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 건축물을 활용한 근대역사관의 공간 특성

        우은영(박사과정) ( Eun Young Woo ),김문덕(교수) ( Moon Duc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개항 이후 근대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근대기 건축물은 대부분 활용과 보존의 목적으로 새로운 용도로 기능을 변경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기 건축물을 활용한 근대역사관의 공간 특성을 분석, 종합하여 향후 근대기 건축물의 활성화와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근대기 건축물을 활용하여 근대역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례인 인천, 군산, 목포, 대구, 부산 지역의 근대역사관을 대상으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근대기 건축물의 특성 키워드를 도출하고 근대역사관 현지답사를 통하여 사진촬영 및 공간의 형태ㆍ특성ㆍ프로그램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간성은 실내외 공간에 과거의 재료를 그대로 노출 사용하는 등 소극적으로 표현하는 경우와 일부 과거의 재료를 노출하면서 새로운 재료와 대비시켜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2) 참여성은 지역 근대기 건축물들과의 연계를 통해 공간을 활성화시키며 관람객의 직접적 참여를 통하여 관람객의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3) 연속성은 근대기 건축물의 협소한 공간과 높은 층고로 공간에 시각적 연속성을 표현하였다. 4) 접근성은 구도심에 위치한 박물관의 편리한 유입을 위하여 지역시티투어버스 운영과 주변 휴식ㆍ체험공간 등의 연계로 실내공간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였다. 5) 상징성은 대부분 근대기 건축물의 원형을 유지하여 그 시대의 건축사와 근대기 건축물의 원기능을 알 수 있게 표현하고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은 근대기 건축물을 활용한 근대역사관을 재생할 때, 공간적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지역의 문화 프로그램 등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박물관이 될 때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Modern era building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fter the opening of ports are variously used by altering their functions for new uses with the purpose of mostly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with more and more among them used as museum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nalyzes and summari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history museums that use modern era buildings and utilizes this as reference data for securing the vitalization and identity of modern era buildings in the future. The subjects and range of the study are limited to modern history museums in the Incheon, Gunsan, Mokpo, Daegu, and Busan region, which use modern era buildings for their museums.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deducting characteristic keywords of the modern era buildings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analyzing in detail photography, through on-site surveys of the museums, and the spatial forms,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emporality was both passively expressed by the exposed use of past material at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actively expressed by contrast with material while exposing a portion of the past material. 2) Participation vitalized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modern era buildings of the region, increasing the spatial utilization of spectators through direction participation. 3) Visual continuity was expressed by the narrow space of modern era buildings and high floor hight. 4) Accessibility to inside space was made easier by connecting regional city tour bus operation with surrounding rest and experience spaces, with the purpose of achieving convenient inflow to the museum located in the old city center. 5) Symbolism was expressed in a way that allowed people to know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modern era buildings and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he era b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s of most of the buildings. The above characteristics can increase spatial utilization when museums coexist with the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regional culture programs,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when regenerating modern history museums using modern era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