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융복합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을 중심으로-

        원만희 ( Manhee 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9

        이 시대는 대학에게 융복합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은 개별화된 학문의 벽을 허물고 다양한 종류의 학문적 내용을 동시에 수용, 분석, 비판하고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하는 능력의 함양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문을 가로지르는 융합적 사고 능력을 갖추는 것과 함께사고 결과물을 생생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글쓰기는 이 점에서 융복합의 핵심적 도구라 할 수 있다. 글쓰기는 어떤 생각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다. 말하기와는 달리 글쓰기는 그 과정에서 생각을 모으고, 정리할 뿐만 아니라 정리된 생각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기도 한다. 여기서 필자는융복합적 사고, 즉 창의적이고 다면적인 사고가 글쓰기와 더불어 ‘효과적으로’ 시작되고 또 진행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바로 이 점이 융복합교육과 관련하여 글쓰기를 거론하는 진정한 이유이다. 이 글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융복합 시대에 바람직한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즘 한창 회자되고 있는 ‘융복합’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먼저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융복합 교육을 위해서 글쓰기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글쓰기 교과목이 융복합 교육과 맺는 연관성, 즉 수렴적 창의성교육의 의미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는 글쓰기와 융복합 교육의 효율적결합 방식으로서 ‘융복합형’ WAC 수업의 도입 필요성을 그 구체적 수업모형과 함께 제시하였다.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equires a person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Therefore, it is hard to go against the tide of times that the goal of college education is changing to develop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In this sense, writing education can and should reinforce student`s convergent creativity as a core cap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 order to develop writing education into an efficient method of achieving the proposed goal,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harmoniously to write better. Particularly, writing can be an efficient tool for developing this capability in major classes which are designed as a space for convergent and integrative study. In these classes, students are able to exercise creative problem-solving through writing, because writing is not only an activity for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but also an activity for using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For example, the 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program can be a good model for the combination of a convergent and an integrative class for writ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ek for a new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to educate creative and multi-aspect student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대학 교육에 대한 산업계 수요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0 No.68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산업계의 수요에 조응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과거와 달리 경쟁보다는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학의 교육 역시 협력에 기초한 창의 역량의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가설을 제기하였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산업계와 교육계의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기존의 역량 지표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산업계 수요 조사를 통해 재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우리가 제시하고자 하는 결론은 다음이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있는 산업계 역시 협력 또는 협력적 창의 능력들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지식들이 융합될 수 있는 교육 공간이 대학교육과정 내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핵심이 바로 교양영역이며, 따라서 대학 교양교육은 다양한 전공지식들이 협력할 수 있는 지식확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 방향으로의 교육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ways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at can meet the demands of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to cope with the trend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should also aim to educate creative competence based on cooperation. To demonstrate this, this paper reviewed existing competency indicators through gathering the opinions of corporate and educational experts, and reaffirmed the results of the review through the survey of the corporate demands. Corporations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place emphasis on abilities based on cooperation. In order to help cultivate these abilities, univers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an educational area where various expertises can be converged and harmonized. The center of this area is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sens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latform for expanding knowledge that could incorporate various cont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the top priority concern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la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플랫폼으로서의 교양교육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미래의 변화에 조응할 수 있도록 대학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할 교육의 방향과 그 구체적 방안의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추동하고 있는 변화의 핵심은 바로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그 자체로 하나의 협력 모델로서 과거의 고립적 생산 방식과 체계를 대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협력 역량을 갖춘 새로운 인재들을 요구하고 있다. 창의성 역시 협력에 기초하여 새롭게 이해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적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경쟁이 아닌 협력을 교육은 지향해야 하며, 다양한 협력을 통한 창의성 발현의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대학 역시 협력 기반의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다양한 전문지식들이 융합될 수 있는 교육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이 때 교양교육은 다양한 전공지식들이 협력할 수 있는 지식확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와 같은 협력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Big Question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out a new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e concrete programs associated with it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area of the change that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pushes forward is a platform. A platform itself, as a cooperative model, replaces the old isolated modes of production. Corporations look out for the talents equipped with cooperative competence. Creativity is also newly understood on the basis of cooperation, and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this collaborative creativity is demanded in this era. A new orientation of this education is cooperation, not competition. Universities should also provide collaborative education and are urge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pace where various expertises can be converged. At this tim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function as a platform for expanding knowledge that could incorporate various cont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epare for an educational plan utilizing Big Question which can naturally induce such cooperation.

      • KCI등재

        의사소통역량 평가를 위한 자기 진단 모형 개발

        김종규(Kim, Jonggyu),한상우(Han, Sangwoo),원만희(Won, Manhee) 한국수사학회 2015 수사학 Vol.0 No.23

        This paper introduces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 estimation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especially,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self-appraisals. This study claims that the subjects’ self-appraisals must accompany an exact estimation of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estimation model requires continuous emendations accordingly. Previous estimation models were mostly based on appraisals only by others and, in this way,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understood as a cognitive process and thereby quantified by objective criteria. It is, however, obvious that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es not only cognitive, but also non-cognitive elements; therefore, the estim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should include self-appraisals, through which such non-cognitive elements can be measured. Although we might accept many advantages from other models,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essentially comprises cognitive and non-cognitive (e.g. affective) elements should well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double appraisals by others and by the subjects themselves. Moreover, an exact estimation should be flexible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of communication and therefore, for this, continuous emendations on the model are needed.

      • KCI등재

        ‘자기진단모형에 기초한 의사소통교육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종규(Kim, Jonggyu),한상우(Han, Sangwoo),원만희(Won, Manhee) 한국수사학회 2016 수사학 Vol.0 No.26

        The present paper aims to study the conditions of sustainable, effective communicative education. The basic idea of communicative education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ie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ve education in actual practice is the first step in sustainably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ies. The present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performance of a program at Sungkyunkwan University comparing its before - and after - installment on the basis of the self-appraisal model.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corroborates what the appropriate circumstances for effective communicative education would be while the results report that the program makes two kinds of contributions. The first is a direct contribution: it actually improves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ies. The second is an indirect contribution: it increases students’ self-efficacy that,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ould become more generally applicable with methodical and empirical data supplementation and cooperative networking interactions between other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