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韓國) 근대기(近代期) 범종(梵鍾)의 양식적(樣式的) 특징(特徵)과 제작기법(製作技法) 연구(硏究)

        원보현 ( Bo Hyeon W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한국 근대기 범종은 급변하는 시대상황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개항과 함께 시작된 일본불교의 침투 속에서 유입된 일본 범종의 영향으로 현존하는 근대 범종 수의 대부분을 외래형 범종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와 일본불교의 포교활동에 위기의식을 느낀 한국불교가 전국적으로 포교활동을 시작하면서 1930 년대부터 해방이 될 때까지 20 여구의 전통형 범종 제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1890 년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일본 범종은 일본 불교의 포교활동이 성행하면서 점점 더 많은 양이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장인들에 의해서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국내장인들의 손을 거치면서 외래형 범종 양식에 조선시대 종에서 보이는 보살입상과 9 개의 연뢰를 표현하는 혼합형 범종이 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대기 초기에는 외래형이 주류를 이루고 중기에는 전통형이 제작되며, 후기에는 혼합형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대기 범종은 제작기법에서도 전통형과 외래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시기에 전통형 범종을 제작한 대표 주종장인으로 김치운을 들 수 있는데, 金致云은 1916 년 <쌍계사명(雙溪寺銘) 범종(梵鍾)>의 중수작업부터 명문에 이름이 보이기 시작하며, 이후 <대승사명(大乘寺銘) 범종(梵鍾)>(1929 년)부터는 직접 주종작업을 시작한다. 이후 김치운은 조선시대 범종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을 구축하며 1940 년대 말까지 다수의 작품을 남긴다. 근대기 범종을 고찰 해 본 결과 19 세기 이후 단절되었을 것으로 여겨졌던 전통주조기술은 근대기에도 일부 장인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형과 혼합형 범종을 통해 근·현대를 거치며 한국 범종 제작기술이 변화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Korean modern Buddhist bells developed in diverse pattern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s. By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t bells imported along with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initiated by port opening, most of modern Buddhist bells extant are of foreign style. As Korean Buddhism sensed the crisis posed by the propagation activities of Christianity and Japanese Buddhism, however, it created about 20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e short period from the 1930s to the Liberation. The number of imported Japanese Buddhist bells, which began to stream into Korea from the 1890s, gradually increased together with prevailing propagation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m, and it is believed that domestic artisans also made Japanese-style bells in order to meet the expanding demand. By domestic artisans, as a result, hybrid Buddhist bells were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which were characterized by a standing Bodhisattva statue and nine lotus buds. This indicates that the mainstream of Buddhist bells was of foreign styl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times, of traditional style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of hybrid during the late period. The making method of modern Buddhist bell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raditional and foreign styles. Chi-woon Kim (金致云) was a representative bell caster who made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is period. Kim`s name began to appear in the inscriptions from the repairing work of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Ssanggye-sa Temple (雙溪寺銘 梵鍾)> in 1916, and he began to do bell casting by himself from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Daeseung-sa Temple (大乘寺銘 梵鍾)> in 1929. Since then and until the late 1940s, Chi-woon Kim established his own unique style based on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Chosun Dynasty and created a number of works. By examining modern Buddhist bells,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 cas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died out since the 19th century, had been transmitted through a few artisans even during the modern times. Through foreign-style and hybrid Buddhist bells, furthermore, this study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bell making technology in Kore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