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성은 ( Oh Seongeun ),허수연 ( Huh Sooye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결혼만족도는 결혼에 대한 본인의 기대가 얼마나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개인의 기대 수준 충족에 따라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과 기대수준은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동패널조사 5차년도 참여자 중 맞벌이를 하고 있는 285가구의 부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남편의 결혼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기 위하여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과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오직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해 남편은 정규직이고 아내는 비정규직인 경우에만 남편의 주말 양육참여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맞벌이 가정에서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협상력 증대를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향상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regular work or non-regular work)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study subjects consists husbands and wives of 285 dual-income households in 5<sup>th</sup>-year data of the PSK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increase, wive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However,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weekend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ere only significant among dual-income couples that consist of a husband with regular work and a wive with non-regular work. The results imply that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which affects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wife in a dual-income family.

      • KCI등재

        맞벌이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와 결혼만족도 -가사노동분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성은 ( Oh Seongeun ),김한성 ( Kim Hans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 및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 중 하나인 시간제 일자리가 가사노동분담을 매개로 맞벌이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 7차년도 참여자 중 만 25∼54세 사이의 맞벌이 여성 1,11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맞벌이 여성의 시간제 근로와 여성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가사노동 수행률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위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여성의 시간제 근로는 전일제 근로와 비교하여 여성의 가사노동 수행률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성의 시간제 근로는 가사노동 수행률을 매개로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제 근로가 맞벌이 여성의 가사노동 수행률을 증가시키고 높은 가사노동 수행률로 인하여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기존의 긍정적 평가와 달리 맞벌이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가 가사노동 수행률을 증가시켜 결혼만족도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i.e., part-time or full-time) and marriage satisfaction among women in dual-income families. For the study, data from the 7<sup>th</sup>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were analyzed. The study sample was consisted of 1,118 women aged between 25 and 54 in dual-income famil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 women who work par-time tend to have higher share rates of household labor time than women who work full-time. Second, the sharing rare of household labor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women.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social policy measures can be developed to reduce the burden of women who work part-time and consequently increase marital satisfaction in dual-income families.

      • KCI등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이동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차별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성은(Oh, Seongeun),김한성(Kim, Hansung)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이동성이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장애인 이동성 연구는 주로 주관적 이동지표를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주관적 이동지표와 함께, 핸드폰으로 수집한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한 객관적 이동지표를 사용하였다. 먼저 2017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출횟수는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우울겸험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9년에 수집한 본 연구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도 2017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분석모델에 GPS 데이터로 도출한 객관적 이동지표를 추가한 결과, 일평균 이동거리가 사회적 차별경험을 매개로 우울에 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동이 지니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이동약자의 이동성 연구와 정책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bility and depression among wheelchair users. Previous studies on mobility of the disabled relied on subjective measures of mobility. To address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subjective measures and objective measures based on GPS data from participants’ cell phones were used together. Results of path analysis based on data from “2017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going out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discrimination. When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used, the results were same. The final path analysis estimated a path model adding objective measures of mobility.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average moving-distance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discrimin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al meanings of mobility need to be considered when scholars and policy makers work on mobility issues of the mobility disabled.

      • KCI등재

        한국의 기본소득 태도: 누가, 어떠한 기본소득을 지지하는가?

        허수연 ( Huh¸ Sooyeon ),오성은 ( Oh¸ Seongeun ),김병수 ( Kim¸ Byungsoo ),김한성 ( Kim¸ Hans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1 사회보장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누가 기본소득을 지지하는가?’, ‘기본소득 지지자들은 어떠한 형태의 기본소득에 찬성하는가?’의 두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70세 미만 성인남녀를 대표하는 3,56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본소득에 찬성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주관적 계층인식, 정치신념, 불안인식과 같은 요인들은 복지태도를 매개로 기본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본소득 찬성자들이 지지하는 기본소득의 특성을 살펴보면, 보편적 기본소득을 지지하더라도 개별성, 정기성, 충분성, 무조건성에 대한 찬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본소득 태도는 계층인식, 정치신념, 불안인식이 형성하는 친복지태도의 연장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기본소득 지지자들의 상당수는 궁극적인 ‘탈노동’에 이를 정도로 충분하고 무조건적인 기본소득 급여를 지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에서 기본소득을 찬성하는 사람들이 ‘탈노동’이라는 기본소득 본질에 대해 찬성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wo questions: ‘Who supports basic income?’ and ‘What type of basic income do ‘basic income supporters’ approve of?’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3,560 samples representative to adult population under the age of 70 in 2020 were analyzed. First,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in favor of basic income,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subjective class perception, political belief, and anxie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asic income through welfare attitud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income supported by basic income supporters,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y supported universal basic income, the levels of support for individuality, regularity, sufficiency, and un-conditionality were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explained as an extension of the pro-welfare attitude in which class perception, political beliefs, and anxiety perception are fla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 basic income supporters did not pursue a unconditional basic income benefit that is sufficient to reach the de-wor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ose who favor basic income in Korean society do not agree with the essence of the basic income of de-commerci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