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aking Pleasure in Acting Virtuously

        Um, Sung-woo(엄성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덕행을 할 때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만으로는 덕인이 되는 데 결격 사유가 되기에는 불충분하며 아리스토텔레스도 이에 동의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인의 도덕 심리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을 제시한 후, 이에 근거해 필자 자신이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적 덕인에 대한 심리 분석을 제시할 것이다. 비록 덕인에게 있어 덕행을 한다는 그 사실 자체는 즐거울 것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감한 사람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덕행을 위해 소중한 것들을 포기해야만 하는 사실은 고통스러울 수 있다. 고통을 야기하는 대립 욕구가 그 자체로만 고려되었을 때 허용할만한 것인 한, 그러한 그 고통은 그 사람의 덕이 모자람을 나타내지 않는다. 만약 대립 욕구가 그 자체로 볼 때는 좋은 것이라면 그 경우 덕행을 할 때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덕의 부족을 나타낼 것이다. 또한, 덕행을 함에 있어 고통을 느끼는 것은 내적 갈등을 경험하는 것과 다르다. 비록 때로는 덕인도 욕구들의 갈등에 의해 고통을 느낄 수 있지만, 덕행의 수행에 있어서는 항상 자발적이고 단호하다. 요컨대 완전한 덕인은 자신이 덕행을 한다는 사실로부터 즐거움을 느끼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덕인도 덕행을 할 때 고통을 느낄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argue, as Aristotle would agree, that the mere fact that a person feels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is not sufficient to claim that he is defective as a virtuous being. After providing a plausible interpretation of the moral psychology of Aristotle’s virtuous person, I am going to propose my own version of an Aristotelian virtuous person. For a virtuous person, although the fact that his action is virtuous would be pleasant, the fact that he has to give up precious things for the sake for the sake of it at the given particular situation might be painful, as in Aristotle’s example of a brave person. Insofar as the opposing desire causing the pain, taken by itself, is a permissible one, such pain does not indicate that the person’s character is less virtuous; rather, if the opposing desire in the dilemma situation is good in itself, feeling no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indicates that the person is less virtuous. Moreover, being pained by acting virtuously is different from experiencing inner conflict while so acting. Although a virtuous person sometimes might be pained by conflicting desires, he performs virtuous actions willingly and decisively. To sum up, while a fully virtuous person always virtuous person always takes pleasure in the fact that his actions are virtuous, there are situations where he feels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 KCI등재

        Intending as a Means and Foreseeing with Certainty

        Um, Sung-Woo(엄성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인 이중효과 원리와 퀸(Warren Quinn)의 수정된 버전이 모두 행위자의 근본적인 태도에서 도덕적으로 중요한 요소를 포착하는 데 실패함을 밝히는 데 있다. 우선 전통적인 이중효과 원리 입장에 반대해서, 자신의 목적을 이루는 데 있어 남의 피해가 불가피한 부작용으로 뒤따를 것임을 분명히 예견하고 행위하는 것은 남의 피해를 자기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을 의도로 행위하는 것만큼 도덕적 결함을 가짐을 주장할 것이다. 즉, 전자는 후자만큼이나 정당화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리고 퀸의 수정된 이중효과 원리에 반대해서, 남의 피해가 자신의 목적을 이루는 데 기여하는지 여부가 그 자체로는 행위자의 태도에 드러난 도덕적 성품을 평가하는 데 있어 무관함을 주장할 것이다. 즉, 그의 직접 행위능력과 간접 행위능력 사이의 구분은 도덕적 차이를 정확히 포착하는데 실패함을 보일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both the traditional doctrine of double effect (DDE) and Warren Quinn’s revised version fail to capture the morally significant element accurately in the agent’s fundamental attitude. First, against traditional DDE, I argue that acting with an intention of harming others as a means to accomplish one’s own end is no more defective than acting with a clear foresight of the harm as an inevitable side effect of accomplishment of that end; i.e., the latter is no easier to justify than the former. Second, against Quinn’s revised DDE, I argue that whether other people’s harm contributes to achieving one’s ends is not in itself relevant in evaluating the moral character of the agent’s attitude; his distinction between direct and indirect agency fails to capture moral difference accurately.

      • KCI등재

        보편자 논쟁에 있어 아벨라르두스의 의미론적 전회

        엄성우 ( Um¸ Sung-wo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포르피리우스가 보편자에 대해 세 가지 질문을 제기하여 촉발시킨 중세의 보편자 논쟁은 철학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논쟁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러한 보편자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철학자들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보여왔다. 그런데 보편자를 일종의 사물(thing)로 보고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하는 실재론자들은 여럿에 대해 술어가 된다는 것이나 보편자가 귀속되는 개별자들에 동시에 공통적이라는 것 등에 대해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는 데 실패하였다. 이에 대해 보에티우스는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해 보편자가 존재하는 방식과 이해되는 방식을 구분하는 인식론적 접근을 시도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반면 아벨라르두스는 보편자 문제에 대해 언어적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한 의미론적 접근으로 보편자 논쟁에 새로운 측면을 도입한다.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주의적 언어관을 거부하고 동사구를 기본으로 하는 아벨라르두스의 의미론은 보편자를 사물(thing)이 아닌말(word)로 간주하며, 그는 개별자들에 대한 보편 술어의 귀속을 정당화해주는 공통 원인은 개별자 안에 있는 어떤 존재자가 아니라 상태(status)라고 하는 획기적인 주장을 펼친다. 그가 보편자 논쟁에 가져온 이러한 의미론적 전회는 장미들이 모두 사라진 뒤에도 ‘장미’라는 말이 의미를 갖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설명해주는 등 기존의 실재론자들이나 보에티우스의 설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벨라르두스의 보편자 이론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의 이론은 상태가 어떻게 원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시하지 않으며, 또한 존재하는 것은 개별적인 것밖에 없다는 그의 형이상학과 보편 술어 귀속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필요로 하는 그의 언어철학 사이에 다리를 놓는 데 성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아벨라르두스가 중세의 보편자 논쟁에 가져온 의미론적 전회는 큰 의의를 가지며, 이 글에서는 이점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The controversy concerning universals, which was triggered by Porphyrius’ three ques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oversies in history of philosophy. There has been various ways of approaching to this problem. Realists, who thought of universals as a sort of things, failed to provide cogent explanation about the universals’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predicate of several and common to the particular things on which the universal predicates are imposed. On this matter, Boethius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approaching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which distinguishes the way universals are understood from the way they exist. However, Abelard introduces a new phase to the controversy concerning universals by semantic approach, which deals with the problems of universals by analyzing linguistic phenomena. Refusing to accept Aristotelian traditional linguistic theory, Ableard thought of verb phrases as basic and regarded universals as words, not things. Also, he made a remarkable claim that the common cause that justifies predicating a certain universal of particulars is not a thing but status. Abelard’s semantic turn overcame the limitation of the explanation of realists including Boethius, accounting for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reason why the word ‘rose’ retains its meaning even after all the roses disappear. However, Abelard’s theory of universals has its own limitation. His theory does not offer a satisfactory explanation about how status become a cause, and fails to build a bridge between his metaphysics, which says that only particulars exist, and his philosophy of language, which requires metaphysical ground for predication of universal terms. Despite such limitation, Abelard’s semantic turn in the problem of universals has significance and this essay will focus o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