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미립자 시멘트의 암반지반 그라우팅 주입효과에 관한 연구

        안준희(Jun-Hee An),박춘식(Choon-Sik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그라우팅공법은 지반강화와 차수를 위한 공법으로 약액을 주입하여 지반을 고화시키는 것이다. 시멘트계 그라우트 주입재는 수세기 전부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나 시멘트 입경이 커 주입효과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미립자 시멘트가 사용된 암반지반에서의 그라우팅 주입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초미립자 시멘트로 3S-1호가 사용되었고, OPC와 3S-1호를 각각 적용하여 암반그라우팅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였으며 수압시험·공내재하시험·주입시험을 통해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시험 결과, 암반지반에서는 OPC보다 초미립자 시멘트(3S-1호)를 사용하는 것이 차수효과(K, 10<SUP>-6</SUP>cm/sec)가 더 높으며 보강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미립자 시멘트(3S-1호)가 OPC보다 약 4∼9배 주입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반그라우팅 시공시 OPC대신 초미립자 시멘트를 적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The grouting method is to reinforce the ground by injecting the chemical solution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ground. Cement grouting material has usually used portland cement for centuries ago, but the cement particle size is large and the injection effect is limite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ultrafine cement grouting in rock ground using 3S-1 grouting in rock ground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The results of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Lugeon test, bore loading test (P.M.T.), and injection (P-Q) test. The use of ultrafine cement (3S-1) had a higher effect (K, 10-6cm/sec) than OPC. The reinforcement effect of 3S-1 was also confirmed. Ultrafine cement (3S-1) was 4∼9 times more injectable than OPC. Therefore, it is more advantageous to use ultrafine cement (3S-1) than OPC.

      • KCI등재후보

        대추와 오미자 약선소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곽은정(Eun-Jung Kwak),안준희(Jun-Hee An),이호근(Ho-Geun Lee),신민자(Min-Ja Shin),이영순(Young-S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대추를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 퓨레, 과피를 포함한 퓨레의 3군으로 조제하고 이들과 오미자추출액의 비율을 3 : 7, 5 : 5, 7 : 3 조건으로 첨가한 후, 계피와 생강추출액, 꿀 및 pectin을 첨가해 총 9개의 대추와 오미자 약선소스를 조제하여 이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총당, 유리당 및 pH는 3군 시료에서 대추추출물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각 시료들의 색도에 있어서 L값은 3군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a값은 A군이 b값은 B군이 가장 높았다. 퓨레와 과피 퓨레군의 점도는 대추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액군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별검사 결과, 대추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3군 모두에서 색과 단맛은 강하게 신맛은 약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은 퓨레와 과피퓨레군에서는 대추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하게 느꼈으나 추출액군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택과 점도는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 검사결과, 외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감, 맛, 향, 종합적인 기호도는 대추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ydrothermal extraction from dates was done, and then 3 groups of the date extract liquid group (A), the date puree group (B)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C) were prepared. And, the omija extract liquid was added to the 3 groups at respective rates of 3 : 7, 5 : 5 and 7 : 3. Then, total 9 medicated diet sources were prepared by adding cinnamon, the ginger extract liquid, honey and pectin.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ttributes were examined. Total sugar, free sugar and pH increased in the samples of the 3 groups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In chromaticity of respective samples, the “L” valu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mong the 3 groups, but the “a”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A” group, and “b”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B” group. In the date puree group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their viscosity in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but in the jujube extract liquid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its viscos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discrimination test, it was identified that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was increased, color and sweet taste were felt to be stronger and sour taste was felt to be weaker in all 3 groups. In the jujube puree group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the jujube fragrance was felt to be stronger, but in the jujube extract liquid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its fragrance.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brightness and viscosity between sample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alatability test, no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appearance, but as for the overall palatability including texture, taste and fragrance, preference in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