 `신뢰, 책임감, 배려로 빚어지고 기다림의 미학을 품은 슈퍼비전`이 도출되었고 이 상위주제의 하위범주로 `타당성 있고 신뢰할 만한 슈퍼비전 제공`, `슈퍼바이저의 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슈퍼비전`, `책임감 있게 슈퍼비전을 수용하고 실행해나가는 슈퍼바이지의 성장`, `슈퍼바이지를 위한 조직의 인격적인 소통과 존중이 담긴 배려`들이 구성되었다. 이에 실천적 함의로, 이러한 장애요인을 슈퍼비전의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기능을 강화하여 극복하고 성공요인을 강화하여 효과적인 사회복지 슈퍼비전이 실천되도록 기대해본다. 후속연구로, 노인생활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장애요인과 성공요인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서 더 다양한 사회복지 기관들의 슈퍼비전에 실행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복지 슈퍼비전을 확장시키고 발전시키는 연구들이 수행되기를 제언해 본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y tak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social work supervisors and three social work supervisees who are working at the elderly residential homes in oder to understand what they present the obstacle and success factors in social work supervision practices. As a research result, they showed that the obstacles and success factors of social work supervision are the following. The first obstacle was low self-confidence of supervisor resulted from the lack of supervision knowledges and skills in the organizational level. The second was limited time and poor working environments for supervision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ccess factor was providing relevant and reliable supervision to supervisee. The second was providing supervision on the knowledges and skills that supervisors studied. The third was the growth of supervisee who implements supervision with responsibility. The forth was that organizations provide thoughtful care for supervisee in personal and respectful communication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ackling obstacles of supervision by enforcing the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functions of supervision and empowering the success factor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s of supervision in social work practices. Also, for a further study, it is suggested to explore more specific and significant obstacle and success factors of social work supervision in a variety of social work practice settings.

      • KCI등재

        복지마을 만들기의 경험과 의미 - 질적탐색

        강병노(Byeongro, Kang),유영림(You, Yong-Li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최근 지역복지 공동체를 위한 복지마을 만들기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을만들기의 이론과 동향을 고찰하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복지마을 만들기의 의미와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질적사례연구를 적용하여 마을만들기 관련 실무자 8명을 면접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에서 복지마을 만들기는 주민의 생활과 삶의 변화 속에서 출발하여 마을의 주체형성과 조직화 과정에서 본격화되었다. 복지이슈에 대해 접근하고 다양한 모델이 형성되면서 복지마을 만들기의 의미가 주민의 주체적인 활동, 복지문제를 자기 생활과 연결하고 조직화, 주민모임과 관계형성을 통한 지역복지 추진 등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복지마을 만들기를 위한 사람만들기, 주민참여 및 조직화를 통한 공동체 형성의 방향 설정, 다양한 지역복지실천모델로서의 복지마을, 주민친화적 마을만들기의 경험과 학습과 같은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MAEUL as community transformation is the activity on quality of life and reproduction of society for resident in community. Grounded on reviewing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n MAEUL as community building for social welfare in community. For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uses case from Seoul Community Support Centre which was participated in activity of community building with qualitative case study. The result shows that the MAEUL includes not only the change of life for resident but also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the subject in community. The meaning of on MAEUL involves the discovery on approach of issue for welfare, formation of diverse model, organization for solving on social problem, residents meetings due to community welfare. In final im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ffered as base line idea for exten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building community on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 for community, diverse practice as community welfare, and learning and experience of formation in MAEUL.

      • KCI등재

        다문화 가정 한국 남편의 결혼 삶에 대한 이해

        천지향(Cheon Ji-Hyang),유영림(You, Yong-Li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4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이슈가 발생함에 따라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가정 자녀, 다문화 가정 남편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 남편의 경우 그들의 삶의 전반적 접근보다는 단편적인 양육참여나 결혼생활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다문화 가정 남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남편의 생애사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 전의 삶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전형적인 한국 정서와 환경에서 살아왔던 나’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뒷받침하는 하위범주로 ‘가부장적인 대가족 안에서 따뜻했던 어린 시절’, ‘학업을 소홀히 했던 학창시절’, ‘노력에 비해 대가가 적은 직업’이 도출되었다. 결혼 후의 삶은 ‘여느 가정과 다르지 않는 행복한 결혼생활’로 도출되었다. 이 상위주제의 근거로 제 시되는 하위범주는 ‘비자발적 국제결혼’, ‘평범한 가정의 행복’, ‘부부가 함께 하는 양육’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 다문화 가정의 어려움과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서로의 갈등과 부족함을 덮어주는 남편의 속 깊은 배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하위범주로는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 ‘아내의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외국인 아내를 먼저 배려하는 결혼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삶의 질 향상을 포함한 다문화 가정 개입실천의 방안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개별적 한글 수강 기회 확대와 수강방법 다양화, 다문화 가정 남편 자조모임 지지, 문화 가정 아내의 학업과 취업지원을 통해 한국사회적응에 도움을 주며 동시에 남편의 부담 경감, 다문화 가정 자녀 개별적 학습지원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Korean researches in ter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lated to wives and children than husbands. However, to underst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m,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husbands also in depth. In this sense, This research explored the lives of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in their biographical context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s. The first theme is “living in a typical Korean sentiment and environment," and as a subcategory to support the theme; ‘the childhood was warm-hearted in the patriarchal big family’, ‘in school days, they neglected to study’, ‘jobs that were less expensive than their efforts’. The study participants talked about their lives after marriage as ”a happy marriage that is not unlike any other home“. The following subcategories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is theme; ‘non-voluntary international marriage’, ‘the happiness of ordinary homes’, and "parenting with the couple’. The last theme was about multi-cultural home"s difficulties and alternatives for them. Research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deep consideration of the husbands for their foreign wives to cover their emotional and cultural conflicts and implement the lack of their wives”. For this theme, there are sub-categories including ‘conflicts from cultural differences’,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ir wives’ poor Korean, and ’considering foreign wiv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a multi-cultural family intervention practi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as well as wives and children. First of all, increasing individual Korean language lesson opportunities for foreign wives and diversifying Korea language courses for them. The second i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y husband self-help organizations. The third is to support foreign wives’ studies and employments which are able to assist the wives’ Korean society adapta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burden of the husbands in finance. The last is to expand individual learning supports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귀농·귀촌인(가구)의 삶과 문제해결 경험 및 정책 제안에 대한 이해 :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정은주(Jeong Eun Joo),유영림(You Yong Li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5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가구)의 삶과 문제해결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전라남도 M군 귀농·귀촌인 남, 여 9명의 정착 및 적응 경험을 생애사 이야기식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귀촌인의 정착 및 적응하는 삶에서 좋았던 경험은 ‘자연에서 사람답게 내가 원하는 삶을 함께 살 수 있어 좋아요.’라는 상위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귀농·귀촌인의 정착 및 적응하는 삶에서 어려웠던 경험은 ‘생각했던 것보다 극심하게 어려운 경제적, 문화적 어려움과 미흡한 정부 지원’이라는 상위주제로 나타났다. 셋째, 귀농·귀촌인의 정착 및 적응하는 삶에서 문제해결 경험에 대한 이해는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라는 상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제도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복지 문화공간의 부족 해소와 원주민과의 소통을 위한 공동체 여가 프로그램을 마을회관 또는 경로당에서 운영하는 것을 제안한다. 둘째, 지자체는 고령의 귀농·귀촌인 정착 및 적응을 돕는 다양한 연령별 맞춤형 귀농·귀촌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복지관, 가족센터 등이 귀농·귀촌인의 정착을 돕는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life and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urban-to-rural migrants (households) in their own voices and to present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help them settle down and adapt to rural areas. A biographical narrative approach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urban-to-rural migrants’ storie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ine male and female adults who migrated to M-gun, Jeollanam-do. Recently, M-gun has seen an increasing number of urban-to-rural migra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Namak and Oryong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theme for their good experience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was “It is good to be able to live the life I want as a human in nature.” Second, the top theme for difficult experience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was “Much more difficult economic and cultural difficulties than expected and insufficient government support.” Third, the top theme used for an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urban-to-rural migrants’ live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was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ut urban-to-rural migrants’ good, difficult, and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ractical institutional interventions. First, a community leisure program needs to be operated at the village hall or senior cent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welfare and cultural spaces and to permit interaction with indigenous residents.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epare a policy scheme tailored to different age groups among urban-to-rural migrants to help elderly urban-to-rural migrants to settle and adapt better. Third, welfare centers and family centers need to provide case management services to help urban-to-rural migrants to settle. In this context, it would be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individual migrants in an active and practical manner, including connections to local community resources through case management services from social welfare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